• 제목/요약/키워드: 미강유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시중 유통참기름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Quality Evaluation of Current Sesame Oils Sold in Markets)

  • 박재홍;김순천;조성완;김은선;최경철;김영국;임태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7-66
    • /
    • 1991
  • 참기름의 변조 여부를 쉽게 판별하고, 변조에 사용된 혼입유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FV(Fatty acid ratio & villavecchia reaction) value를 상요하였다. FV value 는 gas chromtography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C18: 1 + C18 : 2/C16 : $0{\times}C18$ : 3값을 구하고 이 값에 modified cilavecchia -suarez test(MVTV)에서 얻어진 값을 곱하여 결정하였다. 이 FV value를 이용하여 전남 지방 시장등지에서 구입한 참기름 총 74건에 대해 그 순도를 판별하고 변조에 사용된 혼입유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수거된 참기름들에 대해 FV value 로 산출한 결과 총 74건 중 11건만이 순수한 참기름으로 추정되어졌다. 변조에 상용된 혼입유의 실태를 산출된 FV value로 추정한 결과 대두유 혼입이 2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미강유 혼입 및 깻묵을 유기용매로 재 추출한 참기름이 각각 10건, 들깨유 혼입이 8건, 옥수수유 혼입이 7건, 면실유 혼입이 3건, 채종유 혼입이 2건 등이었다.

  • PDF

골프코스에서의 유기질비료 시용효과 (Influence of Organic Fertilizer to Korean Turfgrass(Zoysia Japonica) in Golf Courses)

  • 함선규;이주영;김창수;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2호
    • /
    • pp.140-146
    • /
    • 2002
  • 본 시험은 채종유박과 미강유박을 주원료로 하고 질소, 인산, 칼리의 함량이 7.23%이고 중금속이 거의 없이 개발된 유기질비료(크럼블-80)를 공시비료로 기비와 추비시비 방식의 포장시험을 통하여 토양과 한국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시비효율을 구명하여 올바른 시비방법 및 시비량을 제시하고자 2000년 4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 용인시 소재 태광컨트리클럽 증식포(기비시험)와 경기도 파주시 소재 서서울컨트리클럽 10홀 티(추비시험)에서 실시하였다. 기비시험 결과, 엽록소 측정결과의 처리효과는 무처리구가 100일 때 관행구 117%, 관행구+크럼블-80 $150g/m^2$ 123%, 크럼블-80 $150g/m^2$ 115%, 크럼블-80 $300g/m^2$ 119%, 크럼블-80 $75g/m^2$ 102%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질비료인 크럼블-80은 시비량에 따라 엽록소 함량이 약간 증가되었으나 NPK와 혼합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은 공시비료의 단독처리보다는 복합비료와 혼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비시험 결과, 잔디생육기간 중 잔디건물중을 조사한 결과는 크럼블-80의 시용량이 많을수록 잔디건물중도 증가하였으며, 처리구에 따라 무처리구보다 5~45(%) 정도의 증수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엽록소함량은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는 높았으나 골프코스에 필요한 녹색유지에는 부족하므로 화학비료와의 혼용시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시험결과로 볼 때 시험에 사용된 공시비료는 골프코스 잔디관리에 적합한 비료로 판단된다. 시험결과를 토대로 한 권장시비량은 기비시비의 경우 잔디식재 전에 공시비료 $300g/m^2$를 표토 10cm와 잘 혼합하여 시비하되, 추비시비는 공시비료와 화학비료와의 혼용시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phenolic acids와 총 폴리페놀 함량

