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기물 특성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omparision of Mineral, Hydroxy Methyl Furfural Content and SDS-PAGE Pattern of Proteins in Different Honeys (다양한 꿀에 함유된 무기물 조성, Hydroxy Methyl Furfural 함량 및 꿀 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 비교)

  • Jung, Mi-Ea;Kim, Cheon-Jei;Paik, Hyun-Dong;Oh, Jae-Wook;Lee, Si-Kyung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31 no.2
    • /
    • pp.241-24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sh content, mineral composition, hydroxy methyl furfural (HMF) content, stable carbon isotope ratio,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ttern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honeys harvested from different source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useful for distinguishing honey sources. Ash content was 0.046-0.012% in acacia honey, 0.565-1.318% in chestnut honey, 0.06-0.582% in polyfloral honey, and 0.237-0.893% in native bee honey. Potassium content was high in order of chestnut honey>native bee honey>polyfloral honey>acacia honey. The Na/K ratio was 0.92-1.97 in acacia honey, 0.02-1.59 in chestnut honey, 0.02-5.30 in polyfloral honey, and 0.22-0.51 in native bee honey. The HMF content was 9.60-12.85, 10.15-25.75, 9.7-33.5, and 6.25-21.5 mg/kg in acacia, chestnut, native bee, and polyfloral honeys, respectively. HMF content was the highest in native bee honey. A 59 kDa protein band was revealed in all samples by SDS-PAGE analysis. Protein bands of 32.1, 31.9, and 33.5 kDa were revealed in some chestnut honeys, and protein bands of 32.3 and 32.5 kDa were shown in native bee honeys. A protein band of 72 kDa was also confirmed in some chestnut honeys.

Synthesis of Hollow Carbon Microspheres with Mesoporous Shell and Vacant Core Structure and Their Electrochemical Properties (중간세공을 갖는 껍질로 구성된 속이 빈 마이크로 탄소입자의 합성 및 이들의 전기화학적 특성)

  • Lee, Yae Won;Yang, Hee Chun;Kim, Geon-Jo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7 no.4
    • /
    • pp.449-454
    • /
    • 2016
  • In this study, highly monodispersed porous carbon microcapsules with a hollow core were synthesized using polystyrene (PS) beads as a hard template. The surface of PS was first modified with polyvinylpyrollidone (PVP) for the easy attachment of inorganic silica sol. After coating the surface of PVP modified PS microspheres with SBA-16 sol, the carbon microcapsules with a hollow macroporous core were fabricated through reverse replication method by filling carbon sources in the mesopores of silica mold. The hollow carbons having a mesoporous shell structure and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could be obtained after the carbonization of carbon source and the dissolution of silica mold by HF solution. The mesoporous characteristic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hollow carbon microcapsules were characterized by XRD, SEM, TEM, $N_2$ adsorption/desorption analysis and cyclic voltammetry. They showed the high electric conductivity and capability for use as efficient electro-materials such as a supercapacit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Whey Concentrated by Reverse Osmosis (역삼투법으로 분리, 농축한 두부순물의 이화학적 특성)

  • Kim, Dong-Man;Baek, Hyung-Hee;Jin, Jae-Soon;Lee, Sei-Eun;Kim, Kil-Hwa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4
    • /
    • pp.311-314
    • /
    • 1992
  • Sever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retentate obtained from reverse osmosis of soybean curd whey were studied. The contents of sucrose, raffinose and stachyose in the retentate were 32.59%d.b., 4.76%d.b. and 9.99%d.b., respectively. Potassium (5.23%d.b.), in the retentate was a dominant element in ash. Protein content (18.69%d.b.), amino acid composition and subunit pattern of protein in PAG-electrophoresi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oybean protein. Emulsification activity, emulsification stability and viscosity of protein isolated from soybean curd whey (WPI) were slightly inferior compared to protein isolated from soybean (SPI), with the exception of solubility that depended on the pH of WPI.

  • PDF

Densified Pellet Fuel Using Woody Core of Industrial Hemp (Cannabis sativa L.) as an Agricultural waste (농업부산물인 산업용 대마(Cannabis sativa L.) 목부를 이용한 고밀화 펠릿 연료)

  • Han, Gyu-Seong;Lee, Soo-Min;Shin, Soo-Je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2 no.4
    • /
    • pp.293-298
    • /
    • 2009
  • We prepared densified wood pellet by agricultural waste. The hemp woody core was used as replacing wood resource. Hemp was separated into the bast fiber and the woody core by hot steaming treatment. The hemp woody core had a similar lignin content(19.4%) and carbohydrate composition with hardwood(20-25% lignin in hardwood), respectively. Also, the hemp had a low ash content(0.5%), which resulted in a low ash formation in pellet burning. Heating value of the hemp pellet(18.40 MJ/kg) had a very similar to the pellet made by hardwoods. The hemp woody core could be replaced the hardwood for densified wood pellet.

