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빗근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목빗근에 대한 허혈성 압박법이 위등세모근의 만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schemic Compression on Sternomastoidcleido Muscle on Chronic pain in Upper Trapezius Muscle)

  • 심지훈;박태성;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94-200
    • /
    • 2021
  • 최근 스마트폰 사용 등과 같은 이유로 잘못된 자세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근육들의 불균형 단축이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목빗근이 단축되면 더부신경이 압박되어 위등세모근의 허혈성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목빗근 1/3지점의 더부신경 포착점에 허혈성 압박법을 중재하여 위등세모근의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여성 8명을 대상으로 4주간 주 2회 중재하였고, 중재 전, 후 그리고 중재 종료 3주 후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의 통증을 알아보기 위해 시각적 사상 척도와 맥길 통증 설문지 그리고 압력 통각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료 후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중재 종료 3주 후 역시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목빗근의 더부신경 압박점의 중재가 위등세모근의 통증 감소와 지속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후 연구에서 대상자를 늘려 위등세모근의 통증 감소뿐만 아니라 목의 기능개선도 확인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에서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의 목뿔위 및 목빗근 활성 비교 (Comparison of Chin Tuck Against Resistance and Shaker Exercise on Suprahyoid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Activity in Stroke Older Patients with Dysphagia)

  • 김본이;이슬;문종훈;원영식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179-193
    • /
    • 2016
  •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은 목뿔위근의 강화를 사용되는 중재법이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삼킴 장애가 있는 환자들 대상으로 두 운동을 비교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가진 뇌졸중 노인 환자에게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이 목뿔위근, 목빗근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0명의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가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가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등척성, 등속성), shaker 운동(등척성, 등속성)을 순서대로 수행하였으며, 10회 반복하였다. 저항성 고개 숙이기를 수행한 후, 대상자들은 근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5분간 휴식을 하였다. 두 운동 동안 목뿔위근과 목빗근의 활성을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은 그룹 내 저항성 고개 숙이기와 shaker 운동에서 근활성에 대한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은 목뿔위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은 shaker 운동보다 목빗근에서 유의하게 낮은 활성을 보였다(p<.05).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환자에게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이 shaker 운동보다 삼킴 기능 향상을 위한 더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들에게 목 돌림 수행 시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이 목의 가쪽 굽힘 움직임 패턴과 목빗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Biofeedback on Movement Patterns of Neck Lateral Bending and Muscle Activation of Sternocleidomastoid During Neck Rota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양노열;오재섭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25-432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differences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activity, neck rotation angle, neck lateral bending angle and neck lateral bending onset time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during neck rotation. METHODS: Ten male and four female adults with condition of forward head posture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Subjects conducted to left and right maximal neck rotation under the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During neck rotation, kinematic data of neck rotation, neck lateral bending movement, and electromyography activities of bilateral sternocleidomastold muscles were collected. Differences in dependent variables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lateral bending angle, while lateral bending movement onset time was delayed significantly when applying visual biofeedback (p<.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ation of left and right sternocleidomastoid muscles and neck rotation angle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isual biofeedback may be effective for axial rotation of cervical spine during neck rota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근육내 자극요법 후 목빗근내 농양의 치험례 (A Case of Intramuscular Abscess i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fter Intramuscular Stimulation (IMS))

  • 김재인;최환준;최창용;양형은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82-186
    • /
    • 2010
  • Purpose: Intramuscular stimulation (IMS) shows good result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patients who did not respond to other treatments such as oral analgesics, trigger point injection, nerve block and epidural steroid injection. But, IMS procedure especial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 has sometimes serious problem. So, we present a very rare case of intramuscular abscess in the sternocleiomastoid muscle after IMS with literature review. Methods: A 66 year old male visited our department 7 days after IMS in the neck. His premorbid conditions and risk factors of deep neck infection was DM and old age. Computed tomographic scans of the head and neck region were performed in this patient: signs of deep neck infection, were seen enhanced abscess i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cellulitis overlying tissue of the neck, and air bubbles involved muscle. Necrotic wound was excised serially and we treated this with the Vacuum-assisted closure (VAC, Kinetics Concepts International, San Antonio, Texas) system device. After appropriately shaping the sponge in the pockets, continuous negative pressure of 125 mmHg was applied. The VAC therapy was utilized for a period of 12 days. Results: We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from wide excision,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the VAC system, and then primary closure.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Results: We suggest that many of the infectious complications may be preventable by strict adherence to aseptic techniques and that some of the other complications may be minimized by refining the techniques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medical disorders of patients. And, the refined technique using the VAC system can provide a means of simple and effective management for the cervical intramuscular abscess, with better cosmetic and functional results.