  • 김성란;하태열;이지연;이세은;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6.1-226
    • /
    • 2003
  • 최근 쌀 소비량이 감소되고 쌀중심 식생활의 영양적 우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쌀은 주식으로서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쌀의 영양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서의 당질에 관한 연구와 미강을 중심으로한 식이섬유, 미강유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미곡 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확인되어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서 제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식생활에서 섭취되고 있는 백미 또는 현미상태에서의 유효성분의 분포 및 함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영양적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유효성분 중 phenolic acid와 폴리페놀 함량을 품종 및 도정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조생종인 오대와 만생종인 남평 품종으로부터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로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도정도별 미강을 각각 제조하였다. Ferulic acid 등 쌀과 미강에 존재하는 phenolic acid 는 알칼리로 추출한 후 pH를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반복 추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현미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가 가장 많아 50% 내외를 차지하였으며 p-coumaric acid, benzoic acid, sinapin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오대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 mg%로서 남평 현미의 57.2 mg%보다 높았으며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백미 중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감소되었다. 미강 중에는 백미의 10배 량에 해당하는 phe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benzoic acid와 m-hydroxy benzoic acid는 미강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도정한 백미 중의 phenol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올과 헥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카테킨과 아스코르브산의 상승 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Catechin or Ascorbic Acid 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Hexane and Methanol Extracts from Rosemary, Sage, Oregano, and Ginger)

  • 안채경;한대석;이영경;이영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86-592
    • /
    • 2005
  • 역마이셀 미강유를 기질로 하여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올과 헥산 추출물 500ppm에 카테킨 또는 아스코르브산 200 ppm을 각각 첨가하여 Rancimat으로 유도기간을 측정하여 항산화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을 추출물에 카테킨 첨가시 모두 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아스코르브산을 첨가시 ginger를 제외하고는 항산화 상승효과를 보였다. 항산화 상승효과는 전반적으로 아스코르브산보다 카테킨이 높게 나타났다. 헥산 추출물의 경우, 카테킨 첨가시 oregano와 ginger에서 강한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ascorbic acid 첨가시, rosemary와 sage에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회분식반응기를 이용한 미강유, 팜스테아린과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 유래 대량 제조된 저트랜스 쇼트닝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Scaled-up Low-Trans Shortening from Rice Bran Oil and High Oleic Sunflower Seed Oil with Batch Type Reactor)

  • 김지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8-345
    • /
    • 2009
  • 미강유(RBO), 팜스테아린(PS),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HO)를 기질로 사용하여 24 hr, $65^{\circ}C$의 조건하에 회분식 반응기(batch type reactor)에서 TLIM을 이용한 interesterification을 통해 생성된 저트랜스 쇼트닝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DSC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SFC 함량 변화는 commercial shortening과 low-trans shortening(LTS) 간에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고, slip melting point는 각각 35.5, $34.8^{\circ}C$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LTS는 전체 지방산 조성의 90% 이상이 C16:0(33.7 wt%), C18:1(45.7 wt%), C18:2(13.4 wt%)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트랜스지방산은 시중 유통 쇼트닝보다 3배 이상 적은 0.5 wt%로 미량 검출되었다. Sn-2 position에 위치한 지방산 조성은 C16:0이 36.6 wt%, C18:1이 43.5 wt%로 나타났다. LTS의 주요 TAG 조성으로는 POO, POP, PLO 등으로 나타났고, 반응 전과 반응 후의 TAG 조성을 비교해 보면, OOO와 PPP의 area%는 각각 27.65에서 6.97 area%로, 11.97에서 3.36 area%로 감소한 반면 POO는 15.94에서 29.05 area%로, PLO는 6.44에서 13.05 area%로 증가되었다. ${\alpha},\;{\gamma}\;{\delta}$-Tocopherol 분석 결과 LTS의 total tocopherol은 12.37 mg/100 g, ${\gamma}$-oryzanol 함량은 0.43 mg/100 g을 나타냈으며, total phytosterol 함량은 251.38 mg/100 g으로 나타났다. Commercial shortening과 LTS의 texture analyzer를 통한 hardness 측정 결과, commercial shortening은 157.41 g, LTS는 157.00 g으로 두 시료의 hardness가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LTS의 polymorphic form을 측정하기 위해 x-ray duffraction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쇼트닝이나 마가린은 ${\beta}'$형 결정일 때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데, LTS의 분석 결과 ${\beta}$형이 함께 공존하고 있지만, ${\beta}'$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 및 지방산 조성을 활용한 식용유지류의 판별 (Discrimination of vegetable oils by stable carbon isotope ratio and fatty acid composition)

