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체(文體)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ttention-based Unsupervised Style Transfer by Noising Input Sentences (입력 문장 Noising과 Attention 기반 비교사 한국어 문체 변환)

  • Noh, Hyungjong;Lee, Yeon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434-439
    • /
    • 2018
  • 문체 변환 시스템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병렬 말뭉치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최근 대량의 비병렬 말뭉치만으로 문체 변환 문제를 해결하려는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었지만, 아직까지도 원 문장의 정보 보존(Content preservation)과 문체 변환(Style transfer) 모두를 이루는 것이 쉽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비교사 학습의 특성상 문체 변환과 동시에 정보를 보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Attention 기반의 Seq2seq 네트워크를 이용할 경우에는 과도하게 원문의 정보가 보존되어 문체 변환 능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OOV(Out-Of-Vocabulary) 문제 또한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Attention 기반의 Seq2seq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어절 단위의 정보 보존력을 최대한 높이면서도, 입력 문장에 효과적으로 Noise를 넣어 문체 변환 성능을 저해하는 과도한 정보 보존 현상을 막고 문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어절들이 잘 변환되도록 할 뿐 아니라 OOV 문제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비교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들이 한국어 문장뿐 아니라 영어 문장에 대해서도 state-of-the-art 시스템들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Automatic Generation of Custom Advertisement Messages based on Literacy Styles of Classified Personality Types (성격유형별 문체 특성 기반 맞춤형 광고 메시지 자동생성 연구)

  • Jimin Seong;Yunjong Choi;Doyeon Kwak;Hansaem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31-436
    • /
    • 2022
  • 이 연구는 MBTI의 심리 기능지표 조합인 ST, SF, NT, NF의 유형별 특징을 반영한 마케팅 문체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모델 학습을 통해 성격유형별 맞춤화 된 광고 메시지로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활용되는 광고 메시지 자동 생성 기술은 BART 모델에 성격유형을 Prefix로 포함한 광고문을 학습시켜 성격유형에 따라 맞춤형 광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학습된 모델은 Prefix 조작만으로 MBTI 성격유형별 문체 특징을 갖춘 광고 메시지로 변환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격유형의 특징을 문체 프레임워크로써 정의하고 이에 기반한 모델 학습을 통해 성격유형별 특징을 반영한 광고 메시지를 재현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성격유형과 연관 feature를 함께 학습하여 유형별 문체 특징과 소구점을 포함한 광고 메시지를 생성했다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차후 타겟 고객층의 성격유형과 광고 도메인을 고려한 효과적인 광고 콘텐츠를 생성해 내는 모델을 개발하여 타겟 마케팅 분야는 물론이고 지역별 또는 언어별 문체 간 차이를 구조화하거나 재현해야 하는 문제에서 기반이 되는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detective story authors' style differentiation and style structure based on Text Mining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고전 추리 소설 작가 간 문체적 차이와 문체 구조에 대한 연구)

  • Moon, Seok Hyung;Kang, Juyou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5 no.3
    • /
    • pp.89-115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stylistic differences between Arthur Conan Doyle and Agatha Christie, famous as writers of classical mystery novels, through data analysis, and further to present the analytical methodology of the study of style based on text mining. The reason why we chose mystery novels for our research is because the unique devices that exist in classical mystery novels have strong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furthermore, by choosing Arthur Conan Doyle and Agatha Christie, who are also famous to the general reader, as subjects of analysis, so that people who are unfamiliar with the research can be familiar with them.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differences exist within the text and to interpret the effects of these differences on the reader. Accordingly, in addition to events and characters, which are key elements of mystery novels, the writer's grammatical style of writing was defined in style and attempted to analyze it. Two series and four books were selected by each writer, and the text was divided into sentences to secure data. After measuring and granting the emotional score according to each sentence, the emotions of the page progress were visualized as a graph, and the trend of the event progress in the novel was identified under eight themes by applying Topic modeling according to the page. By organizing co-occurrence matrices and performing network analysis, we were able to visually see changes in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s events progressed. In addition, the entire sentence was divided into a grammatical system based on a total of six types of writing style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writers and between works. This enabled us to identify not only the general grammatical writing style of the author, but also the inherent stylistic characteristics in their unconsciousness, and to interpret the effects of these characteristics on the reader. This series of research processes can help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entire text based on a defined understanding of the style, and furthermore, by integrating previously individually conducted stylistic studies. This prior understanding can also contribute to discovering and clarifying the existence of text in unstructured data, including online text. This could help enable more accurate recognition of emotions and delivery of commands on an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that currently converts voice into natural language. In the face of increasing attempts to analyze online texts, including New Media, in many ways and discover social phenomena and managerial valu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ore meaningful online text analysis and semantic interpretation through the links to these studies. However, the fact that the analysis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wo or four books by author can be considered as a limitation in that the data analysis was not attempted in sufficient quantities. The application of the writing characteristics applied to the Korean text even though it was an English text also could be limitation. The more diverse stylistic characteristics were limited to six, and the less likely interpretation was also considered as a limitation. In addition, it is also regrettable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zing classical mystery novels rather than text that is commonly used today, and that various classical mystery novel writers were not compared. Subsequent research will attempt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by taking into account a wider variety of grammatical systems and stylistic structures and will also be applied to the current frequently used online text analysis to assess the potential for interpret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enable the interpretation and definition of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style and that various usability can be considered.

