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영화

Search Result 73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Research on the Color Design Features of Zhang Yimou's Film "Shadow" (장예모 감독 영화<삼국-무 영자>의 색상 디자인의 특징에 관한 연구)

  • Zhou, wen-yuan;Kim, Hae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5-376
    • /
    • 2019
  • 영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환영을 받고, 가장 영향력을 가진 문화 산업 중 하나로, 우수한 영화 장면 디자인은 영화 스토리 효과의 발전에 빛을 한층 더한다. <삼국-무 영자>는 장예모 감독이 연출하여 2018년에 개봉한 최신 영화로, 이것은 동양의 수묵 스타일 영화로, 주로 흑백으로 나타난다.[1] 이 영화는 2018년 제75회 베니스영화제 비경쟁 상영부문, 토론토국제영화제 상영부문, 런던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했다. 장예모 감독은 민족문화의 내용을 표현할 때,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문화적 가치관을 자신의 촬영방식으로 풀어냈다. 그의 작품으로 보면, 이 영화의 주제는 주로 중국 고대의 역사문화와 수묵문화에 근거해 표현되며, 중국 전통문화의 독특한 매력에 대한 찬양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연출 스타일과 동양의 심미적 측면에서 영화가 지닌 예술적 특징, 영화에 담긴 인문정신을 탐구하고, 세계를 향해 중국 수묵문화의 문화적 의미를 소개하는 동시에, 영화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Dimensions between Korean Original Films and Chinese Remake Films (한국 원작영화와 중국 리메이크영화의 문화차원 비교연구)

  • WU, JUA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4
    • /
    • pp.339-347
    • /
    • 2019
  • This is a comparative cultural study on the cultural dimensions of the Korean original film and its Chinese remake film.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ultural dimension study by Dutch organizing psychologist Geert Hofstede (1991). In this research I have tried to compare cultural dimensions that are shown implicitly in the original Korean film of "Blind" and its Chinese remake, entitled "The Witness", in terms of the narrative structures.

영화 의상에 관한 연구 -195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 정현숙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84-86
    • /
    • 2004
  • 21세기를 대표하는 종합예술 중의 하나인 영화는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여 거대한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영화는 패션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영화의상은 영화의 극적인 효과를 위하여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복식을 뜻하며 배우가 착용하는 의상과 헤어스타일, 머리장식, 액세서리, 신발, 분장 등은 영화의 내용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속 주인공들의 스타일이 여성 패션의 흐름을 주도하기 시작한 1950년대에 유행하였던 영화들을 중심으로 영화의상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과 한국인의 일상복이 전통적인 의상에서 현대적이고 서구화된 의상으로 변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1950년대에 유행한 미국영화의 분석과 195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유행한 복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략)

  • PDF

Diversity Film for Regional Cultural Industrial Base (지역 문화산업 기반으로서의 다양성영화)

  • Kim, Nayun;Kim, S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51-352
    • /
    • 2013
  • 다양성은 문화산업의 기반을 풍부하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성영화는 비주류, 다문화, 소수, 마니아 적인 성격을 가지고있는 예술영화, 다큐멘터리, 독립영화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성영화는 지역의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고 다양한 의견을 포괄할 수 있어서 문화적인 풍부함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근간이 된다. 이 글에서는 다양성영화가 문화산업의 기반 구조를 충실히 하는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를 고찰하였다.

  • PDF

영화와 철학, 어떻게 만날까

  • Park, Jeong-Ha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35
    • /
    • pp.16-16
    • /
    • 1998
  • 우리 사회의 문화담론에서 영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압도저기다. 그 한 모퉁이에 '영화철학'을 표방하는 책들이 눈길을 끈다. 영화로 보는 철학, 철학으로 보는 영화를 시도한 책들은 영화와 철학적 사유의 만남을 가능케 하고 있다.

