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에탄올

검색결과 2,785건 처리시간 0.033초

매생이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및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Maesaengi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α-Glucosidase)

  • 조은경;유슬기;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11-818
    • /
    • 2011
  • 해조류 매생이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또는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증가율을 보였는데, 10 mg/ml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10.8, 62.4%, SOD 유사활성은 각각 13.8, 27.1%로 나타났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에서는 1 mg/ml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5.9, 49.7%의 활성을 보여 비교적 높은 효능이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나타났다.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저해능 분석으로 측정하였는데, 1 mg/ml 농도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1.4, 67.3%로써 비교적 높은 효능을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보였다. 매생이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심지어 acetaldehyde 분해능은 관찰되지 않았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각각 75.9, 51.2%로 나타났다.

새싹보리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산화방지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barley sprouts)

  • 채규서;류은혜;김기덕;김용석;권지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86-49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비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재배량 및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새싹보리를 물 및 25, 50, 75%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기능성분 분석 및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수율은 추출용매의 극성도가 낮을수록 높아졌는데, 75%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75%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다른 추출물 보다 약 2.5배 이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싹보리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와 상관없이 새싹보리의 주된 페놀성 화합물은 rutin, gallic acid, ferulic acid 및 ${\rho}$-coumaric acid로 나타났다. 또한 새싹보리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catechins 분석 결과 catechin, epicatechin, epigalloactechin, epicatechingallate 및 epigallocatechingallate가 분석되었다. 새싹보리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산화방지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FRAP를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던 75% 에탄올 추출물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FRAP 모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새싹보리에 존재하는 기능성 물질들은 비극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새싹보리를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물을 제조할 때 에탄올 농도가 높은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산화방지 활성에 효과가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돌외 잎 차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Dolwoe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leaves tea by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 김경철;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37-44
    • /
    • 2019
  • 본 연구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총 함량과 생리 활성에 대한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 추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35.54 ~ 71.52 mg GAE / g 범위였다. 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놀 함량이 높았고 80%와 99.5%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최고 함량이 확인되었다.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페놀 함량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항산화 실험으로 DPPH, nitric oxide, superoxide, hydroxyl radical 소거능과 TEAC, FRAP, ORAC를 측정하였다. Radical 소거능은 물이나 99.5% 에탄올 추출물 보다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TEAC와 FRAP은 에탄올 농도 의존적인 경향으로 높은 값이 나타났고 ORAC는 40 ~ 80%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돌외 잎 차의 항산화능을 검토한 결과 측정 방식에 따라 다른 경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실험에서 물 또는 99.5%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80%, 99.5%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고, 미생물 저해활성 또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차의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때 8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돌외 차의 식품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양파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튀김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Fish Paste Added with Ethanol Extract of Onion)

  • 박양균;김현주;김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49-1055
    • /
    • 2004
  • 항산화성분인 플라보놀 함량이 높은 양파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1%, 3% 및 5% 첨가하여 튀김 어묵을 제조한 다음 수분함량, pH, 산가, TBA가,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색도, 총 균수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여 제품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어묵의 수분함량은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어묵의 pH, 산가, TBA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증가하였다. 어묵의 색도는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총 균수는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대조구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1∼2일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가 색상, 향기 및 맛에 대한 선호도는 높았으나 조직감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3%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산화적 손상에 대한 꾸지뽕나무 잎, 열매 및 줄기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Curdrania tricuspidata Extracts against Oxidative Damage)

  • 김옥경;호진녕;남다은;전우진;황권택;강정은;채옥순;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개선 소재 개발을 위하여 꾸지뽕나무 각 부위별(잎, 줄기, 열매), 용매별(80% 에탄올, 10% 에탄올,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용매별로는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잎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HepG2 세포에서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해서는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만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각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간세포보호효과 또한 꾸지뽕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 용매별로는 꾸지뽕 잎의 경우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순이었으며, 줄기와 열매의 경우는 용매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H_2O_2$와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황금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의 피부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Skin Improvement of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 조성미;원유림;박진오;이혜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83-19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황금 70%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미백, 보습, 세포 재생 및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에 대한 세포 보호 효능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실험 결과, 70%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 모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항염 실험 결과, 70%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 모두 NO, 전염증성 cytokine(IL-6) 및 PGE2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백 실험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 모두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였으며, 보습 실험 결과, 70%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 모두 보습 인자인 HA의 생성량이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UVB 및 블루라이트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분석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 모두 UVB에 대한 세포 보호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은 블루라이트에 대한 세포 보호 효능 또한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 이동 및 증식 효능을 분석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세포 성장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황금 70%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 미백, 피부재생,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화장품 관련 천연소재로써의 활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방법을 달리한 곰취(Ligularia fischeri)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Ligularia fischeri by extraction methods)

