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주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1초

스페이스 프레임의 소개 및 시공사례 (The Introduction & Construction Case of the Space Frame)

  • 엄정효;조승현;강기석;김기문;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630-633
    • /
    • 2003
  • 국내 건설 산업에 있어 공항시설, 체육시설, 집회시설, 판매시설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무주대공간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우주대공간 구축에 있어,기존의 PEB(Pre-Engineered Building)구조나 Pipe Truss구조는 span이 커짐에 따라 철재중량이 급격히 증대되고 장스판에는 적용이 어려운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구조방법 중 하나로 Space Frame이 고려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Space Frame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그 활용성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비용, 공사기간, 시공성 등에서 여러 장정을 지닌 Space Frame을 소개하고 무주대공간 구축에 있어 Space Frame을 적용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Space Frame의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향후 국내 건설업계에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가진 Space frame의 기본적 특성과 다른 구법들과의 비교를 통해 장점을 확인함으로써 Space Frame에 대한 국내연구를 활성화시키고 향후 실무를 담당하는 현장에서 무주대공간으로서의 Space Frame의 활용을 높이고자 한다.

  • PDF

무주지역 소유역내 지표수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of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in a Small Catchment, Muju, Korea)

  • 한원식;우남칠;이광식;이기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5호
    • /
    • pp.329-338
    • /
    • 2003
  • 이 연구는 무주군 적상산 부근에 위치하는 소유역(100$Km^2$)에서 지표수와 천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시료채취는 2001년 8월(여름)과 10월(가을), 2002년 4월(봄), 3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지표수의 동위원소 조성은 계절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어 도시되지만 천부 지하수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줄어든 것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지표수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변화 폭은 계절별로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이 지역에서 강수, 지표수 및 지하수 사이의 상호작용이 매우 활발하며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무주지역 지표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은 남쪽에 위치하는 섬진강의 조성보다는 가벼운 “위도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천수에는 동위원소 조성의 계절변화와 아울러 강수의 “고도효과”와 “우량효과”가 잘 반영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무주-설천 지역 변성암류의 지질구조: 옥천벨트와 영남육괴의 경계부 고찰 (Geological Structure of the Metamorphic Rocks in the Muju-Seolcheon Area, Korea: Consideration on the Boundary of Ogcheon Belt and Ryeongnam Massif)

  • 강지훈
    • 암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8
    • /
    • 2019
  • 옥천벨트와 영남육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무주-설천 지역은 시대미상 내지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호상흑운모편마암, 변성퇴적암류(흑색천매암, 운모편암, 결정질석회암, 규암), 화강암질편마암, 각섬암], 중생대 퇴적암류와 화성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요 변형된 암석구조의 기하학적 운동학적적 특성과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로부터 무주-설천 지역 변성암류의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고, 기존에 보고된 연대학적, 지화학적, 구조지질학적 자료와 함께 옥천벨트와 영남육괴 사이의 경계 위치를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적어도 네 번의 변형단계(Dn-1, Dn, Dn+1, Dn+2 변형)를 걸쳐 형성되었다. Dn-1 변형은 광역엽리 Sn이 형성되기 이전에 발생하여 Fn 습곡에 의해 습곡되는 Sn-1 엽리를 형성시켰다. Dn 변형은 광역엽리 Sn을 형성시킨 변형작용이다. Sn 엽리는 변성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과 일치하는 북동 방향으로 우세한 방향성을 보인다. Fn 습곡축이 신장선구조의 방향과 일치하는 A-형습곡 내지 칼집습곡은 결정질석회암에서 노두규모로 종종 관찰된다. Dn+1 변형은 광역엽리 Sn을 습곡시키는 변형작용으로 북북서~남북 방향의 압축응력 하에서 발생하여 동북동~동서 방향의 Fn+1 습곡을 형성시켰다. 광역엽리 Sn은 주로 Fn+1 습곡작용에 의해 재배열되어, 분산된 Sn 엽리의 극점배열의 파이-축의 방향성은 Fn+1 습곡축의 우세한 방향성과 거의 일치한다. Dn+2 변형은 Sn 엽리와 Sn+1 엽리를 습곡시키는 변형작용으로 동서 방향의 압축응력 하에서 발생하여 남북 방향의 Fn+2 개방습곡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네 번의 변형작용은 무주-설천 지역의 옥천벨트와 영남육괴에서 모두 관찰되고, 무주-설천 지역에서 이들 지체구조구를 구분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과 차이점은 관찰할 수 없었다. 지화학적 자료와 연대학적 자료에 따르면, 무주-설천 지역 일대 변성암류의 형성시기 내지 변성시기는 중기~후기 고원생대이다. 이는 이 지역에서 산출되는 결정질석회암은 적어도 중기 고원생대 이전에 퇴적되었음을 지시하고, 이러한 퇴적시기는 최근에 보고된 옥천누층군의 지질시대(신원생대~후기 고생대)와 다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고찰해 볼 때, 무주-설천 지역에서 결정질석회암을 포함하는 변성퇴적암류를 시대미상의 옥천층군으로 추정하여 설정된 옥천벨트와 영남육괴 사이의 지체구조구 구분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CM 적용 모범선행사례: 무주군 지방하천 1,2급 수해복구 공사 (Best Practice in CM Application: Muju Waterways Flood Recovery CM Case)

