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 혼방직물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 seconds

Evaluation of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to Men's Suit Fabrics according to Mechanical Properties, Hand and Fabric Information of Wool Blended Fabrics (모 혼방직물의 역학적 특성과 태 및 소재 정보에 따른 남성 정장용 소재의 질감이미지와 선호도 평가)

  • Kim, Hee Sook;Na, Mi He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23 no.2
    • /
    • pp.317-328
    • /
    • 2014
  • In this study, differences of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for men's suit fabrics according to mechanical properties, hand and fabric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55 subjects evaluated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of 12 kinds of wool blended fabrics. For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mechanical properties effected on texture images, and bending property and shearing property were effected on tactile preference and purchasing preference. For hand, objective hand values showed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texture images and preferences, but THV had almost no correlations. In sensory images according to presence of fabric information, fabrics were evaluated thinner, lighter, more pliable and smooth by cognition of wool blending ratio. For sensibility images, fabrics were evaluated more refined, intellectual, dignified and less practicable after recognize of wool blending ratio. In preferences, tactile preference was increased and purchasing preference was decreased after recognize fabric information. Therefo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were observed according to presence of fabric information.

Study on pretreatment of aramid blended fabric (아라미드 혼방직물의 전처리 조건에 관한 연구)

  • Kim, Jong-Won;Song, Byung-Kab;Hong, Jin-Pyo;Kim, Gyung-Hwan;Han, Sung-Ku;Sung,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109-109
    • /
    • 2011
  • 국내의 섬유산업은 핵심 원천기술의 부족으로 고성능 섬유소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제조가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고성능 섬유제품 산업의 기반이 되는 요소기술인 고성능 소재 생산, 복합화, 염색/후가공, 제품 설계, 디자인 및 제품화 기술 등의 모든 분야에서 선진국 대비 기술 수준이 부족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부가가치가 큰 고성능 의복 시장에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p-aramid 및 m-aramid 등의 고성능 소재의 양산화 및 활발한 기술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용도 전개 노력으로 제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고성장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는 분야이다. 이처럼 기 개발된 고성능 섬유소재를 이용하여 용도에 따른 제품화로 산재되어 있는 고성능 의류 시장에의 진입 및 선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내열 소재인 FR-rayon(100%) 직물과 FR-rayon/m-aramid로 혼방하여 제직된 직물을 이용하여, 동일 전처리 조건에서 조제 투입비를 달리하여 전처리 공정을 진행한 후 침투도,호발성, 인장강도 등을 비교/분석하여 전처리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Ory Cleaning(Part I)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물성의 변화(제1보))

  • Jee, Ju-Won;Lee, D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809-182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처리 후 프레스로 처리한 실제의 의복의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직물 변화에 대하여 물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물성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접착 후 EM은 대체로 감소하지만 강성과 이력 현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로 KOSHI, SHARI, HARI는 증가하고 THV는 감소하여 태는 접착으로 저하되었다. 2)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마찰특성에서 좀더 매끄러워지고 마찰 계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물성의 변화에서는 위사 방향의 큰 값을 갖는 경우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굽힘 강성과 전단강성은 감소하였지만 이력은 증가하는 흥미로운 결과를 보인다. 드라이클리닝 용제의 효과로 여겨진다. 무게는 증가하여 직물이 처리 후 수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싱 처리 후와 비교시 KOSHI, SHARI, HARI와 FURAMl는 감소하고 THV는 증가하여 태가 향상하였다.

  • PDF

Changes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Total Appearance Value (TAV)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Dry Cleaning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

  • Jee, Ju-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359-136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의복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및 프레스로 처리 후 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 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FAST시스템과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직물의 형태안정성에서 주요인자인 습윤팽창(HE)은 접착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보다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모직물의 습윤팽창(HE)의 조절시 접착심이 습윤팽창(HE)의 안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완화수축(RS)은 접착 후 조금 감소하였으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프레싱 처리 후 현저한 감소를 보인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직물이 수축하고 볼륨감이 생김으로 완화수축(RS)은 더욱 감소하였다. 모직물의 완화수축(RS)의 조절시 프레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모직물의 의복형성능(TAV)은 접착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 직물이 좀더 부드러워지고 볼륨감이 생기면서 의복형성능(TAV)은 적게 향상됨을 보인다. 이와 같이 3가지 처리는 서로 보완되어 모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of the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Wool Fiber Blending Ratio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n's Suit Fabrics (모섬유의 혼방비율과 직물 특성에 따른 남성 정장용 소재의 질감이미지와 선호도 평가)

  • Kim, Hee-Sook;Na, Mi-He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20 no.2
    • /
    • pp.413-426
    • /
    • 2011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compare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fiber blending ratio of men's suit fabrics. 110 subjects evaluated the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of various fabrics. For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MDS, pearson correlation and ANOVA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nsory image factors of suit fabrics were 'smoothness', 'bulkiness', 'stiffness', 'elasticity', 'moistness' and 'weight sensation'. Sensibility image factors were 'classic', 'practical', 'characteristic' and 'sophisticated'. 'Bulkiness' and 'elasticity' sensory images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sensibility images. Fabrics with high wool blending ratio showed as 'classic' and 'sophisticated', 'bulkiness' and 'elasticity' texture images and fabrics with low wool blending ratio showed texture images of 'characteristic', 'surface character', 'stiffness', 'moistness' and 'weight sensation'. Wool fiber blending ratio affected on the purchase preference and tactile preference. Using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sensibility images had more of an effect on preference than sensory images. The thickness and pattern type showed positive effects and fiber blending ratio showed negative effects on the p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