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기염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28초

Microwave 열처리 및 혼합염의 첨가가 깍두기의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ffects of microwave heating and salts addition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Kakdugi)

  • 윤정원;김종군;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19-224
    • /
    • 1991
  • 깍뚜기 저장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던 절임시 소금액에의 KCI 첨가, 절인무우의 microwave 열처리 그리고 발효중반기에 혼합염 첨가가 깍뚜기의 색, 견고성 등 물리적 특성과 관능적 성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밝히고저 깍뚜기를 $25^{\circ}C$에서 발효시키고 저장을 $4^{\circ}C$$25^{\circ}C$에서 하면서 이들 성질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무우의 견고성은 발효 및 저장을 하면서 전반적으로 감소함을 보여주었으나 $4^{\circ}C$ 저장에 있어서는 경도의 감소가 적었다. KCI의 첨가용액에서 절인 무우는 약간 높은 견고성을 보여주었고 혼합염의 첨가는 큰 영향이 없었다. Hunter 값으로 나타낸 깍뚜기액의 색은 발효나 저장기간이 증가하면서 "L"값이 증가하여 초기의 거의 투명했던 깍뚜기액이 우유색의 탁한 액으로 변함을 보여주었고, "a"값은 약간 감소와 "b"값은 약간 증가하였다. 혼합염을 첨가한 즉시의 깍뚜기액은 "L"값이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어 무기염에 의한 일부 유기물의 침전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관능적 평가는 절임시 KCI을 낮은 농도로 넣고 발효과정중 혼합염을 첨가한 깍뚜기가 품질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유기염 고체산화제 Guanidine Dinitramide의 합성연구 (Synthesis of Organic salt Oxidizer, Guanidine Dinitramide)

  • 김우람;권윤자;조영민;정선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45-351
    • /
    • 2014
  • Dinitramide($N(NO_2)_2$)염 화합물은 현재 고체 산화제로 로켓추진제의 중요한 원료 물질 중 하나이며, 환경 및 인체에 독성이 적은 친환경 에너지물질로 알려져 군사적 목적 외에 다양한 가스발생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무기염이 아닌 유기염인 Guanidine 염(GDN)은 수분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어 안정적 보관 및 제조가 가능하므로 고순도 물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GDN의 출발물질로 guanidine의 음이온 염인 acetate, chloride, carbonate, nitrate, sulfate를 사용하여, GDN(GDN-1,2,3,4,5)을 최대 99%의 수율로 합성하였고, 이들의 물성을 다양한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흡수파장은 3452, 3402, 3354, 3278, 3208, 1642, 1570, 1492, 1416, 1337, 1179, $1000cm^{-1}$이 공통적으로 관찰되었으며, 열적 특성 변화는 $130^{\circ}C$에서 일어나기 시작하며 $150^{\circ}C{\sim}160^{\circ}C$에서는 발열반응과 함께 물질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NaCl 처리가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Treatment on Growth and Physiologycal Activity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 남현화;이주희;추병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89-804
    • /
    • 2017
  • 본 논문은 염(NaCl) 처리 시 눈개승마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0, 100, 200, 300 mM의 농도로 염 처리를 하였다. 처리 30일 후 초장, 엽폭, 엽장 및 무기 이온 함량을 측정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 및 염증 생성 물질인 NO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염 처리 시 대조구에 비하여 생육 저하되었으며 염 농도 100, 200, 300 mM 처리구 간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무기이온 함량은 염 처리시 $Na^+$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K^+$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Ca^{2+}$ 함량은 염 처리 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Mg^{2+}$ 함량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00 mM 이상의 농도에서는 $Na^+$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됨에 따라 식물 생장에 불리한 $K^+/Na^+$, $Ca^{2+}/Na^+$, $Mg^{2+}/Na^+$ 비를 초래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mM 이상의 염 농도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환원력에서도 대조구에 비해 염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염 처리 시 눈개승마의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cell에서의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CK assay와 염증 생성 물질인 NO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염 처리구에서 모두 10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O 생산량의 경우 항산화 활성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대조구에 비해 100 mM 이상의 염 처리구에서 NO 생산 억제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염 처리시 100 mM 이상의 농도에서 눈개승마의 생육과 항산화, 항염증 활성이 저하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염 스트레스로 인해 생장과 생리활성 저하를 유발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눈개승마의 경우 100 mM 미만의 농도에서 생육 및 생리활성 유지에 적합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금 및 새우젓의 무기질과 중금속 함량 분석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alt and Salted-fermented Shrimp)

