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門)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명사들의 심신건강법 - 언제나 푸른 문(門) 아래에 서 있는 이승환

  • 김나랑
    • 건강소식
    • /
    • 제34권6호
    • /
    • pp.8-11
    • /
    • 2010
  • 스무살 같은 마흔네살 이승환은 나이보다 어려보이는 자신이 잘못된 것은 아닌가 고민하기도 한다. 하지만 옳건 그르건 사람은 자기 방식대로의 삶을 살기 마련이며, 그는 건강하고 온전하게 20년의 음악인 인생을 달려왔다. 그런 그가 새로운 20년을 향해 나아가며 건강과 청춘에 대한 의미를 우리에게 들려준다.

  • PDF

시(詩)적 사유: 존재의 진리로 향한 세 개의 문(門) (Poetic Thinking: Three Gates Leading toward Truth of Being)

  • 정진배
    • 인문언어
    • /
    • 제7집
    • /
    • pp.123-155
    • /
    • 2005
  • This paper concerns different forms of poetic thinking, each of which attempts to investigating truth of being on the ground of its idiosyncratic feature. The horizon evoked via these practices, however, is the Absolute where any plausibility of communication be fundamentally blocked off. Poetry, for instance, relinquishes its semantic auto-referentiality in order to be expressive of something unsayable. Poetic diction, coming-into-being, and sound with no meaning are those three expressive modes that I will examine in terms of the so-called "poetic thinking."

  • PDF

중세 주택의 개구부 형식에 관한 연구 -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 of Window and Door of the Medieval Times House - Focused on the House of Unified Silla and Goryo Period -)

  • 이정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33-140
    • /
    • 2013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rm of window and door of medieval times house which are no longer in existence, b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literature materials and architectural remains of united Silla and Goryo period. Particularly the window and door form change process of wa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 of term which are recorded in literature material. The form and the composition of window and door are the elements which determine the elevation design of architecture and concerned with interior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could be used as base data for the study on the reconstruction and interior space of medieval times house. There were ho (戶) and moon (門) as door, and chang (窓) for lighting and ventilation as window. Among these, the window can be divided into fixed and openable. There were two kind of fixed window. One is called chang (窓), and it was covered by silk or paper for lighting. The other is called ham (檻), it was the form of vertical bar window and lighting and ventilation was available. And there were two kind of openable window. One is called ho (戶), which had wooden plate window leaves. And the other is called changho (窓戶), lighting was available in the condition of closing.

"동의보감(東醫寶鑑)" "신(神)"문(門) 침구법(鍼灸法)에 대한 고찰(考察) (Study on the method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the Shin section (in the Naegyeong chapter) of the Donguibogam)

  • 김영진;이준무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4호
    • /
    • pp.49-57
    • /
    • 2006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rationale of point-selection on the method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the Shin section(in the Naegyeong chapter) of the Donguibogam. Methods : First, We summarized the cause of each disease in the Shin section(in the Naegyeong chapter) of the Donguibogam. Then, We explained the rationale of acupuncture point-selection referring to the cause of disease, physiology of the Oriental medicine, exposition of acupuncture point name, character of each acupuncture points, flow of meridian pathways and specific acupuncture points etc. Results and Conclusions : Total 44 acupuncture points were used in the Shin section(in the Naegyeong chapter) of the Donguibogam. Most of acupuncture points were specific acupuncture points. but, some rationale of acupuncture point-selection were explained by the cause of disease, physiology of the Oriental medicine, exposition of acupuncture point name, flow of meridian pathways etc.

  • PDF

제주도산(濟州道産)의 버섯 -I. 제주도산(濟州道産)의 기록종(記錄種) 버섯- (The Mushrooms in Cheju-do -I. The Recorded Mushrooms in Cheju-do-)

  • 오덕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0-368
    • /
    • 1992
  • 1959년부터 1990년까지 발표(發表)된 제주도산(濟州道産) 버섯을 재정리(再整理)한 결과 총(總) 1문(門), 2아문(亞門), 4강(綱), 3아강(亞綱). 14목(目), 41과(科), 96속(屬), 186종(種)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속(屬) 16종(種)은 이명(異名)의 이중기록(二重記錄)으로 인하여 목록(目錄)에는 101속(屬) 202종(種)으로 나타나 있다.

  • PDF

한국균심목록 (The List of the Fungi of Korea)

  • 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5-43
    • /
    • 1973
  • 저자(著者)는 우리나라산(産) 균심류의 정체(正體)를 구명(究明)하고자 1946년(年)부터 금일(今日)에 이르는 동안 서울시내(市內), 광릉(光陵), 수원(水原), 양양(襄陽), 속초(束草), 설악산(雪嶽山), 목포(木浦), 나주(羅州), 울산반도등지(蔚山半島等地)의 산야(山野) 인가(人家) 노변(路邊)에서 야생균심(野生)을 채집정리(採集整理)하여 기(旣)히 조사발표(調査發表)된 종(種)을 종합(綜合)하여 2문(門), 2강(綱), 3목(目), 12아목(亞目), 22과(科)7아과(亞料), 274종(種)을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저자(著者)가 금일(今日)까지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사정(査定)한 종(種)은 하기(下記)와 같다. 1. Polysticus flabelliformis (Klotzsch.) Cke. 2. Thelephora palmata (Scopoli) Fr. 3. Russula nigricans (Bull.) Fr. 4. Omphalia sp. 5. Peziza repanda Pers. 6. Wynnea gigantea Berk. et Curt. 7. Helvella crispa (Scop.) Fr. 8. Helvella epipploides Imai 9. Cordyceps militaris (L.) Link

