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운동

Search Result 78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Public Reading Campaign: The Case of 'One Book, SeongBuk' Campaign in Seongbuk-Gu, Seoul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을 중심으로 -)

  • Cho, Cha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7 no.2
    • /
    • pp.201-221
    • /
    • 2013
  • A public reading campaign is a sociocultural movement that can stimulate a sense of community. The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as a typical public reading campaign, was established as a new reading paradigm by sharing cultural experiences among community residents through discussions after reading 'one book,' thus evoking a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One Book, SeongBuk' reading campaign in Seongbuk-Gu, Seoul, which was awarded the title of '2012 Year of Reading' program. In line with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ublic reading campaign, looks into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the 'One Book, SeongBuk' reading campaign in Seongbuk-Gu, and analyzes and pinpoint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mpaign. By so doing,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public reading campaign.

日本の新宗教運動におけるヒーリングとスピリチュアリティ -<いのち>のコノテーションとその現代的限界性-

  • 樫尾直樹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6
    • /
    • pp.203-216
    • /
    • 2003
  • 본 논문의 목적은 근·현대의 일본 신종교운동들의 치료문화의 특징을 밝힘으로써 일본의 영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일본의 신종교운동들은 마음과 영혼에 상당한 비중을 주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들은 '마음의 회복'이라고 불리는 일정한 의식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자아의 변화이다. 본인은 일본의 치료문화의 배경 안에서 그 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대 일본의 신종교운동들은 일본의 전통적인 치료문화를 계승하여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일본 영성의 특징은 자아와 훌륭한 삶 사이의 연계감이며, 일본의 치료문화의 특징은 바로 그 영성에 바탕을 둔 신념과 의식에의 관심을 통한 삶과의 교섭에 중점을 두며, 일본과 같이 풍부하고 포스트모던한 사회 안에서 삶의 활력을 느끼기에 불가능하고 일본의 보통의 삶 안에서의 죽음에 대한 경험의 부재라는, 그래서 그것이 없이는 생동감 있고 명랑하게 살 수 없는 그것의 현대적 한계성을 지적하면서 결론을 위해 이 주제를 세 가지 점에서 다룬다. 1. 일본 신종교운동들의 역사 2. 그 치료와 영성 3. 생기 있는 영성

  • PDF

나의 장관시절-전국순회…'과학화운동' 보람 최종완 (1978~79, 제3대 과기처장관, 현 한국공업표준협회 명예회장)

  • Choe, Jong-Wa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2 s.309
    • /
    • pp.16-18
    • /
    • 1995
  •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인문사회적인 가치가 절대적이고 과학기술적인 가치가 천시되는 문화를 형성하였으므로 비합리적인 전통문화를 개혁하려면 고유문화를 경시하는 것으로 오해를 받곤 하였다. 우리사회의 이런 비합리성과 비능률성을 없애려면 '전국민의 과학화 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였다.

  • PDF

지역문화운동의 선명한 지향성 보이는 광주출판

  • Jeong, Hye-Ok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93
    • /
    • pp.8-8
    • /
    • 1991
  • 대개의 지방출판사들이 시나 수필 등 지역문인들의 문학적 성과물을 담아내는 데 주력한다면 광주의 출판사들은 대부분이 단순한 문예물 출판이 아닌 사회의 제반모순을 들춰내는 '운동으로서의 출판'을 지향하며 다양한 방법론으로 접근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 PDF

A Exploration on the Story Value and the Application as Local Cultural Contents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in Andong city (안동 여성독립운동가 이야기 가치와 지역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탐색)

  • Lim,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3-174
    • /
    • 2016
  • 본 논문은 안동 여성독립운동가들의 항일투쟁과 독립운동가 가족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지역공동체를 복원할 수 있는 지역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으로 첫째, 안동 독립운동에 대한 강좌형 체험프로그램 개발, 둘째, 독립운동 전통마을의 테마파크화, 셋째, 지역독립운동 해설사 콘텐츠 개발, 넷째, 지역독립운동 콘텐츠의 축제화를 제안한다.

  • PDF

영국의 National Trust-그 구조와 역할-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18
    • /
    • pp.15-28
    • /
    • 1981
  • 영국의 National Trust는 자연이나, 역사적 건축건물을 국민의 이익을 위해 영속히 보호하는 순수한 민간단체로, 전국민적 운동으로서, 더욱 더 성공을 거둔 일례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77년 10월 자연보호 운동의 획기적인 리기가 마련되어, 이후 정부.민간의 이원적인 자율적 체계로 범국민적 자연보호운동을 전개해 오고 있는 이 시기에 자연보호운동에 관심을 갖는 독자 제위께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되어 영정도웅씨가 쓴 "자연과 문화"라는 제하의 글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 PDF

'학생의 날' 맞아 살펴 본 한국학생운동 관련도서

  • Jeong, Hye-Ok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94
    • /
    • pp.16-16
    • /
    • 1991
  • 우리사회에서 차지하는 학생운동의 위상은 한 부문운동의 그것을 훨씬 넘어선다. 학생운동 이외의 다른 운동이 제대로 성장치 못했던 70년대 이전은 물론이고, 전체 민족민주운동의 역량이 상당히 발전된 80년대 이후에도 학생운동은 여전히 우리사회를 움직이는 중요한 추동력이 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munity Cinema : Focusing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alternative screening movement (한국 커뮤니티 시네마 특성 연구:한국 대안상영 운동의 역사를 중심으로)

  • Jeon, Byoungw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4
    • /
    • pp.227-238
    • /
    • 2022
  •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mmunity cinema movement'. The community cinema movement that has been active since the 2010's can be said to be a turning point in the Korean film culture movement. However, academic and policy definitions and research on the community cinema movement are extremely insufficient and only appear in some seminars or policy research reports.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mmunity cinema movement' in the flow of the Korean alternative screening movement. A comparative study through a diachronic approach to the Korean alternative screening movement and case analysis of community cinema is intend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munity cinema and suggest policy measures for which a support system has not yet been prep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