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적계획

Search Result 88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pplication Process of Ecological Area Rate System in Educational Facilities (교육시설의 생태면적률 적용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 Han, Jong-Koo;Jang, Dong-Min;Park, Tong-S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53-56
    • /
    • 2009
  •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을 교육시설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로 수행되었다. 생태면적률은 최근 시행되기 시작한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지표로 생태환경보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 및 제도, 기준고찰을 통하여 생태면적률에 관한 국내외의 동향을 파악하고, 교육시설에 생태면적률을 적용하기 위한 실태파악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중부권 C시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적용된 대지 및 체육장 면적분포, 교지 대비 체육장 비율, 조경면적, 친환경 인증 등에 관한 현황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태조사 결과를 통하여 교육시설의 부지조성 특성에 따른 부지유형을 도출하였고, 부지유형별 생태면적률 적용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제도적 적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공공부문의 도시 건축 및 환경분야 종사자 및 건축사의 생태면적률에 관한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육시설의 계획특성에 부합되는 생태면적률 적용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land use planning technique applying low impact development and verifying the effects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 a case study of Sejong city 6 district (저영향개발(LID)을 적용한 토지이용계획 기법 개발 및 적용효과 분석 : 세종시 6생활권을 대상으로)

  • Kang, Ki-Hoon;Lee, K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7
    • /
    • pp.548-553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ow impact development design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in the land use planning stage and verify quantitatively the effects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or this purpose, the low impact development design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in the land use planning stage were derived and applied to an actual site, and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LIDMOD2 progra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ermeability rate of the land use plan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decreased by 19.8% compared to the existing land use plan. In addition, annual surface runoff decreased by 19.0% and annual infiltration increased by 164.1%. In the case of non-point pollution, the annual loading, T-N, T-P, and BOD decreased by 18.7 ~ 22.8%. Therefore, compared to the existing land use plan, the land use plan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has a considerably large effect of reducing the non-point pollution without changing the floor area according to each application. Therefore, to maximize the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pollution,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related plan by applying the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 from the land use planning stage to the existing LID facility-oriented plan.

Flood Control Capacity of the Detention Facility with Watershed Characteristics (저류지 설치시 유역특성에 따른 하류 홍수조절효과)

