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성역할적응 프로그램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초산모를 위한 모성역할적응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on First-time Mothers)

  • 김수정;서지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2-332
    • /
    • 2018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on first-time mothers. Methods: The research was quasi-experimental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first-time mothers admitted to two postpartum clinics at women's hospitals. The experimental group had 38 mothers and the control group had 35 mothers. A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was applied individually to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the 1st and 2nd weeks after childbirth. Assessing Adaptation to Motherhood, Semantic Differential Scale-Myself as Mother, and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were used to measure effects of the program. A pre-test was conducted in the 1st week after childbirth while post-tests were conducted in the 4th and 6th weeks. Data were analyzed with $x^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SPSS 24.0. Results: Maternal role adjustment (F=6.17, p=.015) and maternal identity (F=6.63, p=.01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in postpartum depression (F=1.11, p=.335)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maternal role adjustment and maternal identity for first-time mothers.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using infant model)

  • 황혜민;김주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805-381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산후조리원에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하는 S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48명의 산모이다.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은 2주 동안 3차례의 구두교육 및 실기교육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3년 7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산모의 신생아 양육 지식정도는 교육 전 2.27점에서 교육 후 2.8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t=-7.049, p<.001) 부모효능감의 점수도 교육 전 2.69점에서 교육 후 2.89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5.545, p<.001) 교육 만족도는 교육 후 4.12점으로 나타났다. 즉 출산 후 산모들에게 구두 교육과 아기모형을 활용한 실습 교육을 접목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산모들의 양육지식 및 부모효능감을 증가시켜 새로운 모성역할 획득과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on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 배지현;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78-290
    • /
    • 2018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10년 동안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 중 학술정보서비스(http://www.riss.kr)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임신 출산에 관련된 연구(74편)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은 학문분야, 연구설계, 주요 주제 및 중재 연구에 사용된 결과 변수에 의해 분석되었다. 74편의 논문 중 학위논문은 28편(38.6%), 학회지는 46편(61.4%)으로 조사 되었으며, 이중 37편(50.0%)은 간호학에서 수행되었다. 양적 연구의 경우 45편(60.8%), 질적 연구가 29편(39.2%)으로 질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더 적은 편이었고, 양적 연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설계는 서술적 연구가 22편(29.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주요 개념은 간호의 패러다임인 간호, 환경, 건강, 인간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네 가지에 속하지 않은 것은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연구 주제는 건강 영역인 사회 심리 측면이었으며, 다음은 인간 영역 순이었다. 8편의 중재 연구 분석에서 7편은 산욕기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고, 나머지 1편은 산욕기 결혼이주여성과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가장 빈번하게 측정 된 결과 변수는 적응에 대한 중재에서 양육과 관련된 모성역할 수행자신감, 지지, 지식에 대한 내용이었다. 연구 유형별 연구 설계에서는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 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양적 연구에서도 실험연구 보다는 서술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실험연구의 경우에서도 연구의 대상자가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 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을 포함한 새로운 간호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