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양배치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전통 물고기문양을 모티브로 한 창의적 디자인 개발 연구 - 문양의 배치 및 색채 배색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Creative Design Development Using a Traditional Pattern - Focusing on the Arrangement and Color-scheme of the Pattern -)

  • 목소리;조진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1-10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nk traditional patterns to mordern clothing. Of all the traditional patterns, the fish pattern was chosen for use during the development of a creative one-piece design for woman and shirts design for man. This study is based upon document searches, including research papers. Through these searches, it investigates the symbolic meaning, formation of the fish pattern and the creative design proces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study attempts to modernize the fish pattern and apply the fish patterns to the design of a one-piece dress and shirts. The design procedure includes three sub-processes: selection, arrangement and color-scheme. The selection process, the form of the pattern was edited using Adobe Photoshop.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was made through the checklist conception method, containing the following functions: expand, reset, repeat, omission and dismantling. For the color-scheme of the pattern, Paul Klee(1879-1940)work was selected, and the colors in his work were adopted when dyeing the rest of the one-piece dress and shirts as well as fish features. In conclusion, six designs of the one-pieces dress and shirts were created by using one of Korea's traditional patterns-the fish pattern. This kind of study not only let the world know about the unique beauty of nations but also helps to inspire people who has a profession in design, by suggesting design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design competitiveness improvement factor from fusion of tradition and modern.

  • PDF

전통문양을 활용한 현대적 원피스 디자인 개발 연구 - 문양의 배치 및 색채 배색 과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Modern One-piece Design using a Traditional Pattern - Focusing on the Arrangement and Color-Scheme of the Pattern -)

  • 강민정;조진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3호
    • /
    • pp.330-34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nk traditional patterns to modern clothing. Of all the traditional patterns, the cloud pattern was chosen for use during the development of a modern one-piece dress design. This study is based upon document searches, including research papers. Through these searches, it investigates the symbolic meaning, historical change, and formation of the cloud pattern.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study attempts to modernize the cloud pattern and apply the modernized patterns to the design of a one-piece dress. The design procedure includes three sub-processes: selection, arrangement, and color-scheme. The selection process was divided in two: first, the original form of the cloud pattern was hand-drawn using tracing paper: second, the form of the pattern was edited using Adobe Photoshop.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was made through the checklist conception method, containing the following functions: expand, reset, repeat, and overlap. For the color-scheme of the pattern, Roy Lichtenstein's(1923~1997) work was selected, and the colors in his work were adopted when dyeing the rest of the one-piece dress as well as the cloud features. In conclusion, six modern designs of the one-piece dress were created by using one of Korea's traditional patterns - the cloud pattern. Therefore, this study can offer invaluable suggestions for multifaceted research on how to come up with design concepts which apply Korea's traditional patterns to clothing design.

각목 색상 배치에 의한 문양막대의 횡절단 무늬편을 이용한 문양구성 연구 (A Study on Patterning Techniques by sliced unit with square woods's color bars)

  • 김지건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1-439
    • /
    • 2009
  • When we look at the pattern techniques of wooden furniture in the 19th century Joeson Dynasty, we see that furniture patterns in the main living room were showy and colorful while furniture patterns in the library room, where noble men used to study, were natural and moderate, retaining the actual color of the material without any artificial coloring. Even the serial patterns in the Hwe-Jang technique, Which were used rarely, used moderate techniques. such as weaving in patterns with colorless woods - willow and black persimmon ets. - rather than using excessive techniques. However, considering the marquetry&intarsia technique of ceramic and the silver string intarsia technique of metal then current, wood work must also have been technically advanced. Korean modern wood furniture needs remedies to improve the standard of sound wood work techniques. This study shows that pattern unit production, composition techniques, and color effects etc. Using colored patterns bars, by improving the pattern composition techniques of Marquetry&Intarsia, can be substituted for the production logic of modern manufactured furniture.

