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리적 교란

Search Result 29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udy on Response of River Geomorphology due to Human-Induced Disturbance (인위적 교란에 의한 하도지형의 응답에 관한 연구)

  • Kim, Ki-Heung;Jung, Hea-Rey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11-1015
    • /
    • 2010
  • 하천의 이용과 관리적 측면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하도의 직선화, 홍수량의 변화, 하상굴착, 하폭의 확대 축소 및 횡단구조물 등은 중규모 스케일의 하천지형을 인위적으로 교란시키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위적 교란은 하천생태계의 기반인 하천의 물리적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므로 하도지형의 응답방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하천 유역의 지형은 여러 가지 스케일의 지형단위가 조직화되어 있는 것이므로 대(大) 중(中) 소(小)의 3가지 스케일 지형단위로서 계(系, system)를 계층화하고, 작은 계층의 계(系)에서는 큰 계층의 계(系)를 고정적인 경계조건으로 하여, 그 내부의 여러 가지 특징이나 변화를 규정하는 주요 인자를 이용하여 분석해야 한다. 또한 대(大) 스케일은 유역스케일의 지형스케일이며, 하도의 수계망이나 하도종단형 형상 등이다. 중(中) 스케일은 segment에서 reach 스케일의 지형이며 사행형상, 하천 폭 등이다. 소(小)스케일은 수심의 10배 정도이하의 지형스케일이며, 소규모 하상파 등의 미지형(微地形)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강과 황강을 대상하천으로 유량 조절과 유사공급이 차단되는 댐하류 및 골재채취와 같은 인위적 교란요인에 의한 중규모(segment scale) 하도지형의 변화와 응답방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량 및 유사공급량의 변동의 크기에 따라 전체적인 하상저하와 더불어 사주와 소가 소멸되면서 여울과 소가 사라지는 현상이 동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하상의 평탄화에 의하여 저수로의 폭이 넓어져 복열사주가 발달하면서 수심 및 유속의 다양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roperties and Compression Index for Marine Clay (해성점토의 물리적 특성과 압축지수의 상관성)

  • 김동후;김기웅;백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6
    • /
    • pp.371-378
    • /
    • 2003
  • The compression index of clay distributed in the west and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studied. Compression index was obtained from the conventional consolidation test, and was conducted accordingly to obtain the field virgin compression curve by means of Schmertmann's graphical correction. To examine a correlation closely between physical properties of soils($e_o$, LL, w) and compression index(Cc), linen. and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es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compression index obtained by means of Schmereann's graphical correction is about 1.16 times for the value of original oedometer test curve for U/D samples. Non-liner regression curve was preferable to establish a correlation equation rather than linear regression curve. All derived equations so far achieved have been summarized and given. However, linear equation is better for practical use so that part by part simplified linear equations were also suggested alternatively together with their own non-linear regression curve.

Experimental Analysis of Physical Signal Jamming Attacks on Automotive LiDAR Sensors and Proposal of Countermeasures (차량용 LiDAR 센서 물리적 신호교란 공격 중심의 실험적 분석과 대응방안 제안)

  • Ji-ung Hwang;Yo-seob Yoon;In-su Oh;Kang-bin Yim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4 no.2
    • /
    • pp.217-228
    • /
    • 2024
  •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sensors, which play a pivotal role among cameras, RADAR(RAdio Detection And Ranging), and ultrasonic sensors for the safe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s, can recognize and detect objects in 360 degrees. However, since LiDAR sensors use lasers to measure distance, they are vulnerable to attackers and face various security threats. In this paper, we examine several security threats against LiDAR sensors: relay, spoofing, and replay attacks, analyze the possibility and impact of physical jamming attacks, and analyze the risk these attacks pose to the reliability of autonomous driving systems. Through experiments, we show that jamming attacks can cause errors in the ranging ability of LiDAR sensors. With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 multi-sensor fusion under development and LiDAR anomaly data detection, this work aims to provide a basic direction for countermeasures against these threats enhancing the security of autonomous vehicles, and verify the practical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untermeasures in future research.