  • 유재희;최재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27-31
    • /
    • 2003
  • 최근 해외시장에서는 Single Point Responsibility 개념의 선호와 프로세스사업관리능력의 중요성으로 건설사업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 이하 CM)방식이 프로젝트 조달의 중요한 방안으로 사용되며 국내에서도 최근 CM 발주량의 획기적인 증가추세로 사업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도구 개발이 절실하다. 가장 유용한 도구로는 국내${\cdot}$외 CM 수행사례 분석을 통해 이에 저해되는 요인과 모범사례 등을 파악하여 산업계로 하여금 체계적 점검과 벤치마킹을 통해 수행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핵심성공요인과 Best Practice의 보급 발간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근 감사원에 의해 모범선행사례로 선정된 무주 하천 1,2급 수해복구 건설사업관리 용역에 대한 CM성과를 분석하여 핵심성공요인과 Best Practice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본 CM용역에서는 무엇보다도 무주군내 수해복구공사에 CM 사업방식을 도입한 것은 현명하고 진취적이며 시기 적절한 일이라고 판단되며 이러한 선도적 기자체의 의욕적인 시도가 지방에서 수행되는 공공공사의 수준을 한 차원 높이는 계기가 됨은 물론 항구적인 복구공사기법의 하나로 정착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산업계는 CM관련 중심기관을 통하여 이러한 모범사례의 연속적인 분석과 보급을 통해 산업계 전반적인 CM수준을, 제고하여 국내외 CM확대 적용의 기반을 조속히 조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

  • PDF

하상구조에 따른 4개 하천의 어류 분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Substrate Structure in the 4 Streams)

  • 윤석진;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2-313
    • /
    • 2014
  • 모래형 하천과 자갈형 하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4개의 하천을 선정하여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Acheilognathus gracilis 외 24종으로 확인되었다.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의 우점종은 Zacco koreanus로 각각 39.9%, 28.4%를 차지하였으며, 양화천은 Rhodeus notatus가 13.6%, 갑천은 Z. platypus가 26.0%로 우점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0.27~0.63, 다양도지수는 1.92~2.67, 균등도지수는 0.6~0.79, 풍부도지수는 3.09~3.53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우점도지수는 홍천강에서 가장 높고,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지수는 양화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성도 길드 분석 결과 하상구조물이 다양한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은 민감종이 각각 50.1%와 46.4%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모래 하상이 높은 양화천과 갑천은 민감종이 각각 0.5%와 5.3%의 희소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하천별 출현한 어류의 종별 개체수와 하상구조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자갈형 하천인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종과 개체수는 50.4%, 하상구조는 95.2%로 가장 유사하였다. IBI 분석결과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A등급', 양화천과 갑천이 'B등급'으로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결과 자갈형 하천과 모래형 하천의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전북지방의 씨감자 생산을 위한 적지선정 및 감자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II). 씨감자의 바이러스병 검정 (A Survey of Potato Virus Diseases and Insect Vectors at Seed Potato Production Area in Jeon Bug(II). Serological Test on Virus Diseases of Seed Potatoes)

