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95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Learning System for Cultural Asse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사물인터넷 환경 기반의 문화재 학습 시스템)

  • Lee, Eunmi;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37-3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oT(Internet of Things) 환경 기반의 문화재 학습 시스템 기술을 제안한다. 각 상황에 해당하는 시스템 모듈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재에 대한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 제공하여 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문화재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이해관계를 제공한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으로 국민의 문화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보 기술의 발전을 활용한 지식 정보 기반의 문화재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User Responsive Culture Tourism System based on Spring Framework Using OpenAPI (OpenAPI를 활용한 Spring Framework 기반의 사용자 반응형 문화관광 시스템 개발)

  • Cho, Kyu-Cheol;Park, Kyu-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35-13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시간·공간적 정보를 사용한 맞춤형 문화관광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스템 접근 위치와 시간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가까운 문화관광지와 참여가능한 축제와 활동을 선별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체적인 활동을 보여줌에 있어서 OpenAPI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Chart와 Grid layout를 통해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하고, Index을 통해 정보를 분류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정형화된 문화관광 시스템보다 다양한 형태의 문화관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The possibility and prospect for developing Sijo Munhwa information system (시조문화 정보시스템 개발의 가능성과 전망)

  • 한창훈
    • Sijohaknonchong
    • /
    • v.19 no.1
    • /
    • pp.37-62
    • /
    • 2003
  • This treatise discuss the possibility and prospect for developing Sijo Munhwa information system. The contents of it is summarized as follows. 1. We must gather and input correctly materials including original texts to develope Sijo Munhwa information system as linguistic data. 2. We must consider TEI(Text Encoding Initiative) and thesauras when we process the database. 3. 2 form the ground work of building Topic Map. 4. It's very important to link Sijo Munhwa information system as art material with visual or auditory images in three dimensions completely.

  • PDF

Development of 3 Dimensional Information system for culture and art (문화예술 3차원 정보시스템 개발)

  • Lee, C.W.;Kim, W.S.;Lee, M.S.;Kim, C.H.;Hong, S.W.;Lee, C.J.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 no.2
    • /
    • pp.279-283
    • /
    • 1995
  •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세계 여러나라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 사회를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lnfrastructure인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정부주도로 초고속망을 이용한 대국민 서비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이 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체육부에서도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대국민 서비스용 문화정보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정보망 사업의 최종 목표는 종래의 개념을 넘어선 인간에게 가장 현실감을 줄 수 있는 "가상박물관"과 같이 문화재를 글, 그림 이외에 3차원 업체형상을 가진 문화재를 3차원적으로 표현하여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볼 수 있도록 문화재를 이동, 회전 및 확대, 축소 표현이 가능한 3차원 형상정보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한다. 본 과제에서는 이러한 3차원 형상정보 데이타베이스 구축을 위해,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3차원 입체형상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모델링 시스템과 지원 도구 개발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이 시스템이 완성되면 문화재 형상의 영구보존, 문화재의 특성(크기,색,무늬,질감) 보존, 문화재 형상 복원 및 문화재의 시대적 상대평가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뿐아니라,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 및 정보처리 기술을 문화재 연구와 전시에 적용하여 문화정보망 사업의 구체적 효과를 가시화 할 수 있다.

  • PDF

Culture & arts hypermedia information retrieval (문화예술하이퍼미디어 정보 검색시스템)

  • 이창조;강윤희;김성훈;김문호;이상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396-400
    • /
    • 1995
  • 문화예술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타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 노드와 링크로 구성된 하이퍼미디어를 사용하였다. 지금까지는 문화예술 정보중 연극 정보와 문화재 정보에 대하여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으며, 계속하여 문화예술 전분야로 확대해 나갈 것이다. 연극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데이타베이스 검색과 키워드 검색을 이용할 수 있으며, 최종적인 검색 결과는 분산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인 Mosaic을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 PDF

GIS and satellite image development using 3D cultural properties information system (GIS와 위성영상을 활용한 3차원 문화재 정보 시스템 구현)

