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두의 이웃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Effect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 LDT study & fMRI study (한국어 시각 단어 재인에서 음운, 철자이웃 크기 효과)

  • Kwon, You-An;Park, Chang-Su;Nam, Ki-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6.06a
    • /
    • pp.47-51
    • /
    • 2006
  • 본 실험은 한국어 심성어휘집의 표상 정보가 음운정보로 이루어져 있는지, 철자정보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자극은 한국어의 2음절 단어 중 음운변화(자음동화)를 겪는 단어(예: 국민)를 사용하였으며, 각 조건은 철자이웃이 크며 음운 이웃이 큰 단어 조건(O+P+), 철자이웃이 크고 음운이웃은 작은 단어 조건(O+P-), 철자이웃은 작고 음운이웃이 큰 단어 조건(O-P+), 철자이웃과 음운이웃 모두가 작은 조건(O-P-)이었다 실험 1에서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한 결과, 음운이웃 크기와 철자이웃 크기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실험2는 동일한 실험자극을 사용한 fMRI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2 결과 음운처리에 관련된 뇌영역의 활성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어의 경우 심성어휘집이 음운정보로 이루어져 있음을 시사한다.

  • PDF

Communication Effects of Gamification App : Focused on (게이미피케이션 앱의 의사소통 효과: 앱 <모두의 이웃>을 중심으로)

  • Kang, Seungheon;Jeong, Ji-Yong;Park, Sung-Jin;Kim, Sang-Ky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7
    • /
    • pp.1245-1251
    • /
    • 2018
  • Communication skills are emphasized a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of the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owever, it is widely believed that traditional education systems focused on individual learning do not provide sufficient communication opportunitie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activate communication using mobile app. In this study, app was developed and used by college students for two days, and then analyzed the communication-related effects through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fun and communication were effectiv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app i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activation of communication among people, increase of interest among members, and improvement of cooperative thinking ability.

An Efficient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Based on k-Nearest Neighbor Learning for Large-Scale Data (대규모 데이터를 위한 k-최근접 이웃 학습 기반의 효율적인 협력적 여과 기법)

  • Jun, Kwang-Sung;Hwang, Kyu-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376-380
    • /
    • 2008
  • 사회의 복잡화와 인터넷의 성장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정보들을 사용자가 모두 검토한 후 여과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자동화된 정보 여과 기술이 사용되는데,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은 그 구현이 간단하며 비교적 정확하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k 개의 최근접 이웃들로부터 평가값을 계산하는 데 흔히 쓰이는 방법은 상관계수를 이용한 가중치에 기반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대규모 데이터에 대해서도 속도는 크게 저하되지 않으며 정확도는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최근접 이웃을 구하는 거리함수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영화추천을 위한 실제 데이터에 대한 실험 결과, 속도의 저하는 미미하였으나 정확도에 있어서는 크게 향상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 PDF

Genetic Algorithm with Torus-Form Population (원환체형 모집단 유전자 알고리즘)

  • 강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9-11
    • /
    • 2000
  • 전형적인 단순 유전자 알고리즘은 한 개의 모집단으로 구성되며, 진화 과정이 거듭되면 모집단의 개체들은 한 개의 전역해로 수렴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문제들은 여러 개의 최적해를 가질 수 있으며, 그것들 모두를 찾는 것이 중요한 경우가 많다. 이 논문에서는 모집단을 원환체(Torus)로 구성하고 개체에 이웃의 개념을 부여하여 모집단이 최적해 집단으로 수렴하는 유전자 알고리즘의 변형을 연구한다. 제안한 방법은 개체사이에 이웃이라는 개념을 부여함으로써 다수의 해를 동시에 찾는다는 생각을 넘어서 다양한 변형 유전자 알고리즘에 대한 새로운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lor Image Segmentation based on Clustering using Color Space Distance and Neighborhood Relation Among Pixels (픽셀간의 칼라공간에서의 거리와 이웃관계를 고려하는 클러스터링을 통한 칼라영상 분할)

  • Lee, Hwa-Jeong;Kim, Hwang-Su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10
    • /
    • pp.1038-104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칼라공간상의 거리와 이웃정보를 이용한 클러스터링을 통한 칼라영상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칼라영상의 한 픽셀은 칼라정보(R.G.B)와 위치정보(x.y)를 가진다. 대개의 칼라공간에서의 클러스터링방법은 픽셀을 (R,G,B)공간으로 변환후 (R,G,B)공간상의 분포만을 이용하지만 여기서는(R,G,B)와 (x.y)모두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링함으로 영상의 세그먼트들을 찾는다. 클러스터링 방법으로서 인력을 모방하는 중력 클러스터링(gravitational clustering)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클러스터의 중심값과 클러스터 수를 미리 정해주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력 클러스터링에서 찾은 클러스터 수를 가지고 다른 클러스터링 방법(K-means)에 입력으로 주어 결과를 비교해 본다. 본 논문에서는 이웃관계를 따라 클러스터링하는 것이 정확한 경계선을 찾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 PDF

