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장오리오름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제주도 물장오리오름 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및 서식 환경 분석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fauna and habitat environment of Muljangori-oreum wetland in Jeju Island)

  • 한중수;안채희;임정철;조광진;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363-373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 4월부터 8월까지 3차례에 걸쳐 제주도 봉개동에 위치한 물장오리오름 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지점은 물장오리오름 습지를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접근이 가능한 3개 구역(1 area~3 area)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물장오리오름 습지의 서식지 환경을 분석한 결과, 월 평균기온은 7~8월에 가장 높고, 12~2월에 가장 낮은 양상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반복되었다. 월 강수량은 2017년을 제외하고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장마철인 6월부터 9월에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식생면적과 수 면적의 변동을 분석한 결과, NDVI는 2월부터 7월까지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NDWI는 반비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2문 3강 8목 17과 26종이 출현하였으며, 정성조사 시 13과 21종, 정량조사 시 15과 24종 412개체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깔따구류(Chronomidae spp.)가 132개체(32.04%)로 확인되었으며, 자색물방개(Noterus japonicus)가 71개체(17.23%)로 아우점하였다. 본 연구와 문헌에서 확인된 출현종을 비교·분석한 결과, 딱정벌레목과 잠자리목의 종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요 섭식기능군은 Predators, 서식기능군은 Swimmers로 분석되었다. OHC-group은 2021년에 17종(73.91%)이 확인되었으며, 2016년에는 23종(79.31%), 2018년에 26종(86.67%), 2019년에 19종(79.17%)이 출현하였다.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물방개(Cybister japonicus)가 문헌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2021년에도 10개체(2.43%)가 조사되었다. 따라서 물장오리오름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물방개의 서식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와 서식지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라산에서 발견된 미기록 응애 Asca bicornis (응애아강, 중기문응애목, 떠돌이응애과)의 보고 (A New Record of Asca bicornis Canestrini & Fanzago, 1877 (Acari, Mesostigmata, Ascidae) from Hallasan Mountain in the Republic of Korea)

  • 금은선;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91-197
    • /
    • 2018
  • 중기문응애목 떠돌이응애과는 토양에 서식하는 포식성 응애로, 토양해충의 생물적 방제원으로 이용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의 떠돌이응애과는 10속, 24종이 보고 되었다.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물장오리오름에서 토양응애 생물다양성 연구 중 이끼에서 우리나라 미기록종 Asca bicornis Canestrini & Fanzago, 1877을 발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등판과 배판의 묘사를 통해서 형태적인 특징을 자세히 제공하였다. 근연종인 A. aphidioides는 등판 양쪽 말단에 돌출된 혹에서 각 1개의 센털이 있으나, A. bicornis는 2개가 나 있다.

제주 기생화산 화구호의 환경과 식물성 플랑크톤상 (Freshwater algal flora and environmental factor at crater of Cheju parasite volcano)

  • 김은희;이호원;이상명;강현무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9
    • /
    • 2002
  • 본 연구는 제주 기생화산 화구호의 생물다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00년 3월부터 11월까지 식물성 플랑크톤상을 조사했다. 결과 출현한 조류상은 전체 6강 12목 23과 44속 87종 13변종 2품종으로 전체 102분류군이 출현하였다. Chlorophyceae가 40분류군(39.2%), Bacillariophyceae가 34분류군(33.3%), Cyanophyceae가 14분류군(13.7%), Euglenophyceae가 9분류군(8.8%), Dinophyceae가 3분류군(3.0%), Chrysophyceae가 2분류군(2.0%)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 출현은 3월이 74 분류군이 5월에는 46분류군이 8월에는 21분류군이 11월에는 22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였다. 조사지별 출현은 물찻이 54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물영아리는 22분류군이, 물장오리는 26분류군이, 동수악은 12분류군이, 어승생은 6분류군이, 샘이오름은 27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