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정치학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5초

확대 서평-이삼성 "현대미국외교와 국제정치", "미국의 대한정책과 한국민족주의"

  • 정영태
    • 출판저널
    • /
    • 통권138호
    • /
    • pp.10-10
    • /
    • 1993
  • 국제정치의 논리와 구조, 한국외교정책의 현황.전망을 다루고 있는 이 책들은 외교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내적요인에 대한 분석의 결여라는 한국 국제정치학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제정치학 주요이론을 소개.평가하고 구체분석도 행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잘 조망하고 있다.

  • PDF

김수영 시의 '언어-문자' 이미지와 '에크리튀르'의 정치학 (A Study on 'Language-Letter' images and politics of 'écriture' in Kim, Soo-Yung's poems)

  • 이찬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173-200
    • /
    • 2012
  • 이 논문은 김수영 시에 나타난 "말", "언어", "활자", "글자", "책", "서책", "서적" 등과 같은 '언어-문자' 이미지에 주목하여, 그것들의 배경을 이루는 '에크리튀르'의 의미소와 정치학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의제의 초점은 김수영 시를 언어학적이거나 수사학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 대부분의 논문들이 지니는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과정 속에서 마련되었다. 그것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지엽적이고 세부적인 언어 용법으로 김수영 시의 분석과 해석을 제한하고 있는 데서 발생한다. 곧 그의 시에서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는 '언어-문자' 이미지에 대한 총체적인 해석의 틀을 제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철학적이고 이론적인 해명이나 사회 정치적 담론 분석의 차원에서도 난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김수영 시에 드러난 "말"과 "언어" 이미지에 대해서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사유'에 입각하여 해명하려 했으며, "활자", "글자", "붓"에 대해서는 데리다가 제시했던 '원초적 글쓰기' 개념을 통해 새롭게 해석하고자 했다. 나아가 "책", "서책", "서적" 등과 같은 이미지에 대해서는 바이우의 '진리의 윤리학'과 데리다의 '에크리튀르'라는 문제틀을 함께 도입하여 김수영의 시를 '에크리튀르의 정치학'이라는 말로 새롭게 명명하고자 했다.

탈경계와 이행의 문화정치학 - 미하일 바흐친의 민중-이미지 - (Cultural Politics of Transgredience and Transition : "people-image" in Bakhtinian Thought)

  • 최진석
    • 비교문화연구
    • /
    • 제35권
    • /
    • pp.35-58
    • /
    • 2014
  •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people-image' of Bakhtin's works in the light of "Transgredience" and "Transition." According to Bakhtin, the real core of every culture is the people. But he did try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the people?" I think, the secret of Bakhtinian thought is located in the people-image, because it is the one of the territories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For this purpose, we have to examine four images represented by Bakhtin, - rogue, clown, fool, thief. These images are the concrete and individualized images of people, who can characterize the power of transgredience and transition. They commonly act for changing ordinary borders of identities formulated with nationality, property, status, classes, sex and so forth. In this sense, Bakhtin thinks that the masks are the real nature which can show the mutational power of Being. That is the kernel of Bakhtin's people-image that makes and changes every cultural world. When we accept and practise this perspective positively, we will realize that Bakhtin's position is close to the cultural politics, because a practical power of thought cannot help but being political. That's why we have to investigate Bakhtin's people-image from a vantage point of "Transgredience" and "Tran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