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기염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9초

NaCl 스트레스가 토마토, 고추, 가지의 생육, 광합성 속도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Mineral Uptake of Tomato, Red Pepper and Egg Plant in Pot Culture)

  • 강경희;권기범;최영하;김회태;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3-138
    • /
    • 2002
  • 본 실험은 가지과 작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생장 특성 및 생리적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단계에 따라 NaCl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초장, 생체중 등 생육은 유묘기 및 영양 생장기 모두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모든 작물에서 억제되었다 특히 토마토 및 가지에서는 NaCl 40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20mM 이상에서 작물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수량은 토마토 및 가지에 서는 NaCl 20 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10 mM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수량감소는 낮은 농도에서는 착과수의 감소에, 그리고 농도가 높을수록 착과수의 감소와 더불어 평균과중의 감소의 영향이 컸다. 광합성 속도는 NaCl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고추가 가장 낮았고, 토마토, 가지 순으로 낮았다. 잎의 수분포텐셜과 기공 전도도도 광합성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경엽의 무기 양분 함량에서는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은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Na 및 Cl 함량은 증가하였다.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의 생육을 저해하는 Chryseomonas luteola 5042의 선발과 항진균성 길항작용 (Identification and Antifungal Antagonism of Chryseomomas luteola 5042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윤경현;이은탁;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6-193
    • /
    • 2001
  • 경북 경주지역의 저병해 고추경착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생물학적 방제기작중의 하나인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길항미생물을 분히하기 위하여 70여종의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를 가장 강력하게 길항하는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균주는 Chryseomonas luteola로 동정되었고 방제 기작은 약한 siderophore 생산성과 cellulase 생산성도 기인되었으나 항생물질 생산성이 주요 기작임을 확인하였다. 항진균성 항생물질의 대량생산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항생물질 생산의 최적배지 조건 및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는데 길항균주의 항생물질 생산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은 0.45% N-acetyl-D-glucosamine과 0.15% D(+) cellobiose에서 81%와 89%의 P. capsicivh자의 성장 억제율을 나타냈다. 질소원의 경우는 0.55% $NH_4$CI 첨가시 69%의 억제율을 나타냈고 무기염의 영향에 있어서는 0.01% KCI을 사용했을 때 63%의 억제율을 나타냈다. 또한 배양 조건에 있어서는 pH 7.0m $30^{\circ}C$에서 84시간 배양시 가장 높은 항진균성 항생물질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토양내에서 실제로 생물방제력을 발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추를 이용한 in vivo pot test를 실시한 결과 P capsici 만 처리한 것은 고추역병 현상을 나타냈고, P capsici 와 길항균 C luteola 5042를 함께 처리한 것은 역병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으로 길항균주는 C luteola 5042 P capsici 의 성장을 저해하여 고추 역병의 발병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수 있었다.

  • PDF

Bacteria가 생산하는 Cysteinedesulfhydrase에 관한 연구(제일보) Cysteinedesulfhydrase 생산균의 분리검색 및 동정 (Studies on Cysteinedesulfhydrase produced by Bacteria.(Part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ysteinedesulfhydrase producing Bacterium.)

  • 최용진;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3
    • /
    • 1974
  • 1. 약 70여종의 보존 및 토양분리균에서 cysteine 분해능이 큰 새로운 균주를 분리검색 하였던 바 cysteine 분해능이 가장 높았던 토양분리균주인 No. I-3-2를 공시균주로 선정하여 이균주에 대한 균학적 제성질을 검토한 결과 No, I-3-2 균주는 Aerobacter aerogenes로 동정되었다. 2. No I-3-2 균주는 L-cysteine을 cysteinedesulfhydrase 생산의 가장 효과적인 유도제로 필요로 하였으며 또한 본균의 효소생산을 위한 몇가지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배양배지의 initial PH가 7.0~7.5일때, 탄소원으로 glycerol을 0.1%, 무기염으로 CaCl$_2$를 0.2% 농도로 기초배지에 첨가 하였을때 가장 양호한 효소생산효과를 나타내었고 배양시간은 배양 8시간전후에서 균체증식 및 효소생산의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 PDF

알칼리성 Cellulase를 생산하는 호알칼리성 Bacillus sp. HSH-810의 분리 및 효소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kaline Cellulase Produced by Alkalophilic Bacillus sp. HSH-810)

