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유수유 인식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Contribution of Maternal-Fetal Attachment: Taegyo, Maternal Fatigue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태아애착에의 영향요인: 임부의 피로, 사회적지지, 태교실천)

  • Yu, Mi;Kim, Miok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v.20 no.4
    • /
    • pp.247-254
    • /
    • 2014
  • Purpose: Maternal-fetal attachment in a pregnant woman is important for her health and for her child's emotional stability.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maternal fatigue, social support, and Taegyo to maternal-fetal attachment based on a survey of pregnant women.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Participants were 211 from two women's health clinic center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Mean scores for maternal-fetal attachment, Taegyo, maternal fatigue, and social support were 93.74 (range 25-125), 64.76 (17-85), 24.12 (10-40), and 54.43 (22-132),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fetal attachment according to parity, breast feeding experience, and putting prenatal education into practi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key determinant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were Taegyo (${\beta}$=.67), maternal fatigue (${\beta}$=.21), and social support (${\beta}$=.13), and these explained 55% of the total variance of attachment.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a need to encourage Taegyo in prenatal management program and provide methods for fatigue resolution and promotion of social support.

A Survey on Understanding and Actual Condition of Breast-feeding of Woman at Oriental Medicine Hospital Postpartum Care Center (한방병원 산후조리센터 산모를 대상으로 한 모유수유 실태 및 인식조사)

  • Jung, Ji-Ho;Kim, Mi-Ki;Park, Jin-Soo;Shin, Kwon-Sung;Park, Eun-Jung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24 no.2
    • /
    • pp.13-21
    • /
    • 2010
  • at Jeonju Wonkwang University Oriental Medicine hospital postpartum care center. Results The majority of women(79.2%) had planned breast-feeding. However, only 32.1% of women currently have fed breast-feeding. 58% of mothers who did partial breast-feeding and breast-feeding currently have planned to breast-feed more than 7 months. The main reason of bottle-fed is concern of insufficient amount of breast milk(72.2%). Also the main reason of breast-feeding is good for baby's health(90%). The average score on the test of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ethods and advantages of breast-feeding was $13.98{\pm}1.92$ out of total 18.49.1% of women thought that taking herbal medicine would affect baby during breast-feeding. Also 71.7% of women thought that herbal treatments (acupuncture, herbal medicine) would be helpful when the amount of breast milk is insufficient. Conclusions This survey has showed that in spite of full breast-feeding plan, the percentage of actual breast-feeding rate is low. Timely education is needed to increase breast-feeding rate. It is worth to consider herbal treatment to increase breast milk amount. In addition to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hospital environment in which mothers can easily begin breast-feeding as soon as possible after delivery. Moreover, beyond the medical field, political and social supports for breast-feeding are needed.

Development of Arduino-based Notification System for the Public Facilities (공공시설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 알림 시스템 개발)

  • Lee, Sung-Jin;Kim, Eun-Gyeong;Kim, Seok-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11-1213
    • /
    • 2017
  • 일반적으로 공공기관, 쇼핑몰, 백화점 등과 같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들은 다양한 편의시설(화장실, 모유수유실, 놀이방 등)들을 갖추고 있지만, 실제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람들은 이러한 편의시설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러한 편의시설들의 대부분이 여성, 어린이,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시설이지만, 실제 이용 대상자들은 언제 어떤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워 해당 공간의 활용률을 극대화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해당 편의시설의 사용가능 여부를 인식 및 감지하고 이를 해당 편의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시설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편의시설의 활용률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편의시설의 활용률 증가 및 대기시간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review of the contents about childhood health care in middle & high school textbooks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소아 관련 정보의 조사)

  • Kim, Jung Hun;Park, Sung Won;Shin, Son Moon;Sung, In Kyung;Park, Mi Jung;Chung, Yoo Mi;Ha, Jeong H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0 no.4
    • /
    • pp.340-347
    • /
    • 200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terial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books covering child care and children's health for medically inaccurate content and to make sure that the correct information is given to students. Methods : We have examined 47 kinds of textbooks on the subjects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published in 2007 to find out how much importance is placed on children's health and childcare and to search for incorrect definitions, inaccurate facts or insufficient explanations. We have also analyzed the credentials of the writers of these textbooks. Results : Textbooks of middle school cover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during adolescence and nutrition, and those of high school cover marriage and childcare. These materials covering health made up 27.5%, 11.7% of middle & high school texts. Age definitions of neonate and infant were incorrect. Inaccurate facts were mostly about fontanelles, primitive reflexes, breastfeeding and weaning. There also were wrong informations on the umbilical cord care and developmental milestones during infancy. The childhood immunization schedules and the growth curves were not up to date. Most of the authors major in home economics and the others were school teachers. There was no evidence of any review by a medical society or an expert. Conclusions : When writing about children's health and childcare in textbooks, a board-certified pediatrician or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should be consulted to provide accurate medical information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udy on the knowledge regarding caries prevention among pregnant women (임부의 구강건강관리지식에 대한 조사 연구 -영유아기 구강관리 내용 중심 고찰 -)

