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명사술어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The Evolution of Copula : A Study on Analytic Tendency of Nominal Predicates in Russian (계사(copula)의 진화 : 러시아어 명사술어 구문의 분석적 경향 연구)

  • 이남경
    •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no.60
    • /
    • pp.347-374
    • /
    • 2018
  • Эта работа посвящена выявлению семантических-функциональных свойств не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ых связочных форм и обсуждению о эволюции и развитии категории связки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Предложения с именным сказуемым представляют значительный, динамично развивающийся фрагмент грам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Рост числа связок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отражает динамизм развития связочной систем, поиск новых средств для выражения грамматических значений в составном именном сказуемом. И развитие категории связки связано с тенденцией к языковому аналитизму, и с грамматикализацией. Связка определяется как обязательный компонент составного именного сказуемого. Связка соединяет подлежащее с именным компонентом и выражает значение установления, наличия связи между предметом и его пассивным предикативным признаком. Категория связки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бой систему, имеющую центр и периферию, определённую иерархию значений. В периферии находятся не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ые связочные формы как знаменательные глаголы и частицы-связки. Знаменательные глаголы, которые могут выполнять функции связки, разделяются на четыре лексико-семантические группы: глагол движения, глагол позиции, глагол состояния и глагол самоощущения. Эти глаголы выражают фазисные и модальные оттенки кроме логического значения тождества. Развитие связочных частиц отражает внутрисистемные отношения языковых единиц, поскольку эти элементы выполняют функции соединения и актуализации, которые не могут быть выражены нулевой формой связки. Частицы-связки являются важнейшим средством реализации коммуникативно-прагма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говорящего.

The Construction of Predicate Subcategorization Using Tree Tagged Corpus (구문구조부착 말뭉치를 이용한 술어의 하위범주화 정보 구축)

  • Ryu, Pum-Mo;Jang, Myung-Gil;Park, Soo-Jun;Park, Jae-Deuk;Park, Doi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116-121
    • /
    • 1997
  • 한국어 문장에서 술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술어의 하위범주화 정보는 한국어 분석 및 생성에서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한국어 술어의 하위범주화 사전은 전문가의 사전지식이나 직관에 의존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주관적이고 오류의 가능성이 높으며 많은 수작업이 필요했다. 또 영역에 독립적인 하위범주화 정보를 구축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응용영역에 맞는 하위범주화 정보를 쉽게 구축하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구조부착 말뭉치를 이용하여 전문가의 제한된 개입만으로 통계정보와 명사의 의미정보를 포함하는 술어의 하위범주화 정보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 PDF

On "Dimension" Nouns In Korean (한국어 "크기" 명사 부류에 대하여)

  • Song, Kuen-Young;Hong, Chai-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260-266
    • /
    • 2001
  • 본 논문은 불어 명사의 의미 통사적 분류와 관련된 '대상부류(classes d'objets)'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크기" 명사 부류에 대한 의미적, 형식적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자연언어 처리에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일부 명사들은 어떤 대상 혹은 현상의 다양한 속성이 특정 차원에서 갖는 규모의 의미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길이', '깊이', '넓이', '높이', '키', '무게', '온도', '기온'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들은 측정의 개념과도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통사적으로도 일정한 속성을 공유한다. 즉 '측정하다', '재다' 등 측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동사 및 수량 표현과 더불어 일정한 통사 형식으로 실현된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국어 명사들을 "크기" 명사라 명명하며, "크기" 명사와 특징적으로 결합하는 '측정하다', '재다' 등의 동사를 "크기" 명사 부류에 대한 적정술어라 부른다. 또한 "크기" 명사는 결합 가능한 단위명사의 종류 및 호응 가능한 정도 형용사의 종류 등에 따라 세부 하위유형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주로 술어와의 통사적 결합관계를 기준으로 "크기" 명사 부류를 외형적으로 한정하고, 이 부류에 속하는 개개 명사들의 통사적 세부 속성을 전자사전의 체계로 구축한다면 한국어 "크기" 명사에 대한 전반적이고 총체적인 의미적 통사적 분류와 기술이 가능해질 것이다. 한편 "크기" 명사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이들 명사를 특징지어주는 단위명사 부류의 연구와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크기" 명사를 한정하고 분류하는 보다 엄밀하고 형식적인 기준과 그 의미 통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시해 줄 것이다. 이러한 정보들은 한국어 자동처리에 활용되어 "크기" 명사를 포함하는 구문의 자동분석 및 산출 과정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현재 구축중인 세종 전자사전에도 직접 반영되고 있다.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J. Searle] (7) 수로 쓰인 것(상수)(象數)과 시로 쓰인 것(의리)(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들도 없음을 말한다. [(성중영)(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ulcorner$한국어사전$\lrcorner$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다가 농도(濃度) 0.2%에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고 그후는 감소(減少)하였다.