Authorship Attribution in Korean Using Frequency Profiles (빈도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저자 판별)

  • Han, Na-Rae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0 no.2
    • /
    • pp.225-24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n authorship attribution study in Korean conducted on a corpus of newspaper column texts. Based on the data set consisting of a total of 160 columns written by four columnists of Chosun Daily, the approach utilizes relative frequencies of various lexical units in Korean such as fully inflected words, morphemes, syllables and their bigrams in an attempt to establish authorship of a blind text selected from the set. Among these various lexical units, "the morpheme" is found to be most effective in predicting who among the four potential candidates authored a text, reporting accuracies of over 93%. The results indicate that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techniques in authorship attribution and computational stylistics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Korean texts.

  • PDF

The Effects of Storytelling of Korean Food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sentence style and preliminary Knowledge - (스토리텔링이 한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장의 문체, 사전지식을 중심으로-)

  • Song, Young-A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5-106
    • /
    • 2015
  •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전공자, 음식 전공자, 마케팅 전공자가 음식 관련 스토리 창작을 위한 방법론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실험연구이다. 기존 음식 스토리텔링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스토리가 [왜 필요한가?], [왜 중요한가?]에 대한 답을 제공해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 단계 나아가 [어떻게 창작할 것인가?]에 답을 제공하고자 스토리 창작을 위한 첫 번째 고민인 스토리의 문체에 집중하였다. 따라서 독립변수로 음식 스토리텔링의 유 무, 음식과 스토리텔링에 관한 지식의 정도(초심자 전문가), 스토리의 문체(구어체 문어체)가 음식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면밀히 검증하였다.

  • PDF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Data for Automatic Generation of Emotional Copywrite (감성적 광고 카피 자동 생성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방법론)

  • Jimin Seong;Haeun Shin;Jiyoon K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336-341
    • /
    • 2023
  • 초대규모 언어모델의 뛰어난 생성 기술이 실질적인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매력적인 광고 카피를 생성하기에는 아쉬운 점이 많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광고 카피 자동생성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방법론 연구로, 데이터에 일관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감성적 카피의 문체적 특징을 프레임워크로 정의하고 이를 모델에 적용한 결과를 보여 데이터 설계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문체 적합성 측면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확인한 것에 비해, 한국어 보조사와 같이 미세한 어감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소나 의미적 중의성 해석 등의 고차원적인 한국어 구사능력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서 생성모델의 개선 여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인 감성형 카피 생성을 위한 프레임워크는 마케팅 실무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 세그멘테이션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타깃 고객의 취향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맞춤화된 광고 카피를 생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포조 의고시의 창작방식

  • Lee, Gyu-Il
    • 중국학논총
    • /
    • no.63
    • /
    • pp.161-181
    • /
    • 2019
  • 擬古詩是魏晉南北朝文學的重要創作方式之一. 初期主要模擬前代原作的主題和結構, 而後來向學習個別詩人風格的方向發展起來. 本論文認爲鮑照的擬古詩創作在這些過程中起到一定的作用. 鮑照的擬古詩既有這兩個特點, 也表現出其過渡期形態. 在創作動機上, 《擬古八首》結合擬古和言志兩方面, 以擬古的形式表現鮑照個人的氣質, 理想, 不平, 創作出明顯的抒情主人公形象. 這可以說是擬古詩創作的一個發展. 此外, 《學劉公幹體五首》, 《學陶彭澤體》, 《詠史》等作品學習前代特定詩人的詩體, 注意到詩人的精神氣質, 核心主題, 代表意象, 表現方式等的特點. 這意味著鮑照認爲這些是詩體形成的重要因素. 這種認識對後代江淹的《雜體詩三十首》創作具有直接影響.

Analysis of Predicate/Arguments Syntactico-Semantic Relation for the Extension of a Korean Grammar Checker (한국어 문법 검사기의 기능 확장을 위한 서술어와 논항의 통사.의미적 관계 분석)

  • Nam, Hyeon-Suk;Son, Hun-Seok;Choi, Seong-Pil;Park, Yong-Uk;So, Gil-Ja;Gwon, Hyeok-Cheo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403-408
    • /
    • 1997
  • 언어의 내적 특성을 반영하는 의미 문체의 검사 및 교정은 언어의 형태적인 면과 관련있는 단순한 철자 검사 및 교정에 비해 더 난해하고 복잡한 양상을 띤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의미 정보를 이용한 명사 분류 방법은 의미와 문체 오류의 포착과 수정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문맥상 용법이 어긋나는 서술어를 교정하기 위해 명사 의미 분류방법을 서술어/논항의 통사 의미적 관계 분석에 이용하여 의미 규칙을 세우는 과정을 서술한다. 여기서 논항인 명사의 의미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시소러스 기법과 의미망을 응용한다. 서술어와 논항 사이의 통사 의미적 관계에 따라 의미 문체 오류를 검사하고 교정함으로써 규칙들을 일반화하여 구축하게 하고 이미 존재하고 있는 규칙을 단순화함으로써 한국어 문법 검사기의 기능을 보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