  • PDF

Opportunity Structure Analysis as Cultural Legitimation of Film World after the 1980s -the case of Popular Culture Movement & the Opening of Film Industry- (1980년대 영화의 정당화 과정으로서의 기회구조 분석 -민중 문화 운동과 영화시장 개방을 중심으로-)

  • Kim, J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4
    • /
    • pp.125-136
    • /
    • 2013
  • This paper studied the transition of changes in social status of the film since 1980s' Korea. After accepting the changes in social status of the film as the legitimation process of recognition for social and cultural value, this study investigated thos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purpose, opportunity structure in social movement theory was engag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ructured opportunity, which was considered as external variables of the film world, was divided into chance and risk factors. In this paper, the opportunity factors, affecting the legitimation process of film, included the emergence of popular culture movement. The risk factors, being considered as the violation of American filmdom and the consequential response of strategies were also researched. Those factors were responsible not only for external variables of filmdom, but also for compensators and competitors in the legitimation process of the film. Since 1980s', cultural industrial growth and democratization generation's entry into the film world affected the legitimation of the film as significant cultural product. Besides, the threat of American film industry changed rationality and competitive landscape of Korean film world.

Study of football film, as taste culture - Focused on And - (취향문화로서 스포츠영화의 재해석 연구 - 축구 소재 영화를 중심으로 -)

  • Kim, Bong chae;Lee, Byoung mi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2 no.1
    • /
    • pp.237-257
    • /
    • 2018
  • The distinction between high culture and popular culture is gradually weakening. Taste is becoming a new standard to distinguish culture. This research analyze sports film by taste cultural perspective. In perspective of Universality, and is Both emphasized the individual attitude of sincere effort.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capitalist ideology. Analyzing the two films as a global and local tastes culture, shows a new world that follows the birth of a star player and deifies the football beyond borders and races. shows the distrust of the system through the K-League Citizens' Club and the trust in individual who does their best in the meantime.

90년대 문화담론의 '발신기지', 영화

  • Park, Cheon-Ho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40
    • /
    • pp.18-18
    • /
    • 1998
  • 경제한파 속에서 영화서 출판이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영화를 통한 역사읽기가 활발해지고 있다. 영화관객의 수준을 높이는 데 이들 영화도서의 문자적 세례가 기여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 PDF

대중문화 시대를 이끄는 책(2)

  • Jeong, Jae-Hyeo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75
    • /
    • pp.23-23
    • /
    • 1995
  • 최근의 영화관련서들은 더욱 확장된 미디어 측면에서의 관심, 문화이론 연구의 지적 호기심, 영화 자체의 깊이있는 계보학에 관한 탐구 등의 세 갈래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앞으로 영화문화의 방향성 있는 장기기획이 더욱 요구된다.

  • PDF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만화애니메이션교육과 영화교육 :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교직과정을 중심으로

  • Lee, A-Ram-Chan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66-77
    • /
    • 2011
  • 1895년 영화가 탄생하면서부터 영화가 예술로서 인정받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듯이 영화가 그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기까지도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즉, 영화가 소비 지향적이라는 비판에서부터 영화는 집에서만 봐도 충분하다는 식의 편견까지 이러한 오해를 불식시키기까지 짧지 않은 시간이 흘렀다. 영화 자체가 교육적 대상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1964년 영국영화연구소에서 나온 "영화교육(Film Teaching)"에서 영화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된 이후에 자연스럽게 그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한편 2004년부터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의해 영화교육의 대중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고, 한 해 뒤인 2005년 만화애니메이션교육이 대중화시대를 열었다. 이렇듯 만화애니메이션교육과 영화교육은 그 교육적 접근은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과 관련해서 전문적인 동시에 대중적인 측면도 함께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대학교육에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중적인 영향력을 통해서 초 중등학교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교육영역이다. 이렇게 다양한 층위에서 진행되고 있는 만화애니메이션교육과 영화교육을 문화예술교육이라는 범주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는 전문예술인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인 아닌 초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것이다. 특히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만화애니메이션교육과 영화교육을 점검할 것이다. 그리고 영화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직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만화애니메이션교육도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밝힐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