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어

Search Result 53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유비쿼터스러닝의 성공 요소

  • Jeong, Ui-Seok
    • Digital Contents
    • /
    • no.7 s.146
    • /
    • pp.59-61
    • /
    • 2005
  • 정보통신 분야는 물론, 문화, 교육 등 생활 속 모든 분야에서 유비쿼터스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니고 있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2010년경에는 유비쿼터스가 우리 생활에서 대중화가 될 것이며 이에 따른 부가가치 규모도 8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교육 분야도 아날로그 환경 하에서 주변 환경 변화에 더디게 반응해 왔던 과거와 달리 최근 조금은 걱정스러울 정도로 IT의 신기술에 발 빠르게 적응하면서 e러닝, T러닝, M러닝, U러닝 등의 새로운 신조어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에 진정 살아 있는 e러닝의 최종 모습이라고 불려지고 있는 유비쿼터스 학습(U러닝)에 대해 살펴보고, U러닝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소들이 필요한가에 대해 살펴봤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4)-틀리기 쉬운 잉크용어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30
    • /
    • pp.164-167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1)-틀리기 쉬운 제판용어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27
    • /
    • pp.114-119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2)-틀리기 쉬운 제판용어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28
    • /
    • pp.120-123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3)-틀리기 쉬운 윤전인쇄용어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29
    • /
    • pp.120-124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6)-틀리기 쉬운 그라비어 인쇄용어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32
    • /
    • pp.118-119
    • /
    • 2005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2>인쇄매체에 잘못 표기되는 외래어 언제까지 이대로 둘것인가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24
    • /
    • pp.106-109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꼬미, 베다,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필자는 자신들의 영역에서 외래어를 순화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다. 뿐만 아니라 영문 발음과 한글 표기가 정확하지 않은 것도 많다. 이에 시급히 바꾸어야 할 용어를 정리해 본다. 용어의 나열은 가 나 다 순으로 하되 먼저 잘못 표기된 용어를 적고 이어서 시정 또는 권장 용어를 나타내었다.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내용 설명을 덧붙였다.

  • PDF

이사람-팀 소이어 KPG 아시아태평양지역 플레이트 프로덕트 매니저

  • Yun, Jae-Ho
    • 프린팅코리아
    • /
    • s.33
    • /
    • pp.114-117
    • /
    • 2005
  •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CTP 판재 시장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KPG(코닥폴리크롬그래픽스)의 아시아태평양지역 플레이트 프로덕트 매니저인 팀 소이어(Tim Sawyer)씨가 지난 2월 초 방한했다. 팀 소이어씨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 CTP 및 판재에 대한 기술적인 조언과 비즈니스 상 필요한 각종 정보지원 등을 하고 있다. 팀 소이어씨를 만나 CTP 및 판재, 그리고 최근 인수키로 한 크레오에 대한 내용을 들어보았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5)-틀리기 쉬운 종이용어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31
    • /
    • pp.100-103
    • /
    • 2005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3>인쇄매체에 잘못 표기되는 외래어 언제까지 이대로 둘것인가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25
    • /
    • pp.126-130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꼬미, 베다,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필자는 자신들의 영역에서 외래어를 순화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다. 뿐만 아니라 영문 발음과 한글 표기가 정확하지 않은 것도 많다. 이에 시급히 바꾸어야 할 용어를 정리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