  • 김지연;허성호;홍정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9-146
    • /
    • 2004
  • 일반 토양과 부엽토, 퇴비로부터 alkaline cellulase 생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한 후 형태적, 배양학적 및 생화학적 동정을 실시한 결과 호알칼리성 Bacillus sp. HSH-810 균주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분리균 Bacillus sp. HSH-810의 생육과 효소 활성은 $30^{\circ}C$와 pH 10.0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균주는 배지 중에 탄소원과 질소원, 무기염으로 1.0%의 CMC와 0.5%의 peptone, 0.02%의 $CaC1_2$, $CoC1_2$를 사용하였을 경우 최대의 alkaline cellulase생산성을 나타내었다. 효소의 최적 활성 pH와 온도는 각각 10.5와 $50^{\circ}C$였다. 이 효소는 pH 6.0-13.0과 $50^{\circ}C$의 온도에서 매우 안정하였다. 효소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효소액은 sodium-$\alpha$-olefin sulfonate (AOS)와 sodium dodecyl sulfonate (SDS), Tween 20, Tween 80에 대하여 안정성 이 높은 특징을 보였으나 0.1%의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LAS)를 첨가한 경우에는 효소 활성이 심하게 저해되었다.

Aspergillus niger KUF-04에 의한 Glucose Oxidase 생산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ditions of Glucose Oxidase Production by Aspergillus niger KUF-04)

  • 최남희;양호석;최용진;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5-154
    • /
    • 1982
  • 토양에서 분리 동정된 Aspergillus niger KU K-04에 의한 glucose oxidase 생산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효소생산에 미치는 배양조건 및 영양원에 대하여 연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효소생성을 위한 최적배양온도, 배지pH 및 배양시간은 각각 28~34$^{\circ}C$, 7.0~8.0 및 40 시간이었다. 2. 탄소원으로서는 포도당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최적농도는 15% (w/v)이었다. 3. (NH$_4$)$_4$SO$_4$가 질색원으로서 가장 좋은 효소활성을 나타냈으며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농도는 0.02%이었다. 4. 무기염으로서는 MgSO$_4$. 7$H_2O$ 및 KH$_2$PO$_4$를 각각 0.05%와 0.02%를 첨가했을 때 효소생산이 증가되었다.

  • PDF

분리균 Aspergillus sp. GF015를 이용한 감귤과피(柑橘果皮)의 당화(糖化)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Citrus Peel by Aspergillus sp. GF 015)

  • 박석규;성락계;전효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9-64
    • /
    • 1985
  • 감귤과피를 미생물의 발효기질로 이용하기 위하여 우선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로서 감귤과피의 최적 당화조건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귤과피를 용이하게 당화시키는 균주로서 Aspergillus sp. GF 015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그 균주(菌株)의 효소생산(酵素生産)은 밀기울 고체배지에 질소원($NH_4NO_3$)무기염($KH_2PO_4$)을 각각 0.6, 0.05%의 농도로 첨가하여 $27^{\circ}C$에서 3일간 배양하였을 때가 가장 좋았다. 한편 효소(酵素)의 최적반응조건(最的反應條件)은 기질과 조효소액의 비율 15ml (97.5 unit)/g peel, pH 4.0, 반응온도 $45^{\circ}C$, 반응 12시간이 적당하였다. 그 결과 원료감귤과피에 대해 60.2% 환원당을 생성하여 76.3%의 당화율을 나타내었으며 총당에 대한 환원당의 비율이 95%로 상당히 저분자화 되어 있다. 또한 최종당화액중의 주요성분은 glucose, xylose, galacturonic acid였으며, 감귤과피 분해에 관하여는 주효소는 cellulase, pectinase였는데 xylanase 도 약간 관여하였다.

  • PDF

무에서 추출한 myrosinase의 정제 및 효소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myrosinase from radish)