Characteristics of Fish Compositions and Longitudinal Distribution in Yeongsan River Watershed (영산강 수계의 어류 종 조성 및 분포특성 분석)

  • Choi, Ji-Woong;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1 no.3
    • /
    • pp.301-310
    • /
    • 2008
  •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fish compositions and longitudinal distribution, based on trophic and tolerance guild at 22 sampling sites of Yeongsan River watershed during 2003$\sim$2006, and also to compare before and after the estuary dam construction. The collected fishes, based on catch per unit effort (CPUE), were 44 species in the watershed and dominant fishes were Zacco platypus, Acheilognathus macropeterus, Zacco temminckii and Carassius auratus. According to comparative analysis of fish in the non polluted sites (NPS) vs. polluted sites (P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as lower by 70% in the PS than the NPS, indicating ecological degradations by chemical pollutions or/and habitat modifications. The relative abundance of sensitive and insectivore species decreased as the stream order increases, while tolerant and omnivore species increased with the stream order. In this survey,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which is a top-carnivore and exotic species, may influence trophic guild system throughout active predations on endemic species, resulting in modifications of ecological functions. The construction of estuary dam on Yeongsan River in 1981 resulted in wider lacustrine zone and desalinated through limitation of seawater input. These physical changes have caused increases of lentic dwelling species and limited fish migrations (i.e., eel). Overall, fish fauna and composi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this water body may be reduced due to inputs of pollutants from the watershed, habitat modifications, and increases of exotic species (largemouth bass). For these reasons, effective lake management strategies are required for the ecosystem conservation.

Role of Aquatic Macrophytes as Refuge of Zooplankton on Physical Distribution (Summer Rainfall) in Shallow Wetlands (물리적인 교란 (여름 강우)에 대한 동물플랑크톤 서식처로서 수생식물의 중요성)

  • Choi, Jong-Yun;Kim, Seong-Ki;Kim, Dong-Hwan;Joo, Gea-Ja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9 no.4
    • /
    • pp.308-319
    • /
    • 2016
  • In order to evaluate the role of macrophytes as refuge of zooplankton on physical distribution (i.e. summer rainfall),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macrophytes, and zooplankton in waterside zones (macrophytes zones) and open water zones of 17 wetlands from May and August, 2011. In this study, a total of 51 zooplankton species were identified, and Polyarthra sp. and Diaphanosoma brachyurum were found to be the most dominant species. Waterside area of each wetland were occupied by a total of 10 macrophyte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dry weight) were different in the survey sites. Zooplankton was more abundant in waterside zone than open water zones lacking macrophytes (One-way ANOVA, df=2, F=27.1, P<0.05), in particular, waterside zone of 1, 8, 9, 10, and 11 wetland were supported by high zooplankton density after summer rainfall. This wetlands were developed by various macrophyte species than other wetland, and submerged plant commonly presented. Waterside zones with various macrophyte species provides complexity to the habitat structure, should be utilized as refuge to avoid disturbance such as summer rainf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macrophytes are the key components to enhance bio-diversity include zooplankton, and the inclusion of diverse plant species in wetland construction or restoration schemes will result in ecologically healthy food webs.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Physical Factors in Gongji Stream Area (공지천 수계에서 물리적인 요인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시.공간적인 변동)