운동발달 중재가 선천성 기운목 아동의 목빗근 두께와 목 운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or Developmental Intervention on the SCM Muscle Thickness and Range of Motion in Subjects wit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 Pilot Study)

  • 김영민;한진태;이은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33-13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ified motor developmental intervention on the SCM muscle thickness and the range of motion (ROM) of neck in subjects wit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METHODS: Thirteen subjects who ha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offered the modified motor developmental interventions for 8 weeks by pediatric physical therapist. SCM thickness of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and ROM of neck rotation were collected betwe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CM thickness was measured by using Ultrasound Unit (IU 22, Ultrasound system, Philips, Netherlands) and ROM of neck was measured by using the goniometer (Arthrodial protractor, North coast, USA). Data were represented as means ${\pm}SD$.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terventions on the SCM muscle thickness and neck ROM. RESULTS: SCM thickness of affected s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modified motor developmental interventions and that of non-affected side was generally in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interventions. ROM of neck rotation and lateral flex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nterven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odified motor developmental interventions could improve the recovery of SCM muscle thickness and neck ROM.

전방머리자세 대상자의 머리-척추각과 목 운동범위, 근력, 목빗근 두께와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ervical-Vertebra Angle and Neck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and Sternocleidomastoid Thickness)

  • 강민지;박근태;한진태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8-97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ervical-Vertebra Angle and Neck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Sternocleidomastoid Thickness of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Design: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54 people in the forward head position and their ages were between 30 and 50 years old. The subjects cranio-vertebral angles, neck extension, neck flexion, neck rotation angles, neck flexor strength, neck extensor strength, sternocleidomastoid thickness were evaluated through measuring instruments. The thickness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was measured using an imaging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ultra sound, Versana Premier, GE Medical systems, China). CVA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side photo of the subject was taken with a camera and evaluated.. neck joint range of motion was measured through digital inclinometer for extension, flexion, and neck rotation. neck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using a digital sthenomete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version 26.0 (IBM SPSS Inc., USA).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Results: The results neck extension(r= 0.70**), neck flexion(r= 0.67**), neck rotation(r= 0.56**), neck extensor muscle strengt(r= 0.85**), neck flexor muscle strength(r= 0.66**), sternocleidomastoid thicknes(r= -0.81**) It indicate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Conclusion:These results improve the Cervical-vertebra angle of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should include a program to improve the thickness of the SCM. In the future, study can be used as an evidentiary material for treatment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Cervical-vertebra angle of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의 흉쇄유돌근 초음파 소견과 사경종합평가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orticollis Overall Assess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ts)

  • 김용욱;김문환;김경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33-2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경의 진단 및 평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 검사와 이학적 검사 도구인 사경종합평가의 상관성 검증을 통해 사경종합평가의 유용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선천성 근성 사경으로 진단 받은 환아 7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사경 환아를 초음파 소견을 통한 흉쇄유돌근(목빗근) 섬유화 정도에 따라 네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사경종합평가를 통한 장애 정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초음파 영상 소견을 통해 분류된 환아 중 제1유형이 42명(53.8%); 제2유형이 21명(26.9%); 제3유형이 7명(9.0%); 제4유형이 8명(10.3%)이었다. 발현 연령은 초음파 제1유형에서 2.3${\pm}$0.8개월로 다른 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빨랐으며(p<0.01), 제4유형에서 20.2${\pm}$12.1개월로 가장 늦었다(p<0.01). 유형별로 분류된 초음파 검사와 사경종합평가의 상관관계에서 파이상관계수는 ${\phi}$=0.89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의 결과, 간단하며 객관적 검사 도구인 사경종합평가는 사경을 치료하는 물리치료사가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임상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조직검사를 시행한 소아 경부 종류의 임상적 고찰 : 단일 기관 연구 (Clinical Evaluation of Tissue Biopsy for Children with Neck Mass; A Single Center Study)

