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장 구성

Search Result 64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ntrollable data augmentation framework based on multiple large-scale language models (복수 대규모 언어 모델에 기반한 제어 가능형 데이터 증강 프레임워크)

  • Hyeonseok Kang;Hyuk Namgoong;Jeesu Jung;Sangkeun J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3-8
    • /
    • 2023
  • 데이터 증강은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에서 필요한 데이터의 양이 적거나 편향되어 있는 경우, 이를 보완하여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미지와는 달리 자연어의 데이터 증강은 문맥이나 문법적 구조와 같은 특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증강에 많은 인적자원이 소비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수의 대규모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입력 문장과 제어 조건으로 프롬프트를 구성하는 데 최소한의 인적 자원을 활용한 의미적으로 유사한 문장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대규모 언어 모델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만이 아닌 병렬 및 순차적 구조로 구성하여 데이터 증강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규모 언어 모델로 생성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개수의 원본 훈련 데이터와 증강된 데이터를 한국어 모델인 KcBERT로 다중 클래스 분류를 수행하였을 때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다중 대규모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데이터 증강을 수행하였을 때, 모델의 구조와 관계없이 증강된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만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높거나 그에 준하는 정확도를 보였다. 병렬 구조의 다중 대규모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400개의 원본 데이터를 증강하였을 때에는, 원본 데이터의 최고 성능인 0.997과 0.017의 성능 차이를 보이며 거의 유사한 학습 효과를 낼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 Sentence Theme Allocation Scheme based on Head Driven Patterns in Encyclopedia Domain (백과사전 영역에서 중심어주도패턴에 기반한 문장주제 할당 기법)

  • Kang Bo-Young;Myaeng Sung-Hyo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5
    • /
    • pp.396-405
    • /
    • 2005
  • Since sentences are the basic propositional units of text, their themes would be helpful for various tasks that require knowledge about the semantic content of text. Despite the importance of determining the theme of a sentence,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problem of automatically assigning the theme to a sentence. Therefore, we propose a sentence theme allocation scheme based on the head-driven patterns of sentences in encyclopedia. In a serious of experiments using Dusan Dong-A encyclopedia,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ed the baseline of the theme allocation performance. The head-driven pattern 4, which is reconfigured based on the predicate,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the theme allocation with the average F-score of $98.96\%$ for the training data, and $88.57\%$ for the test data.

Syntactic Analysis of Korean Sentence for Machine Translation (한국어의 Machine translation을 위한 구문 구조 분석)

  • Lee, Ju-Geun;Han, Seong-Guk;Jeon, Byeong-D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18 no.5
    • /
    • pp.15-21
    • /
    • 1981
  • This paper deals with the syntactic analysis algorithms of Korean sentence and system for machine translation. The parts of speech and constituients are syntactically analized at unified view-points and then an effective classification algorithm is proposed. The constituients which are applied an inverse movement transformation algorithm are processed with the concept of attribute. Syntactic analysis system is constructed to generate parsing table including the deep structure of sentence by lexicon proper to the combinational property of Korean and breadth-first searching metho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ystem program are shown as the parsing table of source sentences.

  • PDF

Feasibility Test and Design of Korean Translation Memory System (한국어 번역 메모리 시스템의 실현성 분석 및 설계)

  • Ryu, Cheol;Roh, Yoon-Hyung;Lee, Ki-Young;Choi, Sung-Kwon;Park, Sang-Ky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281-287
    • /
    • 2001
  • 번역 메모리(Translation Memory) 시스템이란 기존에 번역된 결과를 담고 있는 대용량의 번역 메모리에서 사용자가 제시한 입력문과 가장 유사한 문장을 검색한 후, 유사도 순으로 결과를 제시하여 이후의 번역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기계 번역 시스템과 비교해 볼때, 보다 실현 가능성이 높은 자연어 처리의 응용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번역 메모리 시스템에서 핵심이 되는 요소는 번역메모리의 구성과 유사성 척도에 대한 정의라고 할 수 있다. 국외의 경우, 이미 많은 상용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번역 작업의 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한국어 번역 메모리의 구성 및 한국어 문장간 유사성 척도 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번역 메모리의 효율적인 구성 방법 및 문장간 유사성 척도에 대한 정의를 내리며, 한국어를 대상으로한 번역 메모리 시스템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논한다.

