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기효과지수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직사화기 무기체계의 무기효과지수 계산을 위한 메타모델 생성방법 연구 (A Study on Generating Meta-Model to Calculate Weapon Effectiveness Index for a Direct Fire Weapon System)

  • 이예림;이상진;오현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23-31
    • /
    • 2021
  • 개체단위 M&S의 교전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무기효과지수를 바탕으로 피해 정도가 모의되어야 한다. 무기효과지수는 특정 교전 환경에서 무기체계와 표적에 대한 명중확률(Ph)과 살상확률(Pk)을 지수화한 값으로, 주로 JMEM 데이터나 JMEM 방법론에 따라 생산된 데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JMEM 방법론은 표적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형공산오차를 통과하는 파편이나 탄의 격자 통과량으로 살상확률을 계산하기 때문에 지형, 대기, 장애물 등의 추가적인 환경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보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교전 및 환경요소가 반영된 무기효과지수 생산을 위해 공학급 무기체계 모델을 활용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메타모델을 생성하였다. 명중확률과 살상확률 메타모델로 로지스틱 회귀모델과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모델이 각각 생성되었으며, 예시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모델 적합도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절차를 따르면 개체단위 M&S의 입력자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직사화기 무기체계의 살상확률(Pk) 산출방법론 연구 (A Study on Pk(Probability of Kill) Calculation Method of the Direct Fire Weapon System using ANN)

  • 장영천;한현진;이기택;송미진;이휘영;김종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99-107
    • /
    • 2019
  • 기존 본 연구팀에서 연구한 직사화기 무기효과 산출방법론은 JMEM(Joint Munitions Effectiveness Manuals : 합동탄약효과편람)내(內) 표적에 대해서만 무기효과자료를 산출 가능하다는 제한 사항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JMEM 이외의 현실적 표적을 추가하여 무기효과자료를 산출하는 방법을 인공신경망(ANN : 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적용하여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즉, 미국 JMEM내(內) 표적의 제원과 효과지수인 취약면적(Av : vulnerable area)을 이용하여 인공신경망의 예측모델을 학습시키고, 학습된 예측모델에 현실적 표적의 제원을 적용하여 취약면적을 계산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팀이 연구한 기존 직사화기 무기효과 산출방법론에 계산된 취약면적을 적용하여 살상확률(Pk)을 계산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식이섭취와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etary Intake and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among Adolescents)

  • 박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0-40
    • /
    • 199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의 복용 실태의 식이로 부터 섭취하는 비타민.무기질의 양에 대해 알아보고자,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에 거주하는 인문계 여자고등학생 70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율은 43.8%였다. 도시지역 거주자가 농촌지역 거주자 보다, 가족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융율이 유의성 있게 높았다. 2) 건강에 대한 인지도, 건강염려증 척도, 체중에 대한 인지도, Broca 지수, 질병의 유무는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건강상태가 좋지않다고 느끼며, 건강염려증의 점수가 높은 사람일수록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의 복융율이 높았으며, Broca 지수가 정상이 아닌 군과 질병이 있는 군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의 복용율이 높았다. 3)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신장은 비복용자와 차이가 없었고, 체중은 비복용자가 복용자에 비해 많았다. 4)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와 비복용자 사이에 영양지식, 식습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식습관이 양호한 군이 식습관이 불량한 군에 비해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의 복용율이 높았다. 그러나 식습관 군별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와 비복용자 사이에 영양지식의 점수 차이는 없었다. 5)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는 식이로 부터 비타민 A, 비타민 $B_2$, 나이아신, 비타민 C의 섭취량이 비복용자에 비해 적었다. 연구 대상자 모두 에너지,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 칼슘, 철분의 섭취량이 권장량 보다 적었다. 특히 철분은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60.1%, 비복용자의 74.1%가 권장량의 2/3 미만을 섭취하였으며, 기타의 비타민.무기질도 권장량의 2/3미만을 섭취하는 대상자가 많았다. 6)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60.8%가 종합비타민을 복용하였으며,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복용하는 복용하는 이유는 힘을 내기 위해서가 39.9%, 주의의 권유에 의해서 28.3%, 질병의 치료를 위해서 17.4%이다.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비복용자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복용하지 않는 이유는 건강하기 때문이 36.0%로 가장 많았으며, 귀찮아서, 식이로 충분히 섭취하기 때문에, 효과가 없어서의 순이었다.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에 대한 견해는 효과가 있다. 23.3%, 효과가 없다 18.4%이며, 비복용자는 효과가 있다 16.6%, 효과가 없다 14.4%로 나타났다.

