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굽힘근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젊은 성인에서 머리-목 굽힘근 운동 시 시선과 압력이 목긴근과 목빗근의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ze Directions and Pressure Levels on longus colli and Sternocleidomastoid Thickness during Cranio-cervical flexor Exercise in Young Adults)

  • 차하리;이병권;서동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59-666
    • /
    • 2021
  • 이 연구는 정상 성인에서 머리-목 굽힘 운동 시 시선의 각도와 압력이 깊은목굽힘근의 두께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27명이 참여하였다. 머리-목굽힘 운동하는 동안 4가지(0°, 20°, 40°, 60°)의 시선과 5가지(20mmHg, 22mmHg, 24mmHg, 26mmHg, 28mmHg)의 압력에서 목긴근과 목빗근의 근 두께는 초음파 영상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시선 각도 및 압력변화에 따른 목긴근과 목빗근의 두께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목긴근은 20과 22mmHg에서 0°와 20°, 0°와 40°, 0°와 60°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0°에서 가장 근활성도가 높았다(p<.05). 목빗근은 28mmHg에서 0°와 20°, 20°와 40°, 40°와 60°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0°에서 가장 낮은 근활성도를 보였다(p<.05). 본 연구에서 머리-목 굽힘 운동 시에는 시선의 방향을 20°로 설정하는 것이 목긴근의 활성화를 높이고, 목빗근의 근활성도를 낮추어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찾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환경에서 머리-목 굽힘 운동시에 시선 방향을 설정하여 운동의 효과를 증대시키길 바란다.

목뼈안정화운동이 전방머리자세 대학생의 머리뼈척추각, 깊은목굽힘근 근지구력과, 뒤통수근 긴장도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on Cranio Vertebral Angle, Deep Neck Flexor Muscle Endurance and Suboccpital Muscle Tonus in Collage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고미선;이진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05-307
    • /
    • 2023
  •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 대학생을 대상으로 목뼈안정화운동이 머리뼈척추각, 깊은목굽힘근 지구력 및 뒤통수밑근 근긴장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 CSEG에서 CVA, DNFET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뒤통수근 근긴장도에서는 경직도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목뼈 안정화운동은 목뼈의 중립자세를 유지하면서 깊은목 굽힘근 활성화되고 근지구력이 향상되었으며, 턱을 당기는 동작으로 튀통수근의 경직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구력 증가시키고 근 긴장도에 감소는 통증을 조절함에 있어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목뼈안정화운동은 깊은목굽힘근과 뒤통수근의 개선을 위한 중재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방머리자세 예방하기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목통경험 유무에 따른 초음파 영상에서 측정된 심부 목근육 크기와 근지구력 시간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ing Persons with Neck Pain Experience to Persons without Neck Pain Experience in Deep Neck Muscle Size Using Ultrasonography Images and Neck Muscle Endurance Time)

  • 권미성;전혜란;이해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26-33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깊은 목굽힘근과 깊은 목폄근의 두께를 목근육 지구력 검사 동안 측정하여 목통증 경험 유무에 따라 깊은 목근육들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 지 관찰하였다. 컴퓨터 사용이 많은 대학생 65명이 참여하였으며, 목통증이나 두통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제약이 없고 현재 척추증상이 없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근육의 두께는 근지구력검사를 수행하는 중 근이완기, 수축기와 제한시점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목통증과 기능제한에 대한 정보는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목통증 경험이 없는 대상자들 (그룹1)의 근지구력 시간이 목통증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그룹2)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었다 (p<0.01). 그룹1 대상자의 왼쪽 긴목근이 그룹2 대상자보다 근이완기에서 두껍게 관찰되었으며(p=0.02), 오른쪽 긴머리근은 목통증 경험이 없는 대상자들이 근수축에서 제한시점까지의 변화가 목통증 경험이 있는 대상자보다 크게 관찰되었다(p=<0.01). 목통증과 연관하여 특정 근육의 기능파악이 중요하며, 임상 대상자들의 목수축 패턴과 근기능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여대생의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둥근 어깨 자세의 작은가슴근, 어깨가동성과 목 관절가동범위의 상관연구 (Correlation Between Pectoralis Minor, Shoulder Mobility and Neck Range of Motion on Rounded Shoulder Posture for Life-Care Increase in Women University Student)