  • PDF

Hybrid ASR Error Correction Using Word Sequence Pattern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단어열 패턴 매칭과 Recurrent Neural Network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음성 인식 오류 수정 방법)

  • Choi, Junhwi;Ryu, Seonghan;Lee, Kyusong;Park, Seonyeong;Yu, Hwanjo;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29-13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단어열 패턴과 리커런트 신경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음성 인식 오류 수정 방법을 제안한다. 음성 인식 결과 문장에서 음성 인식 오류 단어가 발견되었을 경우에 첫째로 단어열 패턴과 그 패턴의 발음열 점수를 통해 1차적 수정을 하고 적절한 패턴을 찾지 못하였을 경우 음절단위로 구성된 Recurrent Neural Network를 통해 단어를 음절단위로 생성하여 2차적으로 오류를 수정한다. 해당 방법론을 한국어로 된 음성 인식 오류와 그 정답 문장으로 구성된 TV 가이드 영역 말뭉치를 바탕으로 성능을 평가하였고, 기존의 단순 단어열 패턴 기반의 음성 인식 오류 수정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방법론은 음성 인식 오류와 정답의 말뭉치가 필요 없이 옳은 문장으로만 구성된 일반 말뭉치만으로 훈련이 가능하여, 음성 인식 엔진에 의존적이지 않는 강점이 있다.

  • PDF

Exploratory Research on Automating the Analysi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 러닝을 활용한 과학 논변 구성 요소 코딩 자동화 가능성 탐색 연구)

  • Lee, Gyeong-Geon;Ha, Heesoo;Hong, Hun-Gi;Kim, Heui-Ba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2
    • /
    • pp.219-234
    • /
    • 2018
  •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utomating the process of analyzing elements of scientific argument in the context of a Korean classroom. To gather training data, we collected 990 sentences from science education journals that illustrate the results of coding elements of argumentation according to Toulmin's argumentation structure framework. We extracted 483 sentences as a test data set from the transcription of students' discourse in scientific argumentation activities. The words and morphemes of each argument were analyzed using the Python 'KoNLPy' package and the 'Kkma' module for Korea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fter constructing the 'argument-morpheme:class' matrix for 1,473 sentences, fiv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generate predictive models relating each sentences to the element of argument with which it corresponded. The accuracy of the predictive models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results of pre-coding by researchers and confirming the degree of agreement. The predictive model generated by the k-nearest neighbor algorithm (KNN) demonstrated the highest degree of agreement [54.04% (${\kappa}=0.22$)] when machine learning was performed with the consideration of morpheme of each sentence. The predictive model generated by the KNN exhibited higher agreement [55.07% (${\kappa}=0.24$)] when the coding results of the previous sentence were added to the prediction proces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importance of considering context of discourse by reflecting the codes of previous sentences to the analysis. The results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automating the analysis of students' argumentation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Improvement of a Korean Speller with Collocation of Parts of Speech (연어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철자 검사기의 기능 개선)

  • Sim, Chul-Min;Kim, Hyun-Jin;Kim, Young-Jin;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86-90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한 어절 단위에서 다수 어절 단위로 그 고려 영역을 확장한 개선된 철자 검사기를 제시한다. 개선된 철자 검사기는 1) 한 어절 철자 검사 교정부, 2) 언어 규칙 처리부, 3) 문장 부호 규칙 처리부로 구성된다. 한 어절 철자 검사 교정부는 기존의 철자 검사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연어 규칙처리부는 형태소간의 연어 관계를 이용하여 7가지로 유형 분류된 어절 간 오류를 처리한다. 문장 부호 처리부는 문장 부호 자체의 오류와 문장 부호를 참조하여 좌우 어절들의 오류를 검사한다. 현재 256가지의 연이 규칙과 51가지의 문장 부호 규칙이 구축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개선된 철자 검사기는 한국어 문체 검사기(Korean Style Checker) 로서 의의를 가지며, 형태소의 연어 정보는 향후 파싱 등의 문장 분석이나 의미 분석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Retrieval Model Providing Relevant Sentences in Storytelling on Semantic Web (시맨틱 웹 환경에서 적합한 문장을 제공하는 이야기 쓰기 도우미에 관한 연구)