  • Lee, Jaeyong;Lee, Kwang-Yeol;Han, Sang-Jin;Lee, Seok-Jong;Jung, Yukyong;Cheon, Jaelyoung;Choi, Jaeseok;Kim, Joon Ch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1
    • /
    • pp.24-32
    • /
    • 2014
  • Our study is purposed to understand effect on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y 11 sampling times at 4 sites between two streams (Shinchon stream and Gongji stream in Chuncheun City) from May 2011 to October 2013. In this study, the possible physical factors on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y were discussed. After stream improvement project, the effects of anthropogenic disturbance in study sites appeared as increased water temperature more than $30^{\circ}C$ and the difference of water temperature between Shinchon stream and Gongji stream was by maximum $9^{\circ}C$ on 2012. The monsoon rainfall decreased number of species, individuals and biodiversity index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y, particularly, in Shincheon stream compare to Gongji stream. Dominant species of macroinvertebrate taxa was caddisfly in Shincheon stream and Diptera in Gongji stream but on August 2013, it was dominated by Diptera, Chironomidae spp. in all study sites. The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the streams may be useful as bio-indicator influencing anthropogenic factors such as soil erosion (landslide or cultivation) or monsoon rainfall.

A Study on Adaptive Process from River Dredging Using the 2D Numerical Model in the Gamcheon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하천준설에 따른 교란하천의 적응과정 분석(감천을 중심으로))

  • Yun, La-Young;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01-805
    • /
    • 2009
  • 하천의 골재는 도로, 항만, 주택건설 등 다양한 건설재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급속한 산업화와 더불어 국가건설사업, 지방자치단체의 수익사업으로 인해 골재 수요가 급격히 증가해 왔다. 그러나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없이 무분별하게 행해진 하천준설은 하상저하, 하천의 불안정, 하상의 장갑화 등 물리적 영향뿐만 아니라 주변 하천의 식생, 저서생물의 서식처 등 수서생태계의 파괴, 하천정화능력 저하, 교각의 노출 등 생물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준설사업이 꾸준히 진행 중에 있는 낙동강 유역의 감천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2차원 수치모형인 RMA-2를 이용하여 준설에 따른 동수역학적 흐름특성의 변화를 모의하고, SED2D를 이용하여 단기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지형자료는 수치지도 및 실측자료를 토대로 하여 구축하였으며, 준설 전 후의 하상변동을 모의해 비교 분석한 결과, 하도중심에서의 흐름특성은 준설전에 비해 수위가 평균 0.85 m 저하되었고, 하상은 평균 0.56 m 저하되었다. 대상유역의 수위와 유속은 준설전에 비해 준설후에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준설전 후 전반적으로 하상상승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상류에서의 유사유입량이 많아 퇴적이 많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준설후는 준설전에 비해 하류에서의 퇴적량이 적게 나타났으며 이는 준설구간에서의 퇴적으로 인해 하류 유사이송이 적게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준설에 따른 하천환경 및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교란하천의 복원 및 관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Yeongsan Lake Ecosystem Using Various Environment Parameters (다각적 수환경지표를 이용한 영산호의 생태영향 평가)

  • Choi, Ji-Woong;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1 no.2
    • /
    • pp.155-16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cosystem of Yeongsan Lake using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indicators. We evaluated the integrative ecosystem health using Lentie Ecosystem Health Assessment (LEHA) model, Qualitative Health Evaluation Index (QHEI) model, and chemical water quality. The models of LEHA and QHEI were modified as 10 and 7 metries attributes, respectively. Also, we analyzed bioaccumulation of total mercury on various fish tissues by method of U.S. EPA 7473 using Direct Mercury Analyzer (Model DMA-80). Model values of LEHA model averaged 19 (range: $14{\sim}26$, n=15), which indicated a "poor" condition, and had slightly spatial variations. Values of the QHEI in the all sites averaged 72, which were judged as a "fair" to "good" condition. The QHEI values varied from 48 (fair condition) to 99 (good condition) and showed large longitudinal gradient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ach. Conductivity and salinity were increased from the up-lake to downlake reach. Analysis of total mercury in fish tissues showed that levels of total Hg ranged between 0.002 and $0.087\;mg\;L^{-1}$ depending on the types of tissues. Overall, the ecosystem health in the Yeongsan Lake was judged as a "poor" and the effects of bioaccumulation on the fish tissues were min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an efficient management for the lake environment to maintain their ecological health.