  • 서태화;김민선;정연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9-246
    • /
    • 2019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둥근 어깨 자세의 작은가슴근, 어깨 가동성, 목 관절 가동 범위 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둥근 어깨 자세를 가진 성인 여성 8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가 누운 자세에서 어깨의 높이를 측정하여 둥근 어깨 자세를 측정하였고, 작은가슴근의 길이, 어깨 가동성, 목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여 상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른쪽 둥근 어깨와 목 폄의 상관계수는 -.23(p<0.05)이었다. 오른쪽 작은가슴근 지수와 목 왼쪽 가쪽 굽힘의 상관계수는 -.25(p<0.05)이었고, 오른쪽 작은가슴근 지수와 목 굽힘 상관계수는 -.25(p<0.5)이었다. 왼쪽 어깨 가동성과 목 왼쪽 가쪽 굽힘의 상관계수는 -.23(p<0.05)이었고, 왼쪽 어깨 가동성과 목 오른쪽 돌림의 상관계수는 -.23(p<0.5)이었으며, 왼쪽 어깨 가동성과 목 왼쪽 돌림의 상관계수는 -.25(p<0.0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오른쪽의 둥근 어깨가 심할수록 목폄이 감소하였고, 오른쪽 작은가슴근이 단축될수록 목 왼쪽 가쪽 굽힘과 목 굽힘이 감소하였으며, 왼쪽 어깨 가동성이 증가할수록 목 왼쪽 가쪽 굽힘은 감소하였고, 오른쪽 돌림과 왼쪽 돌림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머리-목 굽힘 운동이 편측 뇌성마비 환자의 깊은 목 굽힘근의 두께와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on Deep Cervical Flexor Muscle Thickness and Gait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 윤창교;김현성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9-105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on deep cervical flexor thickness and gait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Methods : Twelve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active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3times a week over the course of 6weeks. using a pressure bio feedback unit. Ultrasonography was used to assess deep cervical flexor thickness, and a 10m walking test was used to assess gait funct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pre- and post-value. SPSS Statistics version 20.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a p-value less than 0.05. Result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experi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both deep cervical flexor thickness (p<.05). and gait(p<.05) following the intervention. Conclusion : In conclusion,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can positively affect deep cervical flexor thickness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s gait.

호흡패턴이 머리목 굽힘 운동시 목빗근과 심부 목굽힘근의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reathing Patterns on the Thickness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Deep Cervical Flexor Muscles During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 원종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4-52
    • /
    • 2018
  • Background: The deep cervical flexor (DCF) muscles have a crucial role in the management of neck pain. For preventing neck pain by activation of the DCF, craniocervical flexion (CCF) is an effective exercise. However,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is considered to affect negatively the activation of the DCF. SCM muscle which is an accessory muscle for respiration is activ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ypes of breathing patterns. It's not certain that breathing patterns affect the SCM and DCF muscles thickness during CCF exercise.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reathing patterns on the SCM and DCF muscles thickness during CCF exercise. Methods: Forty-fiv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breathing pattern, as follows: costodiaphragmatic breathing (CDB) and upper costal breathing (UCB) groups. Ultrasonographic imaging of the SCM and DCF muscles was performed during five incremental levels of CCF during tidal breathing and expirat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breathing pattern and the phase of CCF for percentage of SCM muscle thickness changes (p<.05). In phase 1 CCF, a percentage of SCM muscle thickness changes was increased in the UCB group than in the CDB group (p<.05). There was an increase in DCF muscles thickness with each additional CCF phase (p<.05). Conclusion: Recruitment of SCM muscle was increased in the UCB group while performing CCF with a low intens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DCF recruitment between the breathing pattern groups. Higher CCF exercise intensities elicited a higher DCF recruitment.

