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장애지수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교정 운동과 TECAR 치료가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환자의 목정렬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rective Exercise and TECAR therapy on neck alignments and pain in Forward Head Posture Patients)

  • 박시은;이형렬;박신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43-551
    • /
    • 2018
  • 본 연구는 교정 운동이 전방머리자세 환자의 목뼈 정렬, 압력통증 역치, 통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목 부위의 통증을 주로 호소하는 환자 중 전방머리자세로 판정되는 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중재방법으로는 연구군은 등뼈 폄 운동, 네발기기 자세에서 뒤쪽락킹, 그리고 능동 목뼈 돌림 운동과 TECAR치료를 융합하였으며, 대조군은 등뼈 및 목뼈 교정운동만을 적용하였다. 평가는 목 척추 각도, 압력 통증 역치, 목장애지수, 시각적상사척도를 측정하였다. 중재는 2주간 주 6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두 군 모두 목 척추각도, 압력통증 역치, 목장애 지수, 시각적상사척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목 척추각도를 제외한 압력통증역치, 목장애지수, 시각적상사척도에 연구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정 운동과 TECAR 치료를 융합하는 중재 방법이 전방머리자세 환자의 머리 정렬과 통증 및 일상생활능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사료된다.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만성 목통증 환자의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ep neck flexor exercise on pain and neck disability index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 이규창;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331-4337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심부목굽힘근 운동을 적용하여 통증, 목장애지수, 그리고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목통증 환자 37명을 무작위로 도구를 이용한 중재와 심부목굽힘근 운동을 시행하는 실험군과 도구를 이용한 중재만을 실시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중재는 12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다. 실험 전, 6주 후, 그리고 12주 후에 통증을 평가하기 위한 VAS, 기능을 평가하는 목 장애지수, 그리고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을 측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군 간의 차이를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적용된 실험군에서 통증과 목장애지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만성 목통증 환자에게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심부목굽힘근 운동은 통증과 기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만성 목통증 환자의 삶의 질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재활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상부등 가동성이 만성 목 통증 환자들의 목 기능장애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pper Thoracic Mobility on the Forward Head Posture,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Disability by Forward Head Posture)

  • 이은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57-26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등 가동기법과 상부목 가동 기법중 전방머리자세를 동반한 목 기능장애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32명의 대상자를 상부목 가동군과 상부목 가동군 두 그룹으로 설정 연구를 총 4주간 주 3회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전방머리자세에서 두군 모두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p<.01), 상부등 가동군이 상부목 가동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5, 95% CI: .157-.341). 목 기능장애의 변화에서도 두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1), 상부등 가동군이 상부목 가동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95% CI: 1.273-8.728). 삶의 질 변화에서도 두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5), 상부등 가동군이 상부목 가동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95% CI: 4.234-18.391). 본 연구결과 전방머리자세를 동반한 목 기능장애 환자에게 상부목 가동군보다 상부등 가동군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전방머리자세를 동반한 목장애지수를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더욱더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전방머리자세로 인한 2차적인 근골격계 질환 또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경추부 만곡이 감소된 성인의 경부 자세에 따른 관절가동범위와 목장애지수에 대한 연구 (Study for Range of Motion, Neck Disability Index According to Cervical Posture in Adults with Reduced Cervical Lordosis Due to Smartphone Use)

  • 김수형;한상철;문종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79-690
    • /
    • 2017
  • 본 연구는 경부 전만이 감소된 성인을 대상으로 경부 자세에 따른 관절가동범위와 목 장애지수의 비교 및 상관관계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경부 전만이 감소된(Cobb's 각도 35도 이하) 젊은 성인 34명을 선별하였다. 평가자는 경부 관절가동범위 측정기구를 사용하여 모든 대상자의 굴곡, 신전, 좌측굴곡, 우측굴곡, 좌측회전, 우측회전, 전방 변위를 측정하였으며, 설문을 통하여 목 통증지수를 평가하였다. 모든 평가 후, 경부 전만이 감소된 대상자를 하위집단(전만의 심각한 감소)과 상위집단(전만의 경미한 감소)으로 나누어 관절가동범위와 목 통증지수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하위집단은 상위집단과 비교하여 Cobb's 각도, 신전, 좌측굴곡, 우측굴곡, 좌측회전, 우측회전, 전방 변위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p<.05), 굴곡과 목 장애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목 장애지수의 하위항목 비교에서 하위집단은 상위집단보다 통증, 들어올리기, 두통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평가 간에 상관분석에서 Cobb's 각도는 굴곡, 신전, 좌측굴곡, 우측굴곡, 좌측회전, 우측회전과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었으며(p<.05), 전방 변위, 목 통증지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이 있었다(p<.05). Cobb's 각도는 목 통증지수의 하위항목인 통증, 들어올리기, 두통과 유의한 음의 상관을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경부의 자세가 관절가동범위와 통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씹기근육 수축을 동반한 머리목굽힘운동이 목통증 환자의 깊은목뼈굽힘근의 수축두께와 목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Masticatory Muscle Contraction on Deep Cervical Muscle Thickness and Neck Disability Index in Patient with Neck Pain)

  • 박은수;최호석;신원섭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39-14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masticatory muscle contraction in patients with neck pain. Patients with neck pain also experience muscle weakness and limit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masticatory muscle contraction may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deep cervical flexor muscles, thereby reducing pain and limitation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Twenty-six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3) and a control group (n=13). Both groups performed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masticatory muscle contraction for 20 minutes, 3 times a week for 4 weeks. Assessment tools included ultrasonography for measurement of muscle thickness and the Neck Disability Index for the level of pain and function. RESULTS: The rate of change in muscle thickness in both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p<.05), with a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5). The Neck Disability Index score significantly improved (p<.05) in both groups, with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masticatory muscle contraction can be effective in increasing muscle thickness and improving the Neck Disability Index score in patients with neck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