Encapsulation of OLEDs Using Multi-Layers Consisting of Digital CVD $Si_3N_4$ and C:N Films

  • Seo, Jeong-Han;O, Jae-Eung;Seo,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38-539
    • /
    • 2013
  • 여러 장점으로 인해 OLED는 디스플레이 및 조명 등 적용분야가 넓어지고 있지만, 수분 및 산소에 취약하여 그 수명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현재까지는 glass cap을 이용한 encapsulation 기술이 적용되고 있지만, flexible 기판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thin film encapsulation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나 보다 신뢰성이 높은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때이다. Encapsulation 무기 박막 물질로서 $Si_3N_4$ 박막은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박막 증착법을 사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저온에서의 좋은 품질의 박막 증착이 가능하지만, 100도 이하의 thermal budget을 갖는 OLED Encapsulation에 사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CVD 박막의 특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최근 ALD (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을 통한 $Al_2O_3$ film 증착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낮은 증착 속도로 인해 양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 다른 해결책으로서 Digital CVD 방법을 이용한 양질의 $Si_3N_4$ 박막의 증착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ALD 증착법과 유사하며, 1st step에서 PECVD 방법으로 4~5 ${\AA}$의 얇은 silicon 박막을 증착하고, 2nd step에서 nitrogen plasma를 이용하여 질화 반응을 진행하고, 이러한 cycle을 원하는 두께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 때 1 cycle 당 증착속도는 7 ${\AA}$/cycle 정도였다. 최적의 증착 방법과 조건으로 기존의 CVD $Si_3N_4$ 박막 대비 1/5 이하로 pinhole을 최소화 할 수는 있지만 완벽하게 제거하기는 힘든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을 위한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기물 박막인 carbon nitride를 이용한 SiN/C:N multilayer 증착 연구를 진행하였다. Fig. 1은 CVD 조건으로 증착된 두께 750 nm SiN film에서 여러 층의 C:N film layer를 삽입했을 때, 38 시간의 85%/$85^{\circ}C$ 가속실험에 따라 OLED의 발광 사진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C:N 층을 삽입하고 또한 그 박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OLED에 대한 encapsulation 특성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Effect of Dietary Dried Persimmon By-produc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곶감부산물의 급여가 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Jik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5 no.4
    • /
    • pp.436-441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dried persimmon by-produc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One hundred sixty broilers were fed diet for five weeks containing 0, 1, 3, and $5\%$ of dried persimmon by-product The p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The shear force and cooking loss of the treatment group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n the water holing capacity (WHC)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s (P<0.05). The meat color of the treatments group showed redd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owing to higher $a^*\;and\;b^*$ value. The flavor evaluated by sensory evaluation were improved by treatments group (P<0.05). In minerals, P content of the treatment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dried persimmon by-product tended to improve the flavor.

코어-쉘 나노 입자를 포함한 고분자 박막으로 제작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윈도우와 기억시간에 미치는 영향

  • Lee, Min-Ho;Yun, Dong-Yeol;Jeong, Jae-Hun;Kim, Tae-Hwan;Kim, Seong-U;Kim,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117-117
    • /
    • 2011
  • 유기물과 무기물이 결합한 나노 복합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공정이 간단하고 저렴할 뿐만 아니라 휘어짐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코어-쉘 나노 입자를 포함한 고분자 박막으로 제작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서 쉘의 종류와 유무에 따른 메모리 윈도우와 기억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주 적다. 본 연구에서는 CdTe-CdSe 코어-쉘 나노 입자 및 CdTe 나노 입자가 Poly(9-vinylcarbazol) (PVK) 박막에 분산되어 있는 나노복합체를 기억 매체로 사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을 제작하여 쉘의 유무에 따른 메모리 윈도우와 기억시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두 가지의 나노 입자를 각각 PVK와 함께 톨루엔에 용해시킨 후에 초음파 교반기를 사용하여 나노입자가 PVK가 고르게 섞인 두 가지의 나노복합체를 형성하였다. 두 가지 용액을 p-Si 기판위에 스핀 코팅 방법으로 도포한 후, 열을 가해 용매를 제거하여 CdTe-CdSe 나노 입자가 PVK에 분산되어 있는 나노복합체 박막과 CdTe 나노 입자가 PVK에 분산되어 있는 나노복합체 박막을 각각 형성하였다. 나노 입자가 분산된 각각의 나노복합체 박막 위에 Al을 게이트 전극으로서 열증착하여 소자를 완성하였다. 제작된 두 소자의 정전용량-전압 (C-V) 측정을 하여 CdSe의 유무에 따른 메모리 소자에 대한 C-V 곡선의 다른 평탄 전압 이동을 관찰 하였다. 정전용량-시간 측정을 하여 CdSe 쉘의 유무에 따라 포획된 전하를 유지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측정 결과 모두 CdSe 쉘이 존재하는 메모리 소자에서 우수한 메모리 윈도우와 기억시간 특성이 나타났다. 에너지 대역도를 사용하여 소자의 전하 수송 메커니즘과 CdSe 쉘의 존재에 의해 소자의 메모리 윈도우와 기억시간 특성이 향상되는 원인을 설명 할 것이다.

