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해결을 통한 교육

Search Result 61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gnitive Components Definition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Informatics Education (정보 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 정의)

  • Kim, JongHye;Jeong, HoiGang;Kim, HanSung;Kim, HyeonCheol;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1 no.2
    • /
    • pp.1-12
    • /
    • 2008
  •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ubject matter education. Especially, Informatics education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ability by using computer as well as the general problem-solving ability. This paper identifie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is required in Informatics education. The cognitive components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re organized as the result of cross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creativit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as judged by a panel of experts. The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re the elaboration, sensitivity, and reorganization in the step of 'Understanding and Analysis the Problem'. Also, The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re th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the step of the 'Exploring the Problem Solutions'. The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re elaboration in the step of the 'Design the Problem Solution' and 'Implementation'. Finally, the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re the flexibility and elaboration in the step of the 'Evaluation'.

  • PDF

The Impact of the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on the Performance of Project Completeness in Programming Education (EPL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문제해결 수준이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 Jang, Yun-Jae;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6
    • /
    • pp.41-51
    • /
    • 2011
  • Informatics curriculum has been revised for informatics principles and concepts to effectively teach.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researches are verify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algorithmic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using programming language by applying it to various area. However, researches in programm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 are yet incomplet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impact of the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on the performance of project completeness. As results of difference of project completeness, a high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group's performance of project completeness was higher than a low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group's on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on the performance of project completeness, 'problem finding' factor had a significant impac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importance of 'problem finding' and self-reflecting introspective 'reviewing' stages in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programming language.abstract of your study in English. This space is for the abstract of your study in English. This space is for the abstract of your study in English.

  • PDF

Usability Study through Project-based and Participatory Learning - Focused on Usability Improvement of Pointing Task using Wiimote - (과제 중심 및 참여학습을 통한 사용성 연구 사례 - Wiimote를 이용한 포인팅 작업의 사용성 개선을 중심으로 -)

  • Kim, Hye-Sun;Jung, Kwang-Ta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4 no.1
    • /
    • pp.22-29
    • /
    • 2012
  • Students have to effectively get lots of knowledge and technique for practical education. Usa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have to be considered for user-centered design. Students who study design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sability and learn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considering usability. For this,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and participatory learning for usability education was studied. Study team was organized including graduate, undergraduate, and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team identified a research topic, and then studied the topic. Usability evaluation and design improvement was performed in this study. Students could learn usablity evaluation method and design method through the process.

  • PDF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Informatics Curriculum (정보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측정 가능성에 대한 고찰)

  • Lee, TaeKeun;Kim, JaMee;Lee, WonGyu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171-174
    • /
    • 2018
  • 정보교과는 컴퓨터과학적 지식과 기술의 탐구와 더불어 실생활의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는 교과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보교과의 교과역량 중 하나가 협력적 문제해결력이다. 정보교육을 통하여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강조하는 역량 역시 협력이다. 본 연구는 정보교과의 관점에서 협력적 문제해결력 측정 방식을 깃허브, 스택오버플로우의 사례와 PISA, ATC21S의 평가사례를 비교하고자 한다. 협업을 통한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프로그래밍의 과정을 통하여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살펴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Web-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System for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웹기반 문제해결학습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 Ryu, Young-Lan;Park, Sun-J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4 no.2
    • /
    • pp.159-168
    • /
    • 2001
  • A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is to develop their ability that learners is able to solve present or future immediate problem well. In order to, the educator checks question settlement conditions and leads steadily, the learner needs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for question settlement, and needs communication with many various people. By the way, WEB becomes the source of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that it is naccesary to solve problem for freedom navigation of internet, because accelerates interaction quality communication needed question settlement process, offers the best studying environment for problem solution drilling. A methodolagical tactics for accelerating learner's question solution activity is helped by small-group action drill. According to, this treatise develops system of question solution drilling with web for a basis by small group action drill, applies the fifth grade it experimentally.

  • PDF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For Problem-Based Solution By Knowledge-Based Internet Search Service (인터넷 지식검색 서비스를 통한 문제기반 해결의 효과성 분석)