A Hybrid of Neighborhood Search and Integer Programming for Crew Schedule Optimization (승무일정계획의 최적화를 위한 이웃해 탐색 기법과 정수계획법의 결합)

  • 황준하;류광렬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6
    • /
    • pp.829-839
    • /
    • 2004
  • Methods based on integer programming have been shown to be very effective in solving various crew pairing optimization problems. However, their applicability is limited to problems with linear constraints and objective functions. Also, those methods often require an unacceptable amount of time and/or memory resources given problems of larger scale. Heuristic methods such as neighborhood search, on the other hand, can handle large-scaled problems without too much difficulty and can be applied to problems having any form of objective functions and constraints. However, neighborhood search often gets stuck at local optima when faced with complex search spaces. This paper presents ,i hybrid algorithm of neighborhood search and integer programming, which nicely combines the advantages of both methods. The hybrid algorithm has been successfully tested on a large-scaled crew pairing optimization problem for a real subway line.

A Generic Algorithm for k-Nearest Neighbor Graph Construction Based on Balanced Canopy Clustering (Balanced Canopy Clustering에 기반한 일반적 k-인접 이웃 그래프 생성 알고리즘)

  • Park, Youngki;Hwang, Heasoo;Lee, Sang-Goo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1 no.4
    • /
    • pp.327-332
    • /
    • 2015
  • Constructing a k-nearest neighbor (k-NN) graph is a primitive operation in the field of recommender systems, information retrieval, data mining and machine learning.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algorithms proposed for constructing a k-NN graph, either the existing approaches cannot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similarity measures, or the performance of the approaches is decreased as the number of nodes or dimensions increas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algorithm for k-NN graph construction based on "balanced" canopy cluste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nodes or dimensions, our algorithm is at least five times faster than the brute-force approach while retaining an accuracy of approximately 92%.

A Study on Spatial Patterns of Traffic Accidents using GIS and Spatial Data Mining Methods: A Case Study of Kangnam-gu, Seoul (GIS와 공간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교통사고의 공간적 패턴 분석 - 서울시 강남구를 사례로 -)

  • 이건학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3
    • /
    • pp.457-47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patterns of traffic accidents and to investigate spatia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spatial objects by applying GIS and spatial data mining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raffic accident data in Kangnam-gu, Seoul, as a case study. As a result, four clusters were emerged based on individual attributes of traffic accidents. Each cluster showed distinctive properties. In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 attributes of traffic accidents and neighboring spatial objects, there were many rules according to concept hierarchy and definition of spatial relations. Although all rules were not be interesting and significant, they could be a clue to investigate more.

Graph-based Motion Segmentation using Normalized Cuts (Normalized Cuts을 이용한 그래프 기반의 모션 분할)

  • Yun, Sung-Ju;Park, An-Jin;Jung, Ke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522-526
    • /
    • 2008
  • 모션 캡쳐 장비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행동이나 동작 정보를 정밀하게 얻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 영화나 게임과 같은 콘텐츠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모션 캡쳐 장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한번 입력받은 데이터를 모션별로 분할하고 상황에 맞게 재결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입력 데이터를 모션별로 분할하는 것은 대부분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캡쳐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할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크게 전역적 특성에 대한 고려없이 이웃하는 프레임만을 고려하는 온라인 방식과 데이터를 전역적으로 고려하나 이웃하는 프레임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오프라인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을 병합한 그래프 기반의 모션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분할을 위해 먼저 모션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하며, 그래프는 이웃하는 각 프레임사이의 유사도뿐만 아니라 시간축을 기반으로 일정시간내의 프레임들의 유사도를 모두 고려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그래프를 분할하기 위해 분할된 모션내의 유사도 합을 최소화하고 각 모션간의 유사도는 최대화할 수 있는 normalized cuts을 이용하였다. 실험에서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 중 하나인 GMM과 온라인 방식 중 하나인 국부최소값 분할 방법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각 프레임 사이의 유사도뿐만 아니라 일정시간내의 유사도를 전역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