  • 허옥순;오상희;신현수;김미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19-524
    • /
    • 2005
  • 국내산 소금과 수입산 소금의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의 차이와 이들 소금이 새우젓의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실제 시판되고 있는 새우젓을 산지별로 구입하여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국산 천일염과 그것으로 제조한 새우젓은 중국산에 비해 Cu, K, Mg의 함량이 많았으며, 중국산 천일염과 그것으로 제조한 새우젓은 Mn, Na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판새우젓에서는 산지에 따른 무기질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금속을 분석한 결과 시판 소금은 Pb, Hg 및 As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Cd는 식품공전의 규정(<0.5ppm) 이하인 0.07-0.30ppm의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20 종의 시판 새우젓의 경우, Cd가 0.1 ppm(ND-0.5 ppm)의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실험실 제조 새우젓의 경우, Pb이 0.3ppm(ND-0.8ppm)의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다른 중금속(As, Hg, and Ni)은 검출되지 않았다.

Monascus sp. YH-69의 분리동정과 색소의 생산 (Isolation and cultural condition of Monascus sp. YH-69 for the Production of the Pigments)

  • 유춘발;진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1998
  • 자연계로 부터 색소생산균을 분리하고 색고 생산성이 가장 양호한 YH-69를 동정한 결과, Monascus ruber의 근연균으로 동정되었따. 분리균의 색소 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탄고원은 200 mesh의 6% 쌀가루가 가장 우수하였으며,질소원은 0.2%의 yeast extract, 인산염은 0.3% ammonium sulfate, 무기염은 0.002% $ZnSO_4$에서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인 인자들을 조한하여 최적의 배지를 구성하고 색소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pH 5와 30${\circ}C$에서 높은 생산성을 보였으며, 배양 3일째로부터 색소생산성이 증가하여 배양 6일째 최고의 생산성을 보였다.

  • PDF

사소마그네시아와 인산염을 활용한 무기접착재의 붕사첨가율에 따른 강도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inorganic adhesives using dead burned magnesia and phosphate according to addition ratio of borax)

  • 김대연;편수정;임정준;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8-49
    • /
    • 2018
  • Recently the old buildings have been increasing and increasing reconstruction.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use of architectural adhesives has increased. Adhesives are not only used for bonding but also for building materials used in various fields. However, since the adhesive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it causes various skin diseases and sick house syndrome, and when a fire occurs, harmful substances are generated, and incomplete combustion may cause personal injury. Therefore, in this study,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adhesives, we tried to develop inorganic adhesives using inorganic materials.

  • PDF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 (Limiting Nutrient on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 이재성;정래홍;김성수;고우진;김귀영;박종수;이영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3호
    • /
    • pp.201-210
    • /
    • 2001
  • 광양만에 있어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을 검토하기 위하여 염분,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 DIN/DIP비 및 현장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한 생물실험을 하였다. 조사는 강우량이 적은 1999년 11월과강우량이 많은 2000년 9월에 하였다. 강우량이 적은 1999년 11월의 경우, 광양만의 염분,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 DIN/DIP비의 평균값은 각각 29.92 psu, 13.59 ${\mu}M$, 3.41${\mu}M$, 4.14이었으며,강우량이 많은 2000년 』월의 경우에는 각각 24.62 psu, 27.77 ${\mu}M$, 2.82 ${\mu}M$, 9.79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의 농도가 득량만, 여자만, 가막만 또는 체서피크만이나 히로시마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용존무기인의 경우 최고 8배 높게 나타났다. 질소의 주요 유입원으로는 섬진강으로부터 담수유입으로 인한 공급과 산업폐수의 유입으로 생각되었으며, 인의 경우 담수유입보다는 광양만내에 강력한 점오염원이 있어 그 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강우량이 적은 1999년 11월의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은 질소였다. 강우량이 많은 2000년 9월의 경우에도 1999년 11월과 같이 질소가제한영양염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질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의 농도가 높은 점오염원에 의해 많은 양의 인이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광양만에서 그 제한영양염은 상당히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될 경우 섬진강 하구의 일부지역에서는 인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나, 섬진강 하구을 제외한 광양만, 여수동부연안 및 돌산도 동부연안해역은 높은 농도의 용존무기인에 의해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될 경우에도 질소가 제한영양염으로 나타날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25시간 연속관측을 통한 섬진강 하구에서 시공간적 해양환경 변화 조절 요인 (Factors Controlling Temporal-Spatial Variations of Marine Environment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rough 25-hour Continuous Monitoring)