  • Jeon, Hong-Dae;Kwon, Hyung-Ky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05-613
    • /
    • 2004
  • 인터넷 등 각종 미디어의 발달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취득을 용이하게 만들었고 교육내용의 유용한 전달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인터넷의 수많은 정보 중에서 단순한 정보의 취득만으로는 비구조적이고 복잡 다양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므로 정보를 가공하여 도출되는 결과물인 지식을 취득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터넷의 엄청나 정보량은 어떤 정보가 학습자에게 필요한지 파악하기 어려우며 또, 원하는 정보를 적시에 손쉽게 취득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지식으로 조합할 수 있는 방법에 익숙치 못하다. 지식검색 서비스는 간단한 키워드의 사용만으로 다양한 지식을 정보의 형태가 아니라 지식의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빠르고 간편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지식검색 서비스 활용도는 매우 커지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지식습득 방법으로 제시되는 지식검색 서비스가 과연 문제중심학습 등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제공되는 지식이 정확성을 가지고 있는지, 다양한 범위를 가지는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 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검색방법을 이용한 지식습득과 지식검색 서비스를 이용한 지식의 습득에서 오는 차이를 분석하여 문제중심학습 등에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지식습득 방법과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nfluence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Computing ThinkingAbility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est (컴퓨팅 사고력을 토대로 한 융합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 Bum;Ahn, Sung Hun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6 no.3
    • /
    • pp.179-18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convergence education applying computing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e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students in 3rd grade elementary school and 15 students in 6th grade, totaling 38 subjects. As a research method, problem-solving ability and interest were measur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to see the pre-post differe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convergence education applying computing thinking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convergence education applying computational thinking has a partial effect on the degree of interest by subject. Looking at the details,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was high, but interest in eating habits was relatively low.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contributes to draw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est.

An Informatics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정보 교육 프로그램)

  • Lee, Young-Jun;Lim, Woong;Lee, Eun-K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3 no.1
    • /
    • pp.1-8
    • /
    • 2010
  •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n ability to solve problem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problems that can not be solved only with existing knowledge are increasing. Therefore, we developed an informatics education program that enhance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through systematic collection of information. This program designed to enhance both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The developed program improves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learner's internal knowledge as well as new information that is collected from external world.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program can be provided through continuous program improvement.

  • PDF

Expert-novice differences of mental representation and problem solving strategy in mechanics problems (물리 문제에 있어서 전문가-초보자 간의 내적표상과 해결방안의 차이)

  • Park, Yun-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8 no.2
    • /
    • pp.43-52
    • /
    • 1988
  • 과학교육에서의 문제해결력의 강조는 그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인지 심리학에서의 정보처리 모형을 사용한 문제해결과정의 분석이 사용되면서 그 교수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하나의 탐색연구로써 학습자들이 물리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그 문제를 자기나름으로 이해하여 만든 내적표상과 동원한 해결방안이 문제해결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내보려고 한다. 물리전공 박사과정 학생 3명을 전문가로, 고등학생 2명과 대학 1년생 4명, 모두 6명을 초보자로 삼아 역학내용을 다룬 세 문제를 소리내어 푸는 과정을 개인별로 녹음하여 그 문제해결과정들을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사고수준을 알기위해 사고 수준검사가 실시 되었다. 주로 질적 분석을 사용했으나 그 결론을 뒷받침하기위해 비모수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유의수준 . 10)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내적표상은 피험자와 문제에 따라 각각 달랐다. 초보자들은 모두 한가지 표상을 세 문제에 걸쳐 계속 사용한데 반해, 2명의 전문가는 문제에 따라 다른 표상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상의 형태에 따라 문제해결결과가 달랐다. 즉,일-에너지 표상형태를 사용한 피험자가 더 나은 결과를 얻는것으로 나타났다. 2) 문제해결방안에 있어서는 전문가들은 세문제에 걸쳐 계속하여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하였으나 초보자들은 문제에 따라 다른 방안들을 동원하였다.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한 경우가 다른 것들에 비해 더 나은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고 수준검사(하위검사 또는 전체)의 접수와 문제해결과정 변인들-특히 내적표상의 형태, 문제해결방안의 종류, 목표확인 그리고 문제 해결력-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그외 속도와 가속도 개념의 혼동, 마찰력 개념의 부정확 등이 공통적으로 범하는 실수였다. 본 연구가 과학교육 실제에 주는 함의로는 내적표상, 문제해결방안의 훈련을 통한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들 수 있겠으며 이를 위한 세부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sign of PBL(Problem - Bas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for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learning (HTML 학습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모형 개발)

  • Lee, Sun-Hyun;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401-408
    • /
    • 2005
  •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 학습 모형인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PBL) 모형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HTML 학습 방안의 탐색을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학생이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학습을 통해 프로그래밍을 학습할 때 단순문법을 익히는 것을 넘어 프로그래밍 언어를 자율적이고 창의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차원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문제중심학습의 기존모형들이 갖고 있는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문제중심학습의 절차는 문제와의 만남- 문제의 해결 전략 세우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수집- 문제의 해결 -평가 단계와 같다. 학습과정 에세이 기록을 통해 학습절차를 설계하고 과정을 돌이킬 수 있으며 피드백 과정을 통하여 학습의 결손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구성주의 학습 모형인 문제중심학습(PBL)을 HTML 언어교육에 적용 할 경우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창의력 논리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