  • PDF

The Construction of Multiful Nominatives in Korean (한국어의 주격 중출 구문)

  • Lee, Woon-Young;Lee, Chung-M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319-324
    • /
    • 1995
  • 한국어에는 주격 표지를 가진 명사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구문이 자주 나타난다. 이러한 구문을 주격 중출 구문이라고 한다. 주격 중출 구문은 크게 부분-전체 구문, 양화사 유동 구문, 그리고 심리 술어 구문으로 나누어진다. 본고에서는 부분-전체 구문과 양화사 유동 구문은 함수-논항 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심리 술어 구문은 의미역할과 자리 이동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것은 의미적 측면과 통사적 측면을 함께 고려한 것으로 좀 더 일관성 있는 설명을 위한 접근이라 하겠다.

  • PDF

Constructing a Korean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with Semantic Roles using Thesaurus and Predicate Patterns (시소러스와 술어 패턴을 이용한 의미역 부착 한국어 하위범주화 사전의 구축)

  • Yang, Seung-Hyun;Kim, Young-Sum;Woo, Yo-Sub;Yoon, Deok-H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6 no.3
    • /
    • pp.364-372
    • /
    • 2000
  • Subcategorization, defining dependency relation between predicates and their complements, is an important source of knowledge for resolving syntactic and semantic ambiguities arising in analyzing sentences. This paper describes a Korean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particularly annotated with semantic roles of complements coupled with thesaural semantic hierarchy as well as syntactic dependencies. For annotating roles, we defined 25 semantic roles associated with surface case markers that can be used to derive semantic structures directly from syntactic ones. In addition, we used more than 120,000 entries of thesaurus to specify concept markers of noun complements, and also used 47 and 17 predicate patterns for verbs and adjectives, respectively, to express dependency relation between predicates and their complements. Using a full-fledged thesaurus for specifying concept markers makes it possible to build an effective selectional restriction mechanism coupled with the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and using the standard predicate patterns for specifying dependency relations makes it possible to avoid inconsistency in the results and to reduce the costs for constructing the dictionary. On the bases of these, we built a Korean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for frequently used 13,000 predicates found in corpora with the aid of a tool specially designed to support this task. An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is dictionary can provide 72.7% of predicates in corpora with appropriate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 PDF

Design of Q/A System By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언어에 의한 질의응답 시스템의 설계)

  • Kim, Y.K.;Kang, S.H.;Woo, Y.S.;Kim, H.W.;Choi, B.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469-477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자연언어 처리를 기반으로 한 질의응답 시스템을 설계하며 그 대상을 호텔 예약 시스템으로 한다. 시스템은 크게 언어 해석부, 문맥 처리부, 화제 처리부 및 한국어 생성부로 구성한다. 언어 처리부에서는 단일화 문법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문을 해석하며 그 해석결과로부터 이 후 질의응답에 사용되는 정보들인 술어, 각 명사구들의 의존 관계치 및 의미 제약치를 얻어 낸다. 문맥처리를 수행하여 생략문 등에 의해 결핍된 정보들을 추출함으로서 정보의 손실을 보완한다.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진행하기 위한 화제처리를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화제 처리부에서 파악한 화자의 의도를 기초로 사용자가 요구한 정보를 제공하고 계속된 대화진행을 위해 적절한 한국어를 생성해 주는 한국어 생성부를 거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호텔 예약이라는 정해진 영역하에서 자연언어처리에 의해 추출한 술어, 각 명사구들의 의존관계치 및 의미제약치 정보들을 이용하여 문맥처리와 화제처리를 수행함으로서 더욱 효율적인 질의응답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Selecting Model of Head in Support Verb Constructions for Phrase-Pattern-based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구 단위 패턴 기반 한영 기계 번역에서의 기능동사 구문의 중심어 선택 모델)