  • PDF

정태적 전투효과도 분석기법을 사용한 전투기 세대 정량화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Method of Static Combat Effectiveness for Jet-Fighter Generation)

  • 임상민;박재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43-650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quantitative method of static combat effectiveness to classify fighter aircraft generations. We have analyzed performance metrics of United States(US), United Kingdom(UK), Russia, France, Sweden' fighters to determine jet-fighter generation. Both nominal and continuous variables were defined and used to present current trend of combat effectiveness.

사이버 공간과 물리 공간이 연계된 사이버 무기체계의 효과성 분석 프레임워크 연구 (A Study on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Cyber Weapon Systems Associated with Cyberspace and Physical Space)

  • 장지수;김국진;윤석준;박민서;안명길;신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11-126
    • /
    • 2022
  • 과거 물리적 공간에서만 수행되던 작전이 사이버 공간을 포함하는 작전으로 바뀌면서 사이버 공격이 사이버 시스템을 활용한 무기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이버와 연계한 물리적 무기체계의 영향을 분석하는 도구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한국군은 물리 무기체계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가 담긴 미군 JMEM을 확보해 운용하고 있다. JMEM은 재래식 무기체계에만 적용되어 사이버 무기체계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물리전의 MOE와 MOP를 기반으로 사이버 무기체계 효율성 분석을 위한 사이버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물리 작전에서 무기체계 효과 매뉴얼로 활용되고 있는 JMEM과 연계하여 사이버 공간에서의 전투 결과와 물리 작전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임무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 및 시험하였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입증하기 위해 국내외 군사 매뉴얼과 선행연구를 통해 작전 시나리오를 분석 및 설계하고 자산을 정의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사이버 임무 효과 값의 감소가 클수록 물리적 작전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 다양한 작전에서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물리적 작전의 영향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장의 지휘관이 빠른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보리의 안전증수를 위한 질소비료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sponse of Barley Varieties to Nitrogen Application and Seeding Methods)

  • 이홍석;이은웅;이영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0권
    • /
    • pp.152-162
    • /
    • 1975
  • 보리품종의 재배법에 따른 적정시비량, 내비성의 품종간차이, 시비량에 따른 식물체중의 질소함량 및 수량변이에 영향하는 수량구성요소의 효과 등을 구명하여 효율적인 합리적인시비의 기초자료에 공코저 보통재배 및 드릴파재배조건에서 5개품종을 공시하여 6개수준의 질소시용으로 실시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다비에 의하여 1~2일 지연되었고 성숙기는 좀더 지연되었으며 재배법에 따른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다. 2) 간장은 비교적 짧은 품종의 경우에는 질소증시에 따라 증대되는 경향이고 그 정도는 드릴파재배에서 더욱 컸으나 장간종에서는 거의 변화를 볼 수 없었으며 축수장은 품종의 특성으로서 질소증시에 따른 변화를 볼 수 없었다. 3) 수장은 질소시용량과 일정한 관계가 없으며 드릴파재배에서 약간 적은 경향이었다. 4) 수수는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고 다비조건에서 많으며 드릴파재배에서 적었다.5) 포장도복은 재배법에 따르는 차이가 크지 않고 하가네무기와 올보리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고 수원18호는 6kg이상의 수준에서는 질소시비량의 증가와 더불어 도복현상이 증대되었고 수원 006 및 부여는 질소증시와 더불어 도복현상이 심히 증대되었다. 6) 질소증시에 따르는 도복저항지수의 감소는 하가네무기 및 올보리에서 현저하고 수원18호는 작었으며 수원 006 및 부여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고 재배법간에도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7) 엽중질소함량은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다비조건에서 증수를 보인 하가네무기 및 올보리에서 높고 부여 및 수원 006에서 낮으며 드릴파재배보다 보통재배에서 높고 일반적으로 질소시용량이 많으면 엽중질소함량도 많은 경향이었다. 또 식물체의 질소함량도 대체로 같은 경향이나 엽중질소함량보다는 현저히 낮았다. 8) 질소증시에 따르는 증수효과는 보통재배에서 보다 드릴파재배에서 큰데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하가네무기는 보통 및 드릴파재배에서 직선효과에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올보리는 보통재배에서는 곡선효과에, 드릴파재베에서는 직선효과에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그밖의 품종에서는 6~9kg이상의 증비에 의한 증수를 볼 수 없었다. 또 내도복성인 품종에서도 9kg이상의 수준에서는 증수율이 낮아 증수정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9) 수량에 영향하는 수량구성요소의 경로계수분석에 의하면 하가네무기는 보통재배에서는 $\textrm{m}^2$당수수가, 드릴파재배에서는 1000립중과 $\textrm{m}^2$당수수가 크게 영향하는데 비하여 올보리에서는 1000립중이 크게 영향하고 수원18호는 보통재배의 경우에는 수수와 1000립중이, 드릴파재배의 경우에는 $\textrm{m}^2$당수수가 크게 영향하였다. 10) 질소시용량과 엽중질소함량과는 보통재배의 수원18호와 드릴파재배의 올보리 및 수원006에서 유의적 회귀관계가 인정되었다. 11) 엽중질소함량과 종실수량과는 드릴파재의 하가네무기 및 올보리에서 유의적상관이 인정되었다.