  • 윤순기;소인영;최성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1-76
    • /
    • 1975
  • 전북지방의 씨감자 생산적지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고랭지대인 전북 무주군 무풍면 상오정 1대(700-800m)와 평야지인 전주에서 대관령 고랭지 시험장산 원종 남작(Solanum tuberosum Var. Irish Cobbler, Shimabara)과 무주산 재래종 씨감자(품종미상)를 재배하면서 씨감자의 바이러스 이병율 및 재배기간중의 지역별 감염율등을 혈청학적으로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리나라에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씨감자의 감자 바이러스 혼합감염율은 $50.88\%$이며 바이러스별로는 Potato virus Y(PVY)$(34.87\%)$$(40.33%)$$(41.00\%)$< Potato Virus(PVX)$(87.10\%)$로서 PVX가 가장 높은 이병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2. 감자바이러스의 1년차 감염율은 무주지방이 $11.7\%$, 전주지방이 $18.95\%$로서 무주지방이 낮고 특히 곤충매개가 심한 PVY의 감염율은 $6.45\%$ 밖에 안되어 이는 씨감자 생산지로서 적합함을 인정할 수 있었다. 3. 씨감자 자체의 바이러스 이병율은 대관령산이 $41.75\%$, 무주 재래종이 $42.17\%$로서 대관령산과 비슷하였고 작황은 대관령 산이 좋았다.

  • PDF

무주 왕정리 일대 구상 화강편마암의 성인과 형성시기 (The Origin and Age of the Orbicular Granite Gneiss in Wangjungri, Muju)

  • 오창환;이병춘;이기욱
    • 암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7-135
    • /
    • 2013
  • 무주군 왕정리 지역에서 구상 화강편마암이 초기 원생대 변성퇴적암류를 관입하는 우백질 복운모 화강암내에 포획체의 형태로 나타난다. 우백질 복운모 화강암의 전암성분 분석치와 SHRIMP 저어콘 연대측정 결과는 우백질 복운모 화강암이 $1875{\pm}75$ Ma에 대륙 충돌 환경에서 형성된 S-type 화강암임을 지시한다. 우백질 복운모 화강암내에 나타나는 구상 화강편마암으로부터 추출된 모나자이트에 대한 SHRIMP 분석에 의해 구상 화강편마암을 형성시킨 변성작용 시기가 $1867{\pm}4$ Ma임이 밝혀졌고 이 변성 연령은 우백질 복운모 화강암의 관입시기와 오차 범위내에서 유사하다. 이는 우백질 복운모 화강암 관입시 마그마내로 침강한 변성퇴적암이 마그마에 의해 $650-740^{\circ}C$, 4-6.5 kbar 정도의 열변성작용을 받아 구상 화강편마암이 만들어졌음을 지시한다. 열변성 작용시 근청석을 주로 하는 구상 화강편마암의 핵부가 만들어졌고 이때 일부 구상 화강편마암에서는 석영 및 장석을 포함한 일부 광물이 용융되어 만들어진 우백질 용융체가 핵부를 빠져나온 후 핵부 주변에서 결정화하여 우백질 각부를 형성하였다. 구상 화강편마암이 형성된 후 마그마 분화작용 중 최후에 남아있던 열수가 구상 화강편마암에 침투하여 후퇴 변성작용을 일으키고 이때 근청석이 pinite화 되면서 세립의 녹니석과 견운모로 치환되었다. 무주 화강편마암은 퇴적기원의 변성암이므로 앞으로는 무주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명명하는 것이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