  • PDF

불교우주론(佛敎宇宙論)과 사원구조(寺院構造)의 관계성 고찰 (A Consideration on Relationship of Buddhist Cosmology and Temple Structure)

  • 염중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1호
    • /
    • pp.65-84
    • /
    • 2008
  •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temple structure in Korea was formalized by the ceremonial principle based on the Buddhist cosmology. But, there have been no concrete studies on how far the two ha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what significance it implies in it.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temple structure reflects the Sumeru Mount cosmology which is the Buddhist cosmology, there is still uncertain asp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research is a more concrete approach on what kind of corelation the Sumeru Mount cosmology has with the Korean temple structure. For this, the levels of related documents on the Buddhist cosmology and the Sumeru Mount cosmology have been arranged first. Then, on this basis, it is searched with what symbolism the cosmology has been accepted in the temple structure. The temple is a sacred space that holds Buddha and a profane space which the sattva (ordinary people) can approach at the same time. The site of the temple is also a land that is connected to the residence of sattva and a blissful area of prayer that they can be born again through Buddha at the same time. Thus, the double characteristics of sanctity and profanity are finall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 view point of Jinsokburi(Truth and Worldliness are not different), and the temple structure reflects this significance through the symbolism very well. Therefore, the correct recognition on the temple structure can be said as an important aspect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Buddhism.

  • PDF

『변증기문(辨證奇聞)』의 의학적(醫學的) 특징(特徵)에 관(關)한 고찰(考察) -상한문(傷寒門)을 중심(中心)으로- (Study on 『BianZhengGiMun)』's medical characteristics - In view of ShangHan -)

  • 이원석;박선동;박원환;김준기;김종대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33-85
    • /
    • 1998
  • "변증기문(辯證奇聞)"은 청대(淸代)(1687년(年)) 진사탁(陳士鐸)이 저술(著述)한 의서(醫書)로서 126문(門)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을 보면 한의학적 이법방약(理法方藥)의 논리체계를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명말청초(明末淸初)이후 중국에서는 실증적(實證的)인 학풍(學風)의 등장에 따라 역사이론(歷史理論)에 대한 비판 및 정리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이 시기에 저작된 "변증기문(辯證奇聞)"은 현재 우리나라 임상가(臨床家)에서 널리 회자(膾炙)되고 있는 비방(秘方)과 관련된 의서(醫書)중의 하나로 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함으로서 현대와의 연계를 도모해 볼 수 있었다. 주로 부장변증논치(腑臟辨證論治)에 대한 시각에 입각하였고, "상한론(傷寒論)"을 보완하면서 비판한면도 찾아볼 수 있었다. 약물은 체내(體內)의 진액손상여부(津液損傷與否)를 살펴 사용하였다.

  • PDF

대영도서관 소장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로 본 중국 무이구곡의 문화경관상 (The Cultural Landscapes of Wuyi-Gugok of China as seen from the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in British Library)

  • 정조하;노재현;강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31
    • /
    • 2019
  • 대영도서관 소장의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무이산구곡계전도」을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경물의 명칭을 분석하는 한편 산세, 포구(浦口)와 선박, 건축요소, 토목요소, 인물, 석각 등으로 경물명을 유형화한 후 곡별 문화경관적 속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등장하는 건축요소는 총 28 건으로 정자(亭)가 7개소(25%), 사묘[廟]가 4개소(14.3%), 서원과 관(觀)이 각각 3개소(10.7%), 도원(道院)과 마을(村)이 각각 2개소(7.1%)로 집계되었으며, 토목요소는 총 29건으로 동(洞)이 9개소(31%), 고적(古跡)이 6개소(20.7%), 대(臺)가 3개소(10.3%), 도(渡)·교(橋)·지(池)가 각각 2개소(6.9%), 원(園)·문(門)·갱(坑)·정(井)·유지(遺址)가 각각 1개소(3.4%)로 나타났다. 이들 형체요소와 토목요소는 18C 중반 무이산 구곡계의 문화경관적 속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유적이다. 각 곡별 형체요소는 1곡이 12개소(21.1%), 5곡이 11개소(19.3%), 4곡이 9개소(15.8%), 9곡이 8개소(14%), 3곡이 7개소(12.3%), 6곡이 4개소(7%), 2곡이 3개소(5.3%), 7곡이 2개소(3.5%) 그리고 8곡이 각각 1개소(1.8%)로 정리되어 1곡과 5곡 그리고 4곡이 갖는 문화경관적 특성이 한층 부각되었다. 한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된 경물의 묘사는 총 38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중 암(岩)·봉(峰)·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이는 무이구곡의 벽수단산의 경색을 보이는 단하지모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되었거나 내포된 무이산의 문화적 함의를 분석 및 해석한 결과, 무이산 구곡계에는 이학문화, 도교문화, 불교문화, 차문화, 기타문화 등 5개 문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시된 총 171곳의 경물 명중에는 현장 바위글씨[石刻]와 일치되거나 동일한 의미를 보이는 석각은 찬경제각(贊景題刻) 3방, 철리제각(哲理題刻) 3방, 길어제각(吉語題刻) 1방 등 총 7개소로 나타났으며 이는 그림과 석각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보이는 중요한 근거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