  • Song, Sang-Hun;Cho, Myu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595-60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3차원 문화재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과정으로 고 해상 위성영상 제작을 위한 DEM(Digital Elevation Model)제작단계와 위성영상 자료를 수집하여 영상이 지니고 있는 왜곡을 보정하는 자료보정 단계, 사용 목적에 맞게 영상을 가공하여 저장하는 영상 생성단계를 통해 위성영상 기반의 3차원 지형정보를 생성하고, 3차원 스캐너를 활용한 대상지역 문화재의 DB 구축과 3차원 복원을 통해 3차원의 문화재 정보를 획득하고 질감 및 재질 사실적인 면을 강조하기 위한 텍스처 맵핑 과정을 통해 3차원 공간적인 조건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 든 누구나 쉽게 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Web3D를 활용한 3차원 문화재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Visual SLAM-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opography and Architectural Heritage Model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 활용 Visual-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 Yoo, Eunji;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01-40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에서 사용되는 전시 매체 중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을 활용한 Visual 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활용을 제안한다. 현재 박물관에서 다양한 디지털 전시가 도입되고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고 있으나 오래전부터 도입된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의 ICT 기술 활용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Visual 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은 현실 객체의 특징점을 인식하여 3D 객체를 증강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문화유산 모형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제작을 제안함으로 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 기존 모형의 활용도 및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인터랙션 설정으로 추가 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다.

  • PDF

Construction of the Honam Culture Information System(HCIS) using Web GIS (WebGIS를 이용한 호남문화정보시스템(HCIS) 구축)

  • Yang, Hea-Kun;Shin, Hye-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2
    • /
    • pp.291-304
    • /
    • 2006
  • Individual culture information has been the mainstream in studies on culture information so far, and the studies have focused on zones using paper map. As a result, intuitive analysis in map and extremely restricted measuring space analysis are limited in summarizing and utilizing complicated and huge cultural materials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Introduction of GIS can be regarded as an indispensable element for solution of this problem as it can analyze temporal-spatial dynamics of culture information as a whole and to construct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regional culture information. In particular, supply of two-way information rather than one-way informa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society structure where value is diversified and the culture gets faster owing to high-level information industry like today. Accordingly,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n that WebGIS-based regional culture information system allows temporal-spatial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for various culture information for the users using internet. Regional culture information system like culture information system in Honam region can not only contribute to comparative study between regions and to creation of new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of statistics between culture elements but also allow easy and comprehensive approach to regional information.

  • PDF

A Design of Platform of Portable Cultural Assets Surveillance System (이동형 문화재 감시시스템의 플랫폼 설계)

  • Jung, Moo Kyung;Choi, Chang Yong;Lee, Ho Cheol;Lee, Dong 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599-600
    • /
    • 2013
  • In this paper, a platform of portable cultural assets surveillance system is designed in order to prevent the theft of cultural assets. The platform was designed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assets for minimizing of the damage of cultural assets. The platform is composed of the portable cultural assets surveillance system and the collaboration network protocol among th surveillance system. If an intruder steals the cultural assets and moves according to the scheduled route, it is expected that the platform has a great role because the platform of portable cultural assets surveillance system can performs the continuous tracking by the collaboration network.

  • PDF

Ontology-based Recommendation System for Maintenance of Korean Architectural Heritage

  • Lee, J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10
    • /
    • pp.49-55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ontology-based recommendation system for supporting maintenance of Korean architectural heritage. This study includes the following: 1) design of ontology expressing repair inform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2) creation of repair case DB, 3) creation of a recommendation system of repair method. For this study, we designed the ontology that expresses the information of Korean wooden building cultural heritage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heritage ontologies. Second, we created the repair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repair contents and the expert interview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rd, we developed a system that recommends the repair method of Korean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with the most similar phenomena and causes. This study contributes to sharing repair knowledge and determining repair methods for architectural heritage rep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