Luminance distribution of Illuminated Bridges by View Point (교량의 조망점에 따른 휘도분포 특성분석)

  • Choi, Yoon-Seok;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73-7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한강에 위치한 교량을 대상으로 다양한 조망점에 따른 경관조명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연구대상에 대하여 조망점이 달라졌을 때 나타나는 물리적 변화를 통해 경관조명분야의 물리량평가방법론의 새로운 접근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의 선정은 교량구조형식에 따라 분류하고. 경관조명이 설치된 교량 17개소 중 다양한 조망점과 현장측정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광진교(거더교), 올림픽대교(사장교), 동작대교(트러스교), 동작대교(아치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망점은 한강둔치를 이용하는 방문객들이 바라보는 투시뷰, 교량주변 건축물에서 바라보는 건물뷰 그리고 교량 위를 이동하면서 바라보는 주행뷰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으로 도출된 결과는 동일한 경관조명연출을 토대로 교량별 조망점에 따른 휘도측정 및 분석에서 측정되는 각도, 거리, 방향에 따라 정형화된 비율은 아니지만 휘도값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투시뷰와 건물뷰는 동일한 교량 구성요소를 갖고 있어 상호간 비교 분석이 가능하고 경관조명평가 요소로서 그 기능을 담당 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주행뷰는 교량형식과 가로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평가요소로써 조망점을 활용하기에는 조금 더 깊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경관조명을 평가함에 있어 다양하게 바라보는 조망점은 조명연출로 인한 시각적 인식에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어 경관조명을 평가할 때 다양한 조망점의 설정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idinium의 분포는 chlorophyll-a농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담수적조의 현존량은 상류지역에서 $8.5\;{\times}\;10^3\;cell\;mL^L{-1}$로서 많았고, 댐부근의 하류지역($4.4\;{\times}\;10^2\;cell\;mL^L{-1}$)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담수적조의 원인종으로 규조류 Synedra acus와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도 소량관찰되었다. 저수지의 수질 부영양화 현상은 기존 경사사면형 농경지를 기반으로 조성되었으므로 저층으로부터 풍부한 영양환경을 내재하고 있었고, 담수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유입수량의 부족과 현재 수질개선을 위해 적용하고 있는 수중폭기시설등의 물리적인 영향도 직 ${\cdot}$ 간접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였고 유역과 저수지의 통합적인 수질관리계획 이 요구되었다.group으로,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pH, 인산염이 정점 3, 4, 5에서 같은 group으로 묶였다.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sim}$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

  • PDF

A Study on Adaptive Process from River Dredging Using the Numerical Model in the Gamcheon (수치모의를 이용한 하천준설에 따른 교란하천의 적응과정 분석 (감천을 중심으로))

  • Yun, La-Young;Jang, Chang-Lae;Kim, Jo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89-1593
    • /
    • 2008
  • 하천의 골재는 도로, 항만, 주택건설 등 다양한 건설재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급속한 산업화와 더불어 국가건설사업, 지방자치단체의 수익사업으로 인해 골재 수요가 급격히 증가해 왔다. 그러나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없이 무분별하게 행해진 하천준설은 하상저하, 하천의 불안정, 하상의 장갑화 등 물리적 영향뿐만 아니라 주변 하천의 식생, 저서생물의 서식처 등 수서생태계의 파괴, 하천정화능력 저하, 교각의 노출 등 생물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준설사업이 꾸준히 진행 중에 있는 감천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1차원 수치모형인 Hec-ras4.0을 이용하여 준설량에 따른 흐름특성 및 교란된 하천의 적응과정을 분석하였다. 지형자료는 수치지도 및 실측자료를 토대로 하여 구축하였으며 장 단기 하상변동을 모의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준설구간의 흐름특성은 준설전에 비해 수위가 감소되었고 하상변동은 준설구간의 상류부에서는 하상저하가 발생하였으며 하류부에서는 하상상승이 발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준설에 따른 하천환경 및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하천공사 실시와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