  • PDF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패브릭 패턴 디자인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a Bag Design Using the Yi Tribe's Traditional Patterns: Focusing on the Fabric Pattern Design)

  • 이목결;조진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2호
    • /
    • pp.149-17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nk the Yi tribe's traditional patterns to bag design. Yi tribe is a minor ethic group in China, whose traditional pattern has a high artistic value in that its shapes are diverse and each one has peculiar elegance. Traditional patterns are also indicative of spiritual dept or symbolic stories, rather than being indicative of simple formative beauty. Thus, reorganizing these patterns and applying them artistically to design- in terms of resource utilization- would be significant. Out of all of the Yi tribe's traditional patterns, the cherry blossom_(马樱花), water wave_(水波), sky father and earth mother_(天父地母), pomegranate blossom, triangle, sheep' horn, wisteria vine_(藤条), square and diaper_(四角菱形) and the zigzag_(曲折) patterns were chosen for use during the development of a bag design. This study is based upon document study, including research papers and internet web sites, the point of which was to investigate the form of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the creative design process. The design procedure includes these sub-processes: selection, arrangement and color-scheme. In the selection process, the form of the pattern was edited using Adobe Photoshop. The pattern was freely arranged to reflect various emotions. In terms of the color-scheme of the patterns, the colors used by Henri Matisse(1869-1954) in his work were selected and adapted when dyeing the patterns. Subsequently, the final design resulting from these design development processes was applied to the actual production of the bag by using canvas fabric and leather, after which the bag image was proposed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conclusion, six bag designs were created using traditional patterns from the Yi tribe. Through the processes explained above, this study confirmed that traditional patterns could be widely applied as design motifs and that more sophisticated, modern, and creative designs could be developed based on traditional patterns.

12~13세기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장식디자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coration of Korean Celadon and Chinese Celadon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 악쿤;임천;김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427-432
    • /
    • 2019
  • 12~13세기는 청자의 전성기였다. 고려청자는 중국청자에 영향을 받아 제작 및 소성기술을 습득한 이후 독자적인 청자 발전의 절정기에 들어가게 된다. 특히 상감기법이라는 독자적인 장식기법을 발전시켰고 문양의 종류나 배치도 추상적인 문양으로 나아간 중국과 달리 자연물의 모습 그대로를 청자에 담아 그 아름다움을 널리 떨치게 되었다. 비록 고려청자와 중국청자가 같은 발원지에서 나타났지만, 각자의 지리적 특성과 민족적 미감에 따라 다르게 변화 발전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2~13세기 중 한 양국의 청자 나타나는 유약의 사용을 비롯한 소성기법 및 장식에 사용되는 문양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보물 제1167호 청주 운천동 출토 통일신라 범종의 형태와 보존과학적 특성 고찰 (A Review on Treasure No.1167, Unified Silla Buddhist Bell from Uncheon-dong, Cheongju, about Its Form and Conservational Scientific Features)

  • 김현정;김수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357-386
    • /
    • 2007
  • 현재 통일신라 범종은 한국에 6점, 일본에 5점, 기타 2점 등 총 13점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3점은 형태추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형태추정이 가능한 10점을 이용하여 범종의 형식을 구분하고, 이중 운천동 종의 조사 자료를 토대로 기존에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통일신라 청동범종과의 연계성을 찾아보고 조성비를 중심으로 한 제작기술의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통일신라 범종의 도상분석은 2가지 형식으로 나누었는데, I형식은 좌우대칭 비천과 정형성의 문양 배치구조를 갖는 전기종의 모습이며, II형식은 좌우비대칭 비천과 비정형성의 문양 배치구조를 띄는 후기종의 모습이다. 특히 운천동(雲泉洞) 종은 9세기 고묘지(光明寺) 종과 매우 흡사한 문양형태를 보이는 후기 종으로, 통일신라주악비천에서 전혀 보이지 않았던 종적(縱笛)을 연주하고 있는 것이 특이할 만하다. 통일신라 범종은 대부분 합금배합구성이 Cu-Sn, Cu-Sn-Ph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8세기와 9세기에 걸쳐 구리, 주석, 납을 골고루 사용하여 주종(鑄鐘)하였고, 고대 중국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의 청동합금비와 근접하게 나타났다. 특히 운천동 종은 Cu-Sn-Ph-As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통일신라 범종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은 As가 검출되어 이에 대한 관련 자료를 제시하였다. As는 Pb사용 성격과 유사하나 재질의 특성상 고온에서 쉽게 휘발되기 때문에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으나, 제품을 단단하게 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h는 주물의 유동성을 좋게 하여 문양을 잘 표현하게 하고, As는 제품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 구체적 산지추정은 어려웠으나 시료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종 제작에 있어 한 광상의 재료를 사용했다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