  • Kim, Hae-Gyung;Chae, Young-Soog;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03-208
    • /
    • 1999
  • 한국어는 잉여성과 중의성의 범 언어적인 특징과 함께 다른 언어에 비해 주어의 생략이 두드러지며 어순이 자유롭기 때문에 구문 형식의 지배를 덜 받는다는 개별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계번역의 패턴을 추출할 때 서로 유사 가능성이 있는 패턴에 대한 고려가 없이는 같은 의미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패턴을 모두 하나의 패턴으로 처리하는 오류를 범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구 단위 패턴은 동사구, 명사구, 형용사구 그리고 부사구를 중심으로 한국어 패턴, 패턴 대표 카테고리, 한국어 패턴의 중심어 및 제약조건 대역영어패턴 의미코드로 나뉜다. 범 언어적인 특성의 한국어와 영어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각각의 명사에 의미코드를 사용하여 다중 언어기반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한국어의 개별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중심어 부과 자질을 사용하였다. 중심어 부과 자질에 있어서, 특히 술어기능명사를 중심어로 하는 기능동사 '하-' 구문은 다른 동사 구문의 형식과는 달리 논항의 수와 형태를 동사가 아닌 명사가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대한 변별적인 자질 부여는 구문의 형태-통사적 특징 뿐만이 아니라 의미적인 고유의 특성까지도 잘 뒷받침하면서 패턴 추출에 월등한 효율성을 제시할 수 있다. 향후 이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인 기능동사 구문뿐만이 아니라 개별적인 특징을 보이는 모든 구문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어 패턴 기반 기계번역의 패턴 추출에 기본적인 정보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 PDF

Question Analysis based Syntactic Information in Korean Question Answering System (한국어 질의응답시스템에서 구문정보에 기반한 질의분석)

  • 신승은;서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931-93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질의응답시스템에서 정확한 정답추출을 위한 구문 정보에 기반한 질의분석을 제안한다. 질의분석은 세부 정답 유형 결정, 세분화된 키워드 추출을 통해 정확한 정답추출을 목적으로 한다. 술어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대분류 수준의 정답 유형으로 질의분석을 수행하고. 구문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중요 키워드와 일반 키워드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정답 유형 자질 명사를 이용하여 세부 정답 유형을 결정한다. 실험을 통해 세부 정답 유형 결정에서 정확률 59%, 세분화된 키워드 추출에서 정확을 66%를 보였다.

  • PDF

Automatic Transformation of Semantic Roles between PropBank and Sejong using Similarity Estimation based on Tree Level (레벨 기반의 유사도 계산을 이용한 PropBank 의미역과 Sejong 의미역 간의 자동 변환)

  • Youn, Young-Shin;Seok, Mi-Ran;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221-224
    • /
    • 2014
  • 의미 표지 부착 작업은 구문 표지 부착된 문장의 술어-논항 구조를 파악하여 논항에 적절한 의미역을 부착하는 과정이다. 이 작업을 통하여 생성되는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는 의미역 결정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원이 된다.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로는 세계적으로 PropBank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이를 한국어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PropBank 의미역과 Sejong 의미역 간의 자동 변환이 필요하다. 이전에 제안되었던 이종 의미역 간의 자동변환 방법에서는 명사 계층의 구조 정보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명사 계층구조를 반영하여 한국어 PropBank 의미역을 Sejong 의미역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PropBank와 Sejong의 맵핑관계 중에서 1:N으로 맵핑되는 PropBank 의미역을 기준으로 명사 계층구조에서 변환 대상 의미역을 가지고 있는 단어와 변환 후보 의미역을 가진 단어들의 개념번호를 뽑아 두 단어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레벨 당 가중치를 주어 유사도 계산을 하여 유사도가 적은 값으로 의미역을 자동 변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0.8의 성능을 보인다.

  • PDF

Semantic Structure of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이중주격구문의 의미구조)

  • Kim, Ky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5
    • /
    • pp.338-343
    • /
    • 2020
  • This paper provides a semantic account of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in the framework of Autolexical Grammar, which views syntax, semantics, morphology, and other language components as modules generated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Some syntactocentric models in the past analyzed double nominatives as a result of possessor raising, ECM or incorporation. This paper provides a semantic explication of double nominatives through function-argument (F/A) structure of internal possession and external possession. The possessum used in double nominatives is a relational noun which takes a possessor as its argument in F/A structure. If the possessor directly combines with the relational noun, then internal possession is generated. If the possessor is a gap in F/A structure, then the argument which is coreferential with the gap combines later with the predicate, resulting in external possession, in which the possessor is in the nominative case. Unlike internal possession, the F/A structure of external possession structurally shows that the sentence is predicated of the poss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