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학관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문화예술의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 특성 연구 : 국내 문학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Marketing through Space Creation for Culture and Arts: With a Focus on Korean Literary Villages)

  • 안혜진;이승하
    • 지역과문화
    • /
    • 제8권2호
    • /
    • pp.21-4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각적 측면에서 문화예술공간의 장소마케팅적 가능성을 살펴 지역과 문학촌의 발전 가능성을 논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문학촌이 개별의 관(館)에서 탈피하고 지역문화 가치의 중심인 촌(村)으로 기능하는 가능성을 짚어보는 것이며, 나아가 지역활성화 및 문화예술사업발전의 기여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김유정문학촌', '이효석문화예술촌', '황순원문학촌소나기마을'을 선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고 그 운영 실태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문학촌이 유의미하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그 질을 높인다면 지역 사회의 중심축으로 충분히 기능할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시사하며, 이러한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여타의 문화산업과 차별화시키고 신산업으로의 입지를 확보해 지역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나가야 할 것이다. 이에 지역 내 문학 소모임 등을 문학촌에서 직·간접적으로 연계하여 진행하거나 공간 활용과 문학촌 내 관련 작품과 지역 교육을 연계하는 등의 접근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소성 강화를 위한 무섬별리문학관 공간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orytelling Method of Muesom Byeolli Literature Museum to Enhance the Placeness)

  • 이경숙;권기창
    • 지역과문화
    • /
    • 제6권1호
    • /
    • pp.29-5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섬마을을 무섬별리문학관으로 공간스토리텔링하는 것이다. 지역문학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무섬마을의 장소성 강화를 위해 닫힌 공간의 문학관이 아닌 열린 공간의 무섬별리문학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무섬마을을 분석하고, 그 가치와 의미를 살폈다. 이론적 고찰과 연구 대상의 분석에 따라 무섬별리문학관의 공간을 구성하여, 조지훈과 관련된 이야기로 방문객이 장소감을 느끼고, 장소성으로 이야기를 완성해가는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연인의 공간, 사유의 공간, 배려의 공간, 치유의 공간으로 구성하고, 사랑, 마을, 밥상, 유희로 공간을 스토리텔링하여 문학콘텐츠와 문학작품 배경인 마을의 공간을 극대화하였다. 이는 지역의 이미지 제고와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에 좋은 자연과 문화, 문학이 융합된 복합문화공간이 될 것이다.

회와(悔窩) 안중관(安重觀)의 시(詩)에 나타난 자아(自我)와 세계(世界)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world-recognition in Huewa Anjung-gwan's poetry)

  • 강혜규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5호
    • /
    • pp.245-264
    • /
    • 2008
  • This study considers Huewa悔窩 Anjung-gwan安重觀's self-consciousness and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Anjung-gwan resents that fact that Qing淸 rules over China. He insists that Chosun朝鮮 must remain faithful to Ming明. But Chosun served Qing in those days. He holds strongly to his belief until his death. So he chooses living in retirement in his life. In Anjung-gwan's poems, we can see that a certain circle of Chosun Confucianists believe in Sojunghwa小中華, which is small-Sinocentrism. In the first half of the eighteenth-century, some Chosun Confucianists feel sad about the situation that stops them from realizing their ideals. But they take pride in natural beauty and configuration of Chosun. And they pay attention to the life of Chosun masses. They recognize Chosun, which is Hwa華, has to keep self-respect to the last.

국내 문학관 건축의 유형과 공간.형태구성 특징에 관한 연구 -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ttern of Domestic Literature Museum and the Space.Form Composition Characteristic - Focused on Gyeongsang-do region -)

  • 장훈익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69-77
    • /
    • 2011
  •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through the present state of domestic literature museum and grouping by type to help the understanding for domestic literature museum. And conducted a case study on Gyeongsang-do region literature museum to grasp the space form composition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museum. The result gained through these studies is as follows. First, grouping domestic literature museum by type, we can conduct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location character, an exhibition writer, and the main body of erec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econd,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location character of literature museum is able to be divided into the type of the house of writer's birth, a literary work, writing, and etc. Third,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the number of exhibition writers can be divided into the type of independence, an individual pavilion, and integration. Fourthly,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the main body of erection and management can be divided into the case in which a local self-governing body is wholly in charge of erection and management, a local government is in charge of erection but entrusts management to a corporate body, etc., a corporate body is in charge of erection and management, and a private person is in charge of erection and management. Fifthly, speaking of the characteristic by type of the Gyeongsang-do region literature museum,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location has the type of the house of writer's birth the most,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the number of exhibition writers has the type of independence the most, and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the main body of erection and management has the most the type in which a local self-governing body is in charge of erection and management. Also, for the characteristic by space form, the case which expresses the character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y form is many the most, and there are pieces of work to pursue shape beauty through the articulation of mass or molding manipulation and the change by space form through the proper combination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as well.

영상매체의 한국문학 의미화 양상 연구 -드라마 <명동백작>(2004)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Korean Literature in Video Media -Focused on the drama "The Count of Myeong-dong"(2004))

  • 손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95-202
    • /
    • 2021
  • 우리는 드라마 <명동백작>(2004)을 통해서 드라마가 1950년대 한국문화와 문학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이 드라마는 명동에 주목하여 1950년대의 사회와 문학을 조망한다. 이 드라마는 평범한 사람들을 등장시켜서 당시의 사회상을 현실적으로 시청자들에게 소개할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의 인터뷰를 삽입하여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시인 이봉구의 시선을 통하여 서로 다른 문학인들과 그들의 문학을 연결시켜서 서사적 완결성을 얻어내는 동시에, 시청자들로 하여금 문학인들의 내면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주인공 이봉구는 드라마의 결말에서 다시 등장하는데, 그의 평가는 후대의 평가에 대한 의미 있는 강변이자, 1950년대의 한국문학을 시대적 아픔을 낭만적 정취와 문학적 열정으로 극복하고자 한 결과물로서 의미화한다. 특히 이 드라마는 1950년대 전후(戰後)라는 시대적 배경에 대한 시청자들의 이해와 실감,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문가와 해설자를 등장시켜 설명한다. 비록 드라마의 직접적인 해설에 의한 제한적인 해석이라는 또다른 함정을 내포하게 하지만, 맥락 속에서 인물들의 선택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문학관을 이해하게 하는 데에 주효하였던 것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드라마 <명동백작>은 영상을 통하여 1950년대의 문학과 문화 풍경을 대중적이고도 진정성 있게 시청자에게 전달한 의미 있는 텍스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