전통 박쥐문양을 활용한 남성 패션상품 디자인 개발 - 테셀레이션 배치법 및 클림트 작품의 색채 활용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Man's Fashion Goods Design using a Traditional Bat Pattern -Focusing on the Tessellation Arrangement and Color-Scheme of the Klimt's Painting-)

  • 임병수;조진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2호
    • /
    • pp.95-11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nk traditional patterns to man's fashion goods design. Of all the traditional patterns, the bat pattern was chosen for use during the development of a man's fashion goods design as like as neck-tie, pocketchief and scarf. This study is based upon document searches, including research papers. Thought these searches, it investigates the form of traditional bat patterns, tessellation which can be found easily in the Islamic culture as well as in tile and carpet patterns and a modern painting by Gustav Klimt(1862-1918).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study attempt to modernize the bat pattern and apply the neck-tie, pocketchief and scarf. The design procedure includes three sub-processes: selection, arrangement and color-scheme. In conclusion, six designs of man's fashion goods were created by using one of Korea's traditional patterns - the bat pattern. Therefore, this study offer invaluable suggestions for multifaced research on how to come up with design concepts which apply Korea's traditional patterns to Man's fashion goods design.

동전(東傳) 연주문의 변천과정 비교연구 -5세기~10세기 벽화복식 및 출토 직물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in Oriental Linked pearls Pattern)

  • 안보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243-270
    • /
    • 2007
  • 직물에 표현되는 연주문은 제작 과정상 크기나 모양의 제약이 없어 그 표현이 자유롭고, 그 형태와 재료 색체 등을 통해서 당시의 사회문화를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동전(東傳) 연주문은 사산조 페르시아에서 출발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동서문화 교류와 밀접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주문이 시작되는 5세기부터 10세기에 해당하는 서 중앙아시아의 벽화 복식, 중국 신강 청해 일대에서 출토된 고대직물 그리고 일본 정창원(正倉院) 소장품의 연주문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자료를 통해 연주문의 동서 교류 현상과 구조적 변천과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크로드를 따라 동전(東傳)하는 연주문의 도안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예를 들러 고대 소그들인들이 주로 활동했던 파미르고원 서쪽에서는 서아시아적인 모티브가 변형된 사슴이나 화식조 등을 주제로 하는 연주문금이 출토되지만, 쿠차 신강에서는 중국적인 모티브가 첨가되어 한자문이 삽입되거나 태양신[Helios] 대신 불상문 보살문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새로운 문양의 등장은 구조적인 변화를 동반하여 점차 사산조 페르시아의 정형화된 패턴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그 구조적인 변천과정은 후대 여러 문양의 구성 및 배치방법과 연관이 있다. 연주 환간의 마름모꼴 공간에 안치된 사합초화문 등이 능화문의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10세기 이후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골조문양의 유행 단위문양을 상하좌우로 배치하는 탑자문의 전개법이 연주문과 유사하다. 요컨대 연주문은 기술적 진보와 함께 표현 자체에서 세련된 예술적 코드를 읽을 수 있으며, 지역이나 문화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문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경주 남산 이조리귀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jori Tortoise Pedestal of Namsan Mountain in Gyeong-Ju)