  • 김재영;이상목;장문익;조윤제;채영식
    • 분석과학
    • /
    • 제27권1호
    • /
    • pp.66-77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식용유지에 대한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국내 유통 식용유지의 순수 여부 등 과학적 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수집된 식용유지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은 참기름 등 $C_3$ 식물군, $C_4$ 식물군인 옥수수유,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는 미강유 등 총 3개 그룹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수거된 식용유지의 지방산 조성은 각각의 지방산 마다 식용유지별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만으로 구분이 어려웠던 $C_3$ 식물 기원의 식용유지는 지방산을 동시 활용한 산점도 분포 분석을 통해 대표적인 저가 식용유지인 콩기름과 고가 식용유지인 참기름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과 지방산 조성을 동시 활용하여 식용유지의 판별이 부분적으로 가능하였으며, 이는 추후 식용유지류 관리 방안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미강유 중 고농도 자유지방산의 에스테르화 (Esterification of High Concentration Free Fatty Acid in Rice Bran Oil)

  • 신용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1-224
    • /
    • 2008
  • Characteristics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free fatty acid in rice bran oil and methanol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catalysts, such as PTS(p-toluene sulfonic acid), Amberlyst 15 dry and SCX(silica gel based strong cation exchange resin). While reaction temperature was kept constant at $65^{\circ}C$, initial feed content of free fatty acid was varied from 100% to 1% by addition of pure free fatty acid which was previously made from rice bran oil. Also, the effect of mole ratio of methanol to fatty acid on the final conversion was examined. When esterification of pure free fatty acid was catalyzed by several acids, final conversions were increased in order of Amberlyst 15 dry, SCX and PTS. Using PTS catalyst, initially the reaction proceeded in homogeneous 2nd oder reaction mechanism. However, phase of reaction mixture changed from homogeneous to heterogeneous along the reaction time and then reaction rate was retarded by mass transfer resistance of methanol. Final conversion of free fatty acid in reaction mixture was depended on initial feed content of free fatty acid, and had maximum value at 30% of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for all kinds of catalysts used. And the final conversion was increased with mole ratio of methanol by the improvement of reaction rate. When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below 10% and the reaction was catalyzed by PTS,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 in reaction mixture was increased in the middle of reaction time by hydrolysis of triglyceride in reaction mixture. Also, if silica gel was added into the reaction mixture which had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below 50%, final conversion was increased by the adsorption of moisture produced. The SCX catalyst made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f free fatty acid to progress like in case of PTS catalyst. However, when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below 10%,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 in. reaction mixture was decreased monotonically and not increased in the middle of reaction time on the contrary to the case of PTS. Thus, SCX catalyst accomplished more high value of final conversion than PTS catalyst for the initial feed fatty acid content range from 50% to 5% In case of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of 1% and mole ratio of methanol was 2,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 in reaction mixture increased over the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for all kind of catalysts used. Although SCX catalyst was added into reaction mixture which had 1% of initial feed fatty acid content, final conversion was hardly raised by mole ratio of methanol.

