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 분무

Search Result 33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udy on Spray and Exhaus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DME-Biodiesel Blended Fuel in Compression Ignition Engine (압축착화기관에서 DME-바이오디젤 혼합연료의 분무 및 배기 특성에 관한 연구)

  • Cha, June-Pyo;Park, Su-Han;Lee, Chang-Sik;Park, Sung-Wo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1
    • /
    • pp.67-7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spray-atomization and combustion-emiss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DME blended fuel. In this study, two types of test fuels pure biodiesel (BD100) and blended fuel (B-DME20) were used, and the spra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uel compositions were analyzed. DME constitutes 20% and biodiesel constitutes 80% (by mass fraction) of the blended fuel. The overall spray characteristics, spray tip penetration, and cone angle were evaluated using frozen spray images. In addition, the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evaluated data for a single-cylinder CI engine with common-rail injection system. It was revealed that the injection profiles of both the test fuels for a given injection pressure showed similar trends. However, the injection profiles of the blended fuel (B-DME20) indicated shorter ignition delay than those of biodiesel.

Form Manufactur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eus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제형가공 및 품질특성)

  • Park, Su-Jung;Hong, Joo-Heon;Youn, Kwang-Sup;Choi, Yong-Hee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3 no.5
    • /
    • pp.569-573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nufacture new product containing high soluble polysaccharide from Hericium erinaceus extract. The new products were prepared for powder, granulate and tablet form by spray drying process. The high soluble powder form was mixed with sub-ingredients and then granulated form by granulator and molded as tablet form by a press molder respectively. Moisture content of products was following order; spray dried powder > granule > tablet Total sugar content of produce was observed to 19.14% in spray dried powder, 37.58% in granulate and 35.76% in tablet. The hue angle of products was $85.5^{\circ}$ in spray dried powder, $95.37^{\circ}$ in granulate and $94.67^{\circ}$ in tablet. The absorption capacity was higher in powder, but the product type did not affect the color.

레지오넬라균을 잡는

  •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67
    • /
    • pp.58-61
    • /
    • 2000
  • 하절기 외기 온도 상승에 따라 에어컨의 사용이 급증하게 되며, 특히 건물등의 공기조화장치의 가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질병은 공기조화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따라서 이 질병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방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레지오넬라는 물과 박테리아가 결합된 상태로 분무상태로 공기에 의해 전염된다. 레지오넬라가 검출되는 인공적인 시설물로는 공조, 산업용 cooling tower, $20^{\circ}C$에서 $45^{\circ}C$ 범외내의 온수 분무를 생산하는 기타의 시스템등에서 발생된다. 이에 (주)한수는 최근 레지오넬라균 및 미생물의 살균처리가 가능한 "레비오켐"을 개발,시판하고 있다.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s and Dried Powder Extracted from Herbal Plant Mixture (약용식물자원의 배합비와 제형이 추출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Cho, Yong-Sik;Park, Shin-Young;Choi, Yoon-Hui;Kim, Eun-Mi;Kwon, Hye-Ran;Lee, Kyu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5-95
    • /
    • 2009
  •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문화권에서는 천연 약용식물자원의 이용을 통하여 전통적으로 지역 보건향상을 도모해 왔으며 최근 성인병과 난치병 해결을 위한 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약용식물자원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분야가 주목되고 있다. 약용식물자원은 민간에서 약선음식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원료 농산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수준으로 광범위한 적용성을 가지는 약선식품용 소재화 기술개발은 약용식물자원의 소비촉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약선식품용 식품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약용식물자원의 배합비와 추출물의 제형이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스트레스 경감기능을 보유하는 약용식물자원은 고문헌에 기초하여 선정하였으며 약선원리에 따라 소정의 조건으로 3종(CLP 1, CLP 2, CLP 3) 배합비를 설정하였다. 추출물은 온도를 달리한 열수에 추출하고 유동Ext, 분무건조분말 및 과립으로 제형화 하였고 품질특성은 폴리페놀함량, 용해도, 투과도 및 색도특성을 분석하였다. 약용식물자원 혼합 추출물의 수율은 CLP 2가 65%로 가장 많았으며 1차 추출에서 76%의 수율을 보였고 추출시간대비 수율은 상업적 추출의 경우가 가장 높았다. 유동 Ext의 폴리페놀함량은 CLP 2가 g 당 11~13 mg을 함유하여 가장 많았고 CLP1과 CLP 2는 동등한 수준을 나타냈다. 유동 Ext는 99%의 용해도를 보였으며 투과도는 CLP 3가 52~68%로 가장 낮았으며 추출조건에 따라 색도가 차이가 있었다. 분말형태의 경우 폴리페놀 함량은 분무건조로 제조한 CLIP 2가 15.40mg/g으로 가장 많았다. 부형제로 과립화한 CLP 3가 g당 1.7 mg으로 가장 적었다. 분무건조분말은 98~99%의 용해도를 보였으며 부형제를 사용하여 분무건조하거나 과립화한 시료는 투과도와 명도가 높았으며 적색도와 황색도 및 갈색도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약용식물자원 혼합 추출물은 원료의 조합비와 추출물의 제형은 식품소재화에 따른 품질특성의 영향인자로 작용함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