  • 이은석;조현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4호
    • /
    • pp.56-77
    • /
    • 2010
  • 경주 내남면 이조리에 소재하는 최진립신도비의 받침인 석제 귀부(龜趺)는 1740년경에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통일신라시대 귀부를 모사한 조선시대 작품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당시 제작되는 귀부 형식과는 다르고, 모사한 원 귀부의 형식은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모습들이 확인되고 있다. 첫째, 제작 과정을 기록한 '문루일기(門樓日記)'에는 비석을 먼저, 이후에 귀부를 제작했음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비좌 삽입부가 작아 비석 양쪽 끝단을 잘라 삽입한 흔적이 보이며, 비석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귀부와 비좌를 만들었다는 것은 공정상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비석 제작 부분은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백운대라는 사찰터에서 제작되었다고 할 뿐, 공정 내용이 언급되지 않은 점은 당시 실사를 하고 기록했는지 의심되는 부분이다. 둘째, 이조리귀부의 구름문양은 초기의 태종무열왕릉귀부와 서악리귀부 구름문에서 이행되는 시간상의 세리에이션(Seriation)을 잘 반영하고 있다. 비좌 주변을 장식한 연화문은 중앙에 형식화된 보상화가 표현된 것으로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인 8세기대 기와 등에 가장 잘 나타나던 문양이다. 셋째, 전진하는 모습의 이조리귀부는 지금까지 경주에 전해지는 귀부들에서도 찾기 힘든 생동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렬상의 귀갑문 배치는 이전 귀부의 문양 배치보다 훨씬 간결해지고 공간 활용을 고려한 발전된 형식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조리귀부는 시기적 변화를 보여주는 문양 형식, 비신과 비좌의 불일치, 기록상의 고찰을 통해 볼 때, 18세기 조선시대 석공이 신라문양의 형식변화 등을 모두 고려하여 제작한 모사품이라기보다는 8세기 중반 경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 귀부였음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 김신우;금기숙
    • 복식
    • /
    • 제52권1호
    • /
    • pp.53-67
    • /
    • 2002
  • 자연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적 패턴은 이미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본형이기 때문에 간결하며 시각적으로 명쾌감을 준다. 이러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 디자인에 있어서 20 세기 이후 여러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형성화하여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식의 문양, 실루엣, 디테일에 사용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을 연구함으로써 기하학적 패턴의 새로운 조형가치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하학의 용어 정의를 하였고 기하학적 패턴의 유형과 표현 기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의 조형미와 그것을 바탕으로 패션 이미지를 추론해 보았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 패턴을 분석해 보면 유형으로는 첫째, 기하하적 문양으로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주로 평면적인 형태로 많이 나타나지만, 크기가 다르고 동일한 기하학적 패턴을 조합시킴으로서 평면적인 형태에 공간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같은 기하학적 패턴의 표면이라도 배치구조에 의해 직선 혹은 사선으로 지각되므로 전혀 다른 이미지를 주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이 종류는 세로 스트라이프, 가로 스트라이프, 격자 문양, 원, 사선 스트라이프,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등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색채는 단색의 복식에 강한 대비가 이루어지는 색상으로 표현되어 역동감과 유연한 운동감을 나타났다. 셋째, 기하학적 실루엣으로 단순한 라인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입체적이고 부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실루엣으로 사용되어 강한 조형감각을 보여주는데 원형을 이용한 실루엣이 가장 많았으며 사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삼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학적인 디테일로 복식의 어느 한 부분에 장식적으로 사용되거나 입체적 형태로 부출 되어 부조적인 느낌을 주는데 소매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앞여밈, 칼라, 밑단, 주머니 순서로 장식되었다. 다섯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의 표현기법으로는 프린팅, 퀼팅, piece기법, 패치워크, 엮기, 꼴라쥬, 아플리케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기하학 패턴을 활용한 디자인에 내재된 조형의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기하학적 패턴이 지닌 단순성과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브릭을 조합시켜 입체적인 표면효과로 시각적인 착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표현기법은 입체파적 표현주의의 특성의 하나로 복시에 사용되는 소재의 왜곡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롭고 실험적인 소재의 도입으로 인해 의외성과 부조화를 유발시키는 통시에 유희직인 일면도 지니는 일종의 그로테스크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정립된 조형의지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란 기하학 패턴은 절제된 단순함과 명확성으로 단순미가 유추되었고 강한 색상대비로 인한 시각적 집중효과로 주목성을 가지며 재현이 가능하므로 반복성이 유추되었다. 그리고 표준영역이 없는 창의적 표현으로 풍부한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재된 패션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정확함과 차가움의 의미를 지닌 이지적 이미지와 우주의 질서를 반영하는 상징적 이미지, 복잡한 자연으로부터 간결한 형태로의 경향성이 이루어낸 인공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었으며, 미래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같이 내포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을 조형예술 분야로 확실히 인식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창조적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영감을 주는데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