  • Jin, Bo-Hyoung;Huh, Sung-Yoon;Shin, Myung-Mi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2 no.1
    • /
    • pp.21-24
    • /
    • 2002
  • It is important to practice preventive method to control oral disease. Dental caries tendency has been decreased in developed countries, but early childhood caries(ECC, BBTD) became serious dental problems in many countries. To slove these problems, more positive and definite prenatal programs on infants and child are needed. Mostly the control of oral health was affected by a mother's knowledge and behavior in this stage. According to many studies, prenatal education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promote oral health in children. But in Korea, there is littl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pregnant women, nursing mothers, infants an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ess the knowledge and opinions of caries prevention among gravid women. 330 pregnant women(primiparae=181, multiparae=149), aged 23 to 39 years were randomly selected at prenatal health education courses in Seoul, Korea, 2000.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a trained interviewer using questionnaires included demographics, attitude toward children's dental cares,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caries, knowledge concerning pregnancy and oral health.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respondents were very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oral health. (2) 58% of the respondents were unaware of early childhood caries and the propor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primipara (p<0.05). (3) Only 43%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improper breast feeding could develop ECC, the propor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primipara(p<0.05). (4) 82% of the respondents reportedly believed that the fetus takes away calcium from the mother's teeth during pregnancy. (5) 71%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dental treatment during pregnancy was unsafe. There is a relatively low level of accurate knowledge regarding infant nutritions, maternal need for oral health and dental caries prevention among pregnant women. Oral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programs that are science-based are needed for gravid women.

  • PDF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 (여성과 어린이 건강문제와 증진방안)

  • Park Jeong-Ha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7b
    • /
    • pp.3-17
    • /
    • 2002
  • 국민건강은 국가발전의 기본조건이다. 국민건강은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에서 비롯되고,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을 위하여 여성이 건강해야 한다 따라서 여성과 어린이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한 모자보건사업은 국가보건사업 중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은 1960대부터 보건소를 통하여 가족계획, 산전관리, 안전분만유도, 예방접종을 중심으로 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전국민의료보험의 실현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산전관리 수진율과 시설분만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1990년대 후반에는 거의 100%에 도달하였고, 가족계획실천율도 1991년에 79.4%까지 증가하여 합계출산율이 1.6으로 감소하였고, 어린이 기본예방접종률도 90%이상이 되어 전염병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통적인 모자보건사업 관련 지표들이 이렇게 향상되자 일선 보건요원에서부터 중앙정부의 정책결정권자에 이러기까지 모자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져 중앙부처의 모자보건업무 담당 부서도 축소되고, 모자보건 사업도 쇠퇴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와 여성의 건강실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심각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시설 분만율의 증가에 따라 제왕절개분만율이 40%대까지 급증하였고, 모유수유률은 10%대로 떨어졌다. 어린이의 체격은 커지고 있으나 체력은 떨어지고, 비만한 어린이가 급증하여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 유병률이 어린이들에게 증가하고,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과 장애가 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율과 음주률이 증가하고, 성적 성숙이 빨라지고 사회의 개방풍조로 성(性)활동 연령이 낮아지고 성활동이 증가하여 혼전임신과 성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은 일찍 단산하고, 폐경 연령은 높아지고, 평균수명은 길어져 중년기와 장년기 그리고 노년기가 길어져 각종 만성질환에 이환될 기회가 늘어났다. 이러한 시기의 중요 건강문제들은 뇌혈관질환, 폐암, 유방암, 골다공증, 뇨실금 등과 같이 해결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렇게 어린이와 여성들에게 새로운 건강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응정책이 없었고, 따라서 새로운 모자보건사업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일선 보건요원의 훈련도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건강실태를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보건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보건정보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1990년대 중반에 소수의 학자들이 어린이와 여성건강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모자보건사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보건복지부가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이라는 이름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23개 보건소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시범사업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여성과 어린이 보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건사업의 개발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개발에 역점을 두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시범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2002년에는 전국의 45개 보건소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에서는 임산부가 대상이었던 기존의 모자보건사업과는 달리 신생아, 영유아, 학동기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신혼부부에서부터 장년기 여성에 이르기까지 사업대상을 확대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지역사회 건강문제해결을 목표로 한 보건사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사업수행 과정에서 보건소는 지역내 대학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적 지원을 받고, 보건요원의 교육 훈련을 통해 사업기획 능력과 전문지식과 기술을 향상시켰고, 보건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구입하였고, 민간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보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모자보건 선도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취약계층 중심의 보건교육, 상담 및 지도, 고위험대상자 조기발견 및 민간기관 의뢰 및 주구관리, 질병 조기발견을 위한 검진 의뢰, 지역 보건통계 생산과 관리, 그리고 지역내 가용자원 안내 등이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민간의료기관에 의뢰 또는 검진비용을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 민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치료, 사후관리를 포함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고위험 및 건강의심 대상, 임부와 장년기 여성에 대해서는 건강검진서비스를 과감히 민간기관에 의뢰, 위탁하친 보건소는 상담자, 정보관리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업관리자의 양적 평가에 대한 고정관념과 질적 평가에 대한 인식부족, 기본 생정통계와 정보체계의 미비로 인한 부정확한 통계생산, 사업요원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그리고 인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효율적인 사업확산과 조기 정착을 위해 중앙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과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보건정보체계확립, 그리고 공공보건기관과 민간의료기관간의 공식적인 협력체계확립이 필요하다. 사업추진 모니터링 및 평가, 조정을 위하여 중앙에 '모자보건 선도사업 기술지원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프로그램 운영이 잘되는 보건소를 특성화 보건소로 지원 육성하고, 사업요원의 업무 적정화를 위한 보건소 조직과 기존 보건사업체계의 평가와 재편이 필요하다. 보건사업요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과 보건통계생산 관리를 위한 정보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모자보건사업관련 보건교육자료를 수집하고 개발하여 전국 보건소에 공급하는 중앙 보건교육자료 및 정보센터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