  • PDF

유기물에서 내부의 트랩 분포 변화에 따른 전자 이동도 현상

  • Yu, Ju-Hyeong;Kim, Dong-Hu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16-416
    • /
    • 2012
  • 유기물을 기반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유기메모리 및 유기 태양전지 등과 같은 차세대 전자소자는 기존의 무기물 기반의 소자에 비해 가격이 싸고 제작방법이 간단하며 휘어지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유기물을 기반으로 한 전자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기물질이 갖는 고유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중요하다. 특히, 유기물 내에서의 전하 전송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유기물의 전자 이동도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나, 아직까지 유기물질을 기반으로 한 전자 소자의 전자 이동도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가 비교적 적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물 내에서의 트랩 분포 변화에 따른 전자 이동도를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 구조로 소자의 길이는 30-300 사이트로 하였으며, 이웃한 사이트간 거리는 $3{\acute{\AA}}$로 결정하였다. 유기물 내에 존재하는 트랩의 분포는 가우시안 분포로 가정하였고, 트랩의 분산도와 트랩 총량을 변화시켜 계산하였다. 이웃한 트랩간의 천이 확률을 Miller and Abrahams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트랩간의 천이시간을 랜덤 변수로 결정하였고, 이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유기물 내에서의 전자 이동도를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유기물의 트랩분포가 일정할 경우 전자 이동도는 전계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일정 전계에서 포화된 후 다시 감소한다. 초기의 전계 영역에서는 전계의 증가에 따라 유기물 내 트랩간의 천이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자 이동도가 증가한다. 하지만, 일정 전계 이상에서는 전자의 이동 속도가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전계의 증가에 따라 전자 이동도는 오히려 줄어들게 된다. 트랩의 분산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은 전계 영역에서는 전자 이동도가 작고, 전계가 증가할수록 분산도와 상관없이 전자 이동도가 비슷한 값으로 수렴한다. 트랩의 분산도가 30 meV로 작을 경우에 일정 온도 이상에서의 전자 이동도는 포화되어 일정한 값으로 유지한다. 유기물 내에 존재하는 트랩 분포에 따라 온도의 변화가 전자 이동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기물질을 기반으로 한 전자소자에서의 전하 전송 메카니즘을 이해하고 소자의 제작 및 특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poly(arylene ether sulfone)/SiO2 Composite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FC)용 poly(arylene ether sulfone)/SiO2 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분석)

  • Shin, Mun-Sik;Kim, Da-Eun;Park, Jin-Soo
    • Membrane Journal
    • /
    • v.27 no.2
    • /
    • pp.182-188
    • /
    • 2017
  •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SPAES)-3-mercaptopropyl silica gel (3MPTSG) composite membranes with improved oxidative stability were prepared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pplica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ether part of main chain of aromatic hydrocarbon based membranes were weak to radical attack to decrease membrane durability. In this study, the hydrophilic inorganic particles were introduced by minimizing a decrease in ion conductivity and increasing an oxidative stability. The composite membran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ionic conductivity, ion exchange capacity (IEC), FT-IR, TGA and contact angle, etc. As a result, increasing amount of the 3MPTSG resulted in decrease in proton conductivities and water uptakes at 100% R.H. but enhanced thermal and oxidative stabilities.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wine Manure, Poultry Manure and Mixtures (돈분, 계분 그리고 혼합물에 대한 연소특성)

  • Chung, Yeong-Ji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4 no.6
    • /
    • pp.616-620
    • /
    • 2013
  • In this work, the combustive properties of the swine manure, poultry manure, and mixtures based on the resource recycling-energy were investigated. After the specimens were dried to a constant weight by dry oven, combustive properties were tested by the cone calorimeter (ISO 5660-1). It was found that the peak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PEHC) in the swine manure (78.72 MJ/kg) has risen due to more amount of the hydrocabon compared with poultry manure (69.41 MJ/kg), also the swine manure increased both of the higher $CO_2$ production rate (0.1959 g/s) and total smoke release rate (THRR) ($419m^2/m^2$) than those of the poultry manure. However, both of the CO production release (0.0996 kg/kg) and CO production rate (0034 g/s) in the poultry manure increased due to more amount of the inorganic contents compared with swine manure. Thus, the high combustion energy is expected to generate depend on the hydrocarbon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