  • 우연정;신승렬;홍주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13-1121
    • /
    • 2017
  • 본 연구는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을 위해 곰취의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수율 측정 결과 곰취 열수 추출물은 15.23%, 곰취 에탄올 추출물은 17.45%로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결과 곰취 에탄올 추출물인 LEE에서 각각 $17.17{\pm}4.38mg/g$, $35.06{\pm}6.69mg/g$으로 함량이 높았다. 곰취 추출물의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능,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으며, 곰취 에탄올 추출물인 LEE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곰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능은 증가함을 보였고, pH 1.2가 pH 3.0보다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와 tyrosinase 저해 활성은 곰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곰취 에탄올 추출물인 LEE에서 저해효과가 높았다. 환원력은 곰취 추출물 $1,000{\mu}g/mL$의 농도에서 곰취 열수 추출물인 LWE와 곰취 에탄올 추출물인 LEE에서 1.20로 환원력이 유사하였고, 곰취 추출물 $62.5-500{\mu}g/mL$의 농도에서는 곰취 열수 추출물인 LWE의 환원력이 높았다. 따라서 곰취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 결과 곰취가 항산화 및 생리활성이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한 약용식물 자원이며, 이를 활용한 가공 산업 및 지역 특산물 발전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비타민나무(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잎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s at different ethanol ratios)

  • 박민규;주신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5-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농도를 달리한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에탄올 농도별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40% 에탄올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285.06, 285.64 mg GAE/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총 비타민 C, 클로로필 a, 클로로필 b, 총 클로로필 함량은 각각 100% 에탄올 추출물이 123.78 mg NE/g, 807.11 mg/100 g, 30.65, 49.20, 77.58 g/mL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40% 에탄올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소거능(IC50 49.18, 49.03 ㎍/mL), ABTS+ 라디칼 소거능(IC50 67.52, 65.71 ㎍/mL), 아질산염 소거능(IC50 5.15, 4.24 ㎍/mL) 및 환원력(0.90-2.60, 0.97-2.73 O.D.)에서 가장 활성이 좋았고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은 40% 에탄올 추출물이 IC50 60.80 ㎍/mL로 활성이 좋았다. 또한 아질산염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비교군보다 활성이 좋거나 비슷하여 비타민나무 잎의 천연 항산화 물질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물질과 항산화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715-0.990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 제조 시 40% 에탄올 및 80% 에탄올 용매를 사용할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방식재료 추출물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 박찬성;양경미;김미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720-727
    • /
    • 2006
  • 본 연구는 산약, 행인, 산사자, 지실 등 4종류의 한약재를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및 암세포 증식억제능을 검토하여 이들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제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 1,000 ppm에서 산약은 14%, 행인은 36%, 산사자는 72% 그리고 지실은 43%였고,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1,000 ppm에서 산약은 62%, 행인은 59%, 산사자는 89% 그리고 지실은 42%였다. 4가지 약재 모두에서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농도가 올라 갈수록 전자공여능도 높아져 1,000 ppm에서 가장 높았고 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산사자, 지실, 행인 그리고 산약의 순서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산사자, 행인, 지실 그리고 산약의 순서로 산사자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았고 산약이 가장 낮았다. 산약, 행인, 산사자 및 지실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능은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한 pH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아질산염 소거능도 증가하였다. pH 1.2에서 물 추출물 1,000 ppm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산약이 5%, 행인이 31%, 산사자가 55% 그리고 지실이 45%였고 동일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산약이 18%, 행인이 32%, 산사자가 69% 그리고 지실이 52%였다.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산사자 가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고 지실, 행인 그리고 산약의 순서였다.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MDA-cell(유방암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능으로 행인과 산사자는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산약과 지실은 에탄을 추출물보다 물 추출물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특히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에서 행인과 산사자의 MDA cell에 대한 증식억제능은 94% 및 69%로 매우 높았다.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A549 cell(폐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지실이 가장 높아 물 추출물 1,000 ppm에서 45%였다.

야관문 추출물의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spedeza cuneata extracts)

  • 박혜미;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44-85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야관문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고자 열수 및 5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야관문 추출물의 생리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17.60%로 열수추출물 12.60%보다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42.26 mg/g 및 160.73 mg/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열수추출물에서 92.07% 및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96.38%로 나타나 50% 에탄올 추출조건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 $1,000{\mu}g/mL$에서 각각 94.46% 및 63.31%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50% 에탄올 추출시 높게 나타났으며, pH에 따라 산성에 가까울수록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Nitric oxide 생성량은 50% 에탄올 추출 $250{\sim}1,000{\mu}g/mL$에서 $7.15{\sim}20.61{\mu}M$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농도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인간 폐암세포주(A549), 인간 자궁경부암 세포주(HeLa), 인간 간암세포주(Hep3B) 및 마우스 복수암 세포주(sarcoma180)에 대한 암세포 생육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 및 50% 에탄올 추출물 모두 암세포생육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HeLa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은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