  • 윤유숙;윤혜원;김선영;설지영;송창준;김진만;박경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39-845
    • /
    • 2005
  • 목 적 : 소아에서 경부 종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데 대부분이 양성 경과를 보이며, 감염에 의한 염증성 반응인 경우가 많지만 선천성 낭종이나 악성 종양의 가능성도 있어 주의를 요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부 종류를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한 환아들에서 그 원인과 임상 양상, 치료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 경부 종류를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를 시행 받았던 환아 28례의 진료 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조직검사 방법을 세침 흡인생검술, 심부생검술, 절제생검으로 나누어 연령, 성별, 임상 양상 및 조직검사 결과와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조직검사를 받은 환아들은 총 28례로 남아가 14례(50%), 여아가 14례(50%)였고 종류의 위치로 구분하면 목빗근 뒷부위가 19례(67.9%)로 가장 많았다. 말초혈액 검사나 혈청학적 검사 등의 검사실 검사 상 특이할만한 의미 있는 소견은 없었다. 세침 흡인생검술과 심부생검술을 먼저 시행 받은 환아들은 25례(89.3%) 있었는데 반응성 증식인 경우가 10례(40%)로 가장 많았고 육아종성 염증상태가 8례(32%), 괴사성 염증을 보였던 환아들은 4례(16%), 화농성 병변을 보였던 경우가 3례(12%) 있었다. 처음부터 절제생검을 하였던 환아들은 3례(10.7%)로 선천성 이상에 의한 갑상설관 낭과 표피 낭종이 있었으며 1례는 림프아구성 림프종으로 진단되었다. 결 론 : 소아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경부 종류는 그 원인이 다양하지만 대부분 양성 경과를 보이며 세침 흡인생검술과 심부생검술은 전신 마취를 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조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치료적 절제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부 종류의 조직을 얻어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소아에서의 조직구성 괴사성 림프절염 : human herpesvirus 8과 Epstein Barr virus와의 연관성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 in children : association of human herpes virus 8 and Epstein Barr virus)

  • 김현아;정주영;김상우;임성직;신행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8호
    • /
    • pp.875-881
    • /
    • 2006
  • 목 적 : KD는 주로 동양의 젊은 성인 여성에게서 경부 림프절 종대로 발현하는 것이 특징이며 수개월 내에 자연 치유되는 양호한 경과를 가지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KD로 진단된 소아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환아들의 림프절 조직에서 바이러스 검출을 시도하여 KD와 HHV 8, EBV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KD로 진단되어 치료받은 17세 이하 소아 26례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병력지 고찰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추적 조사는 외래 병력 기록지와 전화 방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KD 환아의 림프절 조직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HHV 8 DNA를 검출하기 위해 PCR, EBV RNA를 검출하기 위해 ISH가 시행되었다. 결 과 : KD로 진단된 26명 중 남아 11례, 여아 15례로 성비는 1:1.4였고, 평균 연령은 13세였다. 환아의 연도별 분포는 2000년에 7례로 가장 많았으며, 여름에 가장 많이 진단되었다. 주증상은 발열(8/26)과 림프절의 동통(11/26)으로 발열의 기간은 평균 7.3일 이었다. 목빗근 뒷부위의 림프절 종대가 72%(18/24)였고 1례에서 경부 이외의 림프절 종대로 나타났다. 림프절의 크기는 $1cm{\times}1cm$에서부터 $6cm{\times}6cm$까지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백혈구 감소가 46%(6/13)에서 있었고 적혈구 침강 속도상승(>20 mm/hr)이 62%(8/13)에서 나타났다. 검체 확보가 가능하였던 20례 모두에서 HHV 8 DNA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ISH를 이용한 EBV RNA 검사 결과도 음성이었다. KD 26례 모두 임상 경과는 양호하였으며, 1례(4%)만이 추적 중 발열과 함께 재발하였다.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를 포함한 결체 조직 질환으로의 이환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KD는 소아에서 드물지 않게 발생하므로, 림프절 종대를 호소하는 환아에서 감별 진단에 포함되어야 한다. HHV 8과 EBV는 소아에서 진단된 KD의 원인 병원체로 작용할 가능성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