  • Lee, T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4
    • /
    • pp.7-34
    • /
    • 2009
  • Structures of stories, paragraphs, and sentences and inferences applied to indexing and searching were studied to construct the full-text and sentence retrieval system for storytelling. The system designed the database of stories, paragraphs, and sentences and the knowledge-base of inference rules to aid to write the story. The Knowledge-base comprised the files of story frames, paragraph scripts, and sentence logics made by mark-up languages like SWRL etc. able to operate in semantic web.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ore precise indexing language represented the sentences and to create a mark-up languages able to construct more accurate inference rules.

The effect of syntatic and pragmatic Constraints on Sentential Representaition and Memory Accessibility (통사적 제약과 화용적 제약이 문장의 표상과 기억접근에 미치는 효과)

  • Kim, Sung-Il;Lee, Jae-H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6 no.2
    • /
    • pp.97-116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yntaction and pragmatic constraints influence the sentential representation and memory accessibility. In order to seperate the syntactic constraints from the pragmatic constraint from the pragmatic constraints,the syntactic role of constituent in the sentence (subject or object) and the order of mention(first or second) were manipulted.After each sentence was presented by RSVP procedure,the probe recognition time was measured to investigate memory accessibility.In Experiment 1,in which SOA interval was 255ms,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of a sentece were more accessible than the object and participants first in a sentence were more accessible than participants mentioned later.However, in Experiment 2,in which SOA interval was 1540ms,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mentioned first in a sentence were more accessible than participants mentioned later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of a sentece.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ntactic and pragmatic constraints have an independent effect on the initial senential representation at the early stage of constructing representation,but as time passes only the pragmatic constraints influence sentential representation.These results also support a theoretical position which assumes that sentential representation is constructed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gent statisfaction of multiple constraints.

  • PDF

Advanced detection of sentence boundaries based on hybrid method (하이브리드 방법을 이용한 개선된 문장경계인식)

  • Lee, Chung-Hee;Jang, Myung-Gil;Seo, Yo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61-66
    • /
    • 2009
  • 본 논문은 다양한 형태의 웹 문서에 적용하기 위해서, 언어의 통계정보 및 후처리 규칙에 기반 하여 개선된 문장경계 인식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구두점 생략 및 띄어쓰기 오류가 빈번한 웹 문서에 적용하기 위해서 문장경계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음절을 대상으로 학습하여 문장경계 인식을 수행하였고, 문장경계인식 성능을 최대화 하기 위해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최적의 자질 및 학습데이터를 선정하였고, 다양한 기계학습 기반 분류 모델을 비교하여 최적의 분류모델을 선택하였으며, 학습데이터에 의존적인 통계모델의 오류를 규칙에 기반 해서 보정하였다. 성능 실험은 다양한 형태의 문서별 성능 측정을 위해서 문어체와 구어체가 복합적으로 사용된 신문기사와 블로그 문서(평가셋1), 문어체 위주로 구성된 세종말뭉치와 백과사전 본문(평가셋2), 구두점 생략 및 띄어쓰기 오류가 빈번한 웹 사이트의 게시판 글(평가셋3)을 대상으로 성능 측정을 하였다. 성능척도로는 F-measure를 사용하였으며, 구두점만을 대상으로 문장경계 인식 성능을 평가한 결과, 평가셋1에서는 96.5%, 평가셋2에서는 99.4%를 보였는데, 구어체의 문장경계인식이 더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평가셋1의 경우에도 규칙으로 후처리한 경우 정확률이 92.1%에서 99.4%로 올라갔으며, 이를 통해 후처리 규칙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최종 성능평가로는 구두점만을 대상으로 학습된 기본 엔진과 모든 문장경계후보를 인식하도록 개선된 엔진을 평가셋3을 사용하여 비교 평가하였고, 기본 엔진(61.1%)에 비해서 개선된 엔진이 32.0% 성능 향상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이 웹 문서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