미세조류 Dunaliella bardawil에서 오존과 과산화수소에 의한 ${\beta}$-carotene의 축적과 식용기름을 이용한 추출 (Induction of ${\beta}$-carotene by Ozone and Hydrogen Peroxide and Extraction Using Vegetable Oil from Microalga Dunaliella bardawil)

  • 유경원;정욱진;정병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9-295
    • /
    • 1999
  • Dunaliella bardawil의 적절한 생장과${\beta}$-carotene의 효과적인 축적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염 농도, pH, 광량, 교반속도, 오존처리, 과산화수소 첨가 등의 영향을 비교하였고, 식용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beta}$-carotene의 추출조건을 비교하였다. D. bardawil의 비생장 속도는 1N NaCl, pH 8.0 광량 80${\mu}$$E/\m^2/s$ , 70rpm 으로 배양 시에 0.168/hr로 최대를 나타냈다. 흰색 형광등을 250${\mu}$$E/\m^2/s$ 로 조사한 경우 ${\beta}$-carotene isomer 축적은 cis isomer가 trans isomer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beta}$-carotene의 축적을 위하여 50${\mu}$M 과산화수소를 배양 2일 경과 후에 첨가한 경우 대조군의 축적율이 150${\mu}$g/ml인데 비해 324${\mu}$g/ml로, 200ppb로 2시간 오존 처리했을 때 약 1.8배 증가한 270${\mu}$g/ml이었다. 식용기름에 의한 37${\circ}C$에서의 추출효율은 올리브유, 참기름, 미강유, 옥수수유, 대두유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올리브유를 수층 부피의 9배로 첨가하고 50${\circ}C$에서 1시간 동안 sonication한 결과 96.95의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식물성 유지내 유리 지방산의 신속한 스크리닝 (Rapid Gas Chromatographic Screening of Vegetable Oils for Free Fatty Acids)

  • 김정한;김경례;채정영;오창환;박형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78
    • /
    • 1993
  • 식물성 유지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과 유기산들을 고상추출법으로 분리 농축하여 안정하고 휘발성이 큰 TBDMS 유도체로 전환한 후 GC와 GC-MS로 분석하였다. 고상 추출하기 전 유지를 dichloromethane에 용해시키고 $NaHCO_3$, 포화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방법이 지방만 회수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DMS 유도체화하기 전 유기산들을 triethylammonium염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미량의 휘발성 유기산의 손실을 막을 수 있었다. 대두유, 미강유. 참기름, 들기름 등을 분석한 결과 탄소수가 많은 유리지방산들이 주로 동정되었으며 정제하지 않은 참기름에서는 탄소수가 홀수인 지방산들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산들이 확인되었다. 아직 보고된 바 없는 아라키드산과 vanillic acid를 각각 들기름과 참기름에서 발견하였으며 참기름에 존재하는 유리상태의 올레산에 대한 리놀레산의 양적비율은 $1.02{\sim}1.18$로 문헌에 보고된 전체지방산 중의 함량비율인 1.19와 상당히 유사했다. 유리상태로서의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함량비는 참기름의 adulteration 여부를 판정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지의 유기산 조성을 단순화된 막대그래프 형태의 RI spectra로 표현한 결과 각 유지의 패턴분별이 매우 용이했다.

  • PDF

미강유래 식이섬유 헤미셀룰로오스의 추출 공정 최적화 (The 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on hemicellulose from rice bran)

  • 정지은;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32-541
    • /
    • 2008
  • 미강 식이섬유인 헤미셀룰로오스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헤미셀룰로오스 추출공정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NaOH 농도($X_1$), 추출 시간($X_2$)을 독립변수($X_i$)로 하고 추출물의 특성 즉, 추출 수율($Y_1$), Xyl/Ara ratio($Y_2$), 우론산($Y_3$), 베타 글루칸($Y_4$), 총 당($Y_5$)을 종속변수로 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R-square는 $0.8626{\sim}0.9319$으로 나타났으며, 추출 수율은 NaOH 농도가 증가하고 추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다. 추출 수율을 고려하여 이들 추출물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 추출조건은 NaOH 농도 2.45 M, 추출 시간 24.2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각 종속변수들의 예측값과 실제값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최적 추출물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표면구조는 매우 불규칙한 망상구조의 형태로 작은 입자와 큰 고분자 입자가 함께 관찰되었으며 평균 분자량은 $235{\sim}240$ kDa과 $8.0{\sim}9.4$ kDa의 범위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