  • PDF

신규 자외선차단제로서 메톡시신나미도프로필폴리실세스퀴옥산의 in vitro SPF 평가 및 화장품에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in vitro SPF Assay and Application of Cosmetic Formulation of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 with a New UV-screening Agent)

  • 정택규;김영백;윤태진;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7-55
    • /
    • 2010
  • 기존의 유기계 자외선차단제는 피부에 대한 자극과 투과의 문제,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백탁현상 등 몇 가지 문제점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 보다 효과적인 자외선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유기/무기 복합구조의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진은 새로운 자외선차단제인 메톡시선나마도프로필폴리설세스퀴옥산의 제조와 그 효과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특별히, 본 연구는 신규 자외선차단제의 화학적 구조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과 향상된 자외선차단 효과 및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자외선차단제의 구조분석은 TGA, solid state NMR, 원소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자외선차단지수는 5 wt%를 포함하는 제형을 평가하였을 때, 6.0 정도의 수치를 보였다. 또한 기존의 유기 및 무기 자외선차단제와 혼합적용 시, 자외선차단효과에 대한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W/S 유형의 화장료 제형에서 우수한 적용성을 보였다.

CEC 위협평가시스템 개발의 제품계열적 적용방법론 (Product Line based Application Methodology for Developing CEC Threat Evaluation System)

  • 우동성;윤희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295-297
    • /
    • 2005
  • CEC, 근접방어무기체계, 지휘통제체계 등에 사용되는 위협평가시스템은 자동위협평가, 방어구역 위협지수, 무기할당 등의 공통된 기능을 포함하고 있고, 시스템 환경의 변화 또는 성능 향상에 따라 수시로 업그레이드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산성 향상과 중복투자 방지로 인한 비용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제품계열 방법론을 위협평가시스템 개발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위협평가시스템의 제품계열 방법론 적용을 위해 핵심자산 개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품계열 영역지정, 핵심자산, 제품계획을 정의한다. 제품계열 영역지정은 Feature 모델링을 이용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핵심자산은 아키텍처 설계 중심으로, 그리고 각 핵심자산의 부착 프로세스를 종합하여 제품계획을 수립한다.

  • PDF

한국적 무기체계 효과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I) -무기체계 효과측정 방법론-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Weapon System Effectiveness Indices (I))

  • 민계료;박경수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3-135
    • /
    • 1979
  • Weapon System effectiveness indices are a key factor to the cost-effectiveness analysis in the process of allocating national resources in an optimal fashion. First part of this paper reviews the need of weapon -effectiveness indices, historical development of methodologies on military strength evaluation with various models of indices,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weapon effectiveness indices and war-game. Second part of this paper analyzes the concepts and usage of the already developed methodologies, i .e., index of power, weapon lethality index (W.L.I.), index of fire power potential (I.F.P), fire power potential (F. P. P), and weapon effectiveness indices/weighted unit value (W. E. I/W. U. V.). Finally, weaknesses and limits of these methodologies are compared and evaluated.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W. L. I, I. F. P, and F. P. P seem to possess many non-scientific or ambiguous facets, but the W. E. I/W. U. V method produces more detailed, inclusive, and reasonable indices. The paper concludes with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provision of the theoretical bases to develop effectiveness indices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Korean weapon systems, and the early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research group to manage and develop methodologies on the weapon effectiveness ind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