머리-목굽힘 운동 시 앞쪽머리자세와 목굽힘근 근두께 간의 상관성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Forward Head Position and Neck Flexor Thickness During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 이지민;유준수;임지은;이현아;문성기;장현정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14
  • Background: As the increase of forward head position, we studied the change of thickness of deep cervical flexor (DCF) compared of with sternocleidomastoid (SCM). we measured and analysed the change of thickness of the neck flexor for forward head position and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CCFE).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we conducted the study selecting 35 healthy adults (12 males, 23 females). We measured the craniovertebral angle (CVA), instructed them to perform the CCFE, and measured the DCF and SCM using ultrasonography during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period. Results: Intra-reliability of SCM is .96, longus capitis is .92 and longus coli is .97. we compa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forward head position, Correlation of DCF is .841, and DCF/SCM is .754 b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t the comparison of CCFE and Resting muscle thickness, SCM and DCF is .00, DCF/SCM is .68. Conclusion: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amount of DCF and DCF/SCM as the increase of CVA.

목의 기능장애 환자들에게 SNAGs기법과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통합적 고유수용성 감각과 목의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NAGs and Biofeedback Training on the Integrative Propriocepcion and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Cervical Disorder)

  • 이은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84-290
    • /
    • 2020
  • 본 연구는 SNAGs(Sustained natural apophyseal glides)기법과 시각을 융합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목 기능 장애 환자에게 고유수용성 감각과 목의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 기능장애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SNAGs기법과 바이오피드백 훈련으로 할당하였으며, 관절위치 감각과 목 기능장애 평가를 중재 전-후 실시하였다. 16명의 SNAGs 중재그룹은 멀리건 벨트를 이용하여 굽힘, 폄, 회전을 실시하였고, 15명의 바이오피드백군은 시각적 피드백을 통한 깊은목 굽힘근 훈련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은 동일한 시간, 동일한 조건에서 20분 동안 주당 2회를 4주간 실시하였다. 바이오피드백 훈련 집단이 SNAGs 집단보다 고유수용성 감각에서 좌, 우 회전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 0.05), 목 기능장애는 SNAGs기법을 이용한 집단이 바이오피드백 훈련 집단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따라서 SNAGs기법은 목의 기능제한 해결에 효과적이며, 바이오피드백 훈련은 고유수용성 감각 향상에 긍정적인 중재 방법이 될 것이다. 향후 목 통증 환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시, 질환의 특성에 따라 중재방법을 선택 할 수 있을 것이다.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들에게 목 돌림 수행 시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이 목의 가쪽 굽힘 움직임 패턴과 목빗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Biofeedback on Movement Patterns of Neck Lateral Bending and Muscle Activation of Sternocleidomastoid During Neck Rota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양노열;오재섭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25-432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differences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activity, neck rotation angle, neck lateral bending angle and neck lateral bending onset time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during neck rotation. METHODS: Ten male and four female adults with condition of forward head posture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Subjects conducted to left and right maximal neck rotation under the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During neck rotation, kinematic data of neck rotation, neck lateral bending movement, and electromyography activities of bilateral sternocleidomastold muscles were collected. Differences in dependent variables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lateral bending angle, while lateral bending movement onset time was delayed significantly when applying visual biofeedback (p<.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ation of left and right sternocleidomastoid muscles and neck rotation angle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isual biofeedback may be effective for axial rotation of cervical spine during neck rota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짧은 목 굽힘 운동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hort Neck Flexion Exercise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김경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1-39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hort neck flexor strengthening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wallowing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 : The study involved 3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visited ${\bigcirc}{\bigcirc}$ General Hospital in Daegu Metropolitan City between March and July, 2017.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15) or a control group (n=15). Both groups underwent traditional swallowing rehabilitation therapy for 30 minutes five times a week over a six-week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hort neck flexor exercises, which are part of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a six-week perio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a six-week period. Based on its results, changes in the patients' swallowing function and degree of food intake were analyzed. Result : In terms of the ASHA NOMS scale and new VFSS scal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en sub-items and six sub-items,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e sub-item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PNF-based short neck flexion exercise appear to be effective at improving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