  • 심기환;강갑석;서권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86-92
    • /
    • 1993
  • 무에서 DEAE Bio-Gel, Con-A 및 Superose-6 칼럼을 이용하여 myrosinase를 정제하고 그 효소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myrosinase(II)는 2개의 subunits를 가졌으며, 이들의 분자량은 SDS-GAGE상에서 각각 53 및 39 KD였다. 정제된 무효소의 비활성도는 37,500 units/mg이었으며, 정제도는 44배였다. 최적 활성 pH는 phosphate 및 Tris-HCl 완충액에서 $6.5{\sim}7.0$이었으며, pH7.0에서 그 효소활성이 가장 안정하였다. 활성 최적온도는 $37{\sim}38^{\circ}C$였고, 열안정성은 $30^{\circ}C$ 이하였다. 무 myrosinase에 대한 무기염의 영향은 구리 및 수은 이온은 효소 활성을 매우 저해하며, ascorbic acid의 농도별 영향은 1 mM일 때 최대활성을 나타내었다. Ascorbic acid analogue에 대한 활성은 dehydroascorbic acid에 대해서는 거의 없었으며, 나머지 analogue들도 ascorbic acid보다 상당히 활성이 낮았다. 무 myrosinase에 대한 환원제의 영향은 2-mercaptoethanol과 dithiothreitol에 의해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들을 ascorbic acid 등 2-mercaptoethanol과 함께 첨가하면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Rhodococcus sp. EH741에 의한 Hexane 생분해 특성 (Characterization of Hexane Biodegradation by Rhodococcus sp. EH741)

  • 이은희;조경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4-149
    • /
    • 2006
  • Hexane을 유일 탄소 에너지원으로 하여 농화배양한 배양액으로부터 hexane 분해능이 우수한 EH741 균주를 순수 분리 동정하였고, 분리균주에 의한 hexane 생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EH741 균주는 Rhodococcus sp.로 동정되었고, 액상 배양계에서 hexane 용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한 계면활성제 Pluronic F68(PF68)은 hexane 생분해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Hexane을 유일 탄소원으로 첨가한 무기염 배지에서 EH741의 최대 비성장속도(${\mu}_{max}$)값은 $0.04h^{-1}$이었고, 최대 hexane 분해속도($V_{max}$)와 포화상수($K_s$)는 각각 $161{\mu}mol{\cdot}g-DCW^{-1}{\cdot}h^{-1}$ 및 10.5 mM이었다. Rhodococcus sp. EH741은 hexane 처리를 위한 생물학적 공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Streptomyces S-217에 의한 Trypsin 저해물질의 생산 및 정제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Trypsin Inhibitor from Streptomyces S-217)

  • 류병호;이주화;신동분;김동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34-542
    • /
    • 1992
  • Streptomyces S-217 균주가 생산하는 trypsin 저해물질의 생산 및 정제조건을 검토하였다. 저해물질의 생산은 500ml 후라스크의 배양에서 2 mannitol, 0.9, peptone의 배지와 초기 pH는 7.0 배양시간은 66시간 및 온도30$^{\circ}C$의 조건에서 제일 높았으며, 무기염의 효과는 크게 영향이 없었다. 정제는 column chromatography와 HPLC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trypsin 저해물질의 초대파장은 $\lambda_{max}$ 215nm이었고, 용해도는 물에는 95, methanol과 dimethylsulfoxide에서는 70% 및 75%이었다.Trypsin 저해물질 복합체 형성시간은 10분 정도였으며, trypsin 효소의 50% 저해농도($IC^{50}$)는 15$\mu$g/ml 이었다. 저해물질의 pH 안정성은 $100^{\circ}C$ 10분간 열처리시 pH 5~9에서 100% 활성이 유지되었으며, 산성측보다 알칼리측이 안정하였고, 열안정성은 $100^{\circ}C$, pH7.0에서 1시간 동안 50% 활성을 유지하였다.

  • PDF

알칼리성 Pretease를 생산하는 Bacillus subtilis JK-1의 분리 동정 및 효소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kaline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JK-1)

  • 김지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1-336
    • /
    • 2007
  • 청국장으로부터 알칼리성 pretense 생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한 후 형태적,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한 계통분석을 이용하여 동정을 실시한 결과 Bacillus subtilis JK-1으로 판명되었다. B. subtilis JK-1이 생산하는 pretense의 최적 활성 pH와 온도는 각각 9.0과 $55^{\circ}C$이었으며, $40{\sim}80^{\circ}C$의 sh도에서 안정하였다. 본 균주는 배지 중에 탄소원과 질소원, 무기염으로 1.0% (w/v) xylose와 1.0% (w/v) yeast extract, 0.3% (w/v) $CuSO_4$를 사통하였을 경우 최대의 알칼리성 protease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JK-1의 생육은 배양 후 12시간만에 최대 성장을 나타냈으며, 효소 활성은 8시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6{\sim}20$시간에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