  • 박미옥;김성수;김성길;권지남;이석모;이용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4-322
    • /
    • 2012
  • 섬진강 하구에서 수온, 염분, pH, 용존산소, 부유입자물질, 영양염류, 엽록소 a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2006년 3월(건기)과 7월(우기)에 각각 25시간 연속관측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염분경사에 따라 해양환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섬진강 하구에서 염분의 변화는 건기에는 조석주기, 우기에는 강물 유출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무기영양염류(질산염, 아질산염, 규산염) 농도의 시공간적 분포는 건기에는 염분의 변화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우기에는 시간에 따라 농도 변화가 작았다. 우기시 영양염류의 평균 농도는 건기에 비해 용존무기질산염의 경우 약 6배, 용존무기인의 경우 약 4배, 용존무기규산염의 경우 약 43배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a 농도는 용존무기영양염류의 농도가 높은 우기에 비해 건기에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 우기와 건기에 해양환경인자의 시공간적 분포는 조석과 강물유출량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며, 엽록소 a의 분포는 용존무기영양염류의 분포보다는 담수의 유출량 변화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나무딸기(복분자(覆盆子)) 과즙색소(果汁色素) Anthocyanin의 안정성(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from Juice of Raspberries)

  • 박정미;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7-74
    • /
    • 1982
  • 나무딸기 과즙으로부터 추출한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에 관하여 pH, 온도, 유기산, 무기염, 금속이온 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특히 유기산과 무기염에 의하여 농색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또한 지속적인 안정성을 가지므로 이를 관찰하여 보고한다. (1) 상온에서 pH 1$\sim$7의 완충용액에 나무딸기 과즙 색소 anthocyanin을 가하였을 때 초기흡광도는 pH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7일간 저장 중 색소의 분해속도는 pH 1과 2가 과즙색소의 pH인 3.7보다 더 빨랐다. 총색소의 잔존량은 pH 7.0 에서 가장 낮았고 pH 3.7에서 가장 많았다. (2) 온도에 대한 영향은 $40^{\circ}C$에서 6시간 후 색소 잔존율은 약 28%, $5^{\circ}C$에서 약 70%로써 온도가 낮을수록 색소잔존율이 높았다. (3) 유기산 첨가시 흡광도 변화는 첨가농도 증가와 함께 색소액의 흡광도가 증대되었으며 그 순위는 formic acid>acetic acid>n-butyric acid>propionic acid로 나타났다. Formic acid의 농색화 효과는 40일 저장후 무첨가구보다 약 10.3배이며 tartaric acid 약 4배, malic acid 약 3.9배, citric acid 약 3.8배 등의 순으로 농색화가 관찰되어졌다. (4) 무기염 첨가농도에 따른 anthocyanin의 농색화 효과의 순위는 sodium perchlorate>sodium sulfate>sodium chloride>sodium phosphate, monobasic로 나타났다. (5) 금속이온에 의하여 색소용액은 저장 5일에 크게 감소되었으며 저장중 $Cu^{2+}$, $Al^{3+}$의 감소율이 가장 컸으며 $Fe^{2+}$은 비교적 감소율이 작았다.

  • PDF

무기염과 생물반응기의 종류가 Clavulanic acid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rganic Salts and Various Bioreactors on the Production of Clavulanic Acid)

  • 김일출;김승욱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40-444
    • /
    • 1999
  • S. clavulirerus ATCC 27064 균주는 약 200 mg/L의 clavulanic acid를 생산하였지만, 이 균주를 NTG에 의해 돌연변이 시킴으로써 얻어진 S. clavuligerus KK를 같은 배양조건에서 약 5배 많은 1150 mg/L의 clavulanic acid를 생산하였다. 무기염이 첨가되지 않은 clavulanic acid의 기본 생산 배지에서는 clavulanic acid의 생산량은 1150 mg/L였으나 다양한 무기염 중에서 MgSO$_4$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약 2000 mg/L나 생산되었다. 따라서 기본 배지조성인 1%(v/v) glycerol, 1.5%(w/v) soybean flour, 0.1%(w/v) $KH_2PO_4$, 0.2%(v/v) soybean oil에 0.4%(w/v) MgSO$_4$를 첨가함으로써 clavulanic acid의 생산을 높일 수 있었다.Airlift 와 bubble column 및 교반식 생물반응기에서 회분식 배양을 했을 경우 clavulanic acid의 생산은 airlift 생물 반응기에서는 1100 ng/L, bubble column 생물 반응기에서는 1450 mg/L, 교반식 생물 반응기에서는 1500 mg/L가 생산되어, 교반식 반응기가 적절하다고 생각되며 이는 배양액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임펠러에 의한 교반 효과가 있는 교반식 반응기에서 물질전달이 가장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교반식 생물 반응기에서 용존산소농도에 따라 교반속도를 조절하여 회분식 배양을 했을 경우가 수율이 0.18, 생산성은 250mg/Lㆍday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