  • Lee, Jung-Min;Han, Hyung-Geun;Yoo, Byong-Gyun;Yun, Jeong-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28-1532
    • /
    • 2009
  • 최근의 기상변화에 의한 이상 홍수와 유역의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홍수시 유출량을 증가시켜 기존 하도의 적정소통량을 초과하는 홍수를 발생시키고 있다. 토지의 고도이용으로 하도의 하폭이 제한된 도시유역 초과 홍수에 대비할 수 있는 구조적 홍수관리방안은 제방 증고, 하천준설 등의 하천개수나 저류지 설치, 방수로 설치 등이 대표적이다. 주요 재해저감시설인 저류지는 개발사업에 의해 발생하는 증가된 유출량을 조절하는 개념으로서 도시홍수 재해경감의 목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설계기준 및 기술상의 이견이 최근 많이 제시되고 있다. 개발사업으로 인한 하류부의 영향에 대해 해당 사업지구에 국한하여 개발전의 유출량이하로 유지함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전체 유역차원의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저감효과가 의문시 되고 있다. 또한, 하류부 인근의 개발사업시행으로 저류지를 설치할 경우 사업대상지구의 홍수도달시간 변화가 발생하며, 전체 유역 첨두유량 발생시간과의 중첩현상으로 오히려 저류지 설치로 인해 본류 하천의 피해를 초래할 여지가 있다. 저류지 설치 위치에 따라 경제적, 치수적 효과가 달라진다는 점은 많은 연구의 결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사업지구의 기존 재해영향 평가에서 저류지 설치에 의한 하류부 홍수량 증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저류지 면적 대비 전체유역면적 비율에 대하여 저류지 설치로 인한 홍수량 증감분석을 수행하였다. 홍수량 증감율은 저류지 설치에 따른 저감후 대비 저류지 설치전 본류하천 유역면적비가 31.17 이상인 경우, 저류지 설치에 따른 홍수량 저감후 대비 개발전 본류 하천 유역면적비가 27.05 이상인 경우에 홍수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지구내 일률적인 저류지 설치계획보다는 추후 체계적인 저류지 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통해 합리적인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 of Stage-Discharge Rating Curve (수위-유량관계곡선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 Lee, Yeon-Kil;Kwon, Kyu-Sang;Kim, Hyoung-Seop;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12-2216
    • /
    • 2008
  • 본 연구는 하도특성의 불규칙으로 인해 수위와 유량이 단일 관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유수의 흐름이 지속되어 GZF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 구간분리와 GZF를 결정하는 곡선식 개발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첫번째 연구과제는 저수위 구간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GZF 추정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GZF의 변화에 따라 곡선식의 신뢰도를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사용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엑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로 작성되었으며, 입력자료 구축 모듈, 하도단면 입력 모듈, GZF 설정 모듈, GZF 평가 등의 4개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연구과제는 구간분리 유무의 기준에 관한 연구로서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단면의 특성이 상이한 4개의 수위관측소를 선정하여 수위-면적 곡선과 수위-면적변화량곡선을 생성하였으며 이로부터 단면변화와 구간분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간분리의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단면특성인자, 유속, 하상경사, 수면경사, 단면통제, 하도통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다음과 같은 주요변수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을 제시하기란 어려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간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 중에서도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변수인 하도 단면의 특성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단면의 특성이 서로 상이한 수위 관측소 단면을 선정하여 수위관측소별로 저수부에서 고수위 구간까지 10cm의 등간격으로 수위별 면적을 산정하여 구간분리의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구간분리의 유무에 관한 연구는 현재 진행 중에 있으며, 향후에는 1단면, 2단면, 3단면까지 파악하여 단면 특성이 구간분리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할 계획에 있다. 또한 하도 단면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단면형상이 상이한 여러 수위관측소 지점에서 구간분리의 기준을 연구할 계획이며, 단면의 특성을 파악한 후에는 유량, 유속, 하상경사, 하도통제 등을 고려할 계획이다.

  • PDF

Study on the Regional Specialization of Major Species for Regional Forest Plans (지역산림계획을 위한 주요 수종의 지역별 특화에 관한 연구)

  • Park, Joo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6 no.3
    • /
    • pp.330-339
    • /
    • 2017
  • In Korea,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re responsible for setting up their own Regional Forest Plans to manage the forests at regional scales distinguished by administrative boundaries, and the role of the plans are very crucial by linking the Forest Basic Plan for nationwide forest management policy with Forest Management Plans for local-level forest management practices. Thus, the analysis of forest resources at regional levels is required to make more efficient regional forest plans by properly reflecting regional forest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present which species are concentrated at each individual metropolitan city or province, contributing to more efficiently establishing its regional forest plan. In order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species for each region, Location Quotient and Relative-Specialization Index are computed using area- and volume-data for the major species selected in th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As a result, the ranks among the indices of the major species for each individual municipal city and province are present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selection of regional target species and establishment of regional forest management objectives. Further study regar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from area-based and volume-based indices will be helpful to consider regional level productivity by species into the regional forest plans.

The Planning Graph for Estimating Capacity of Rainwater Utilization Cisterns (엑셀 기반의 저류시설 용량 계획선도 개발 및 적용)

  • Kim, Ree-Ho;Kim, Young-Mi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32-836
    • /
    • 2010
  • 물 부족에 대비한 대체수자원 개발과 함께 최근 들어 환경성과 생태계를 고려한 녹색도시 조성이 부각되면서 빗물이용을 통한 용수확보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녹색도시 조성은 조경시설 및 수경시설에서의 용수 사용량을 증가시키므로 용수확보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고 대상 사업의 환경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최근의 빗물이용시설의 도입 현황을 살펴보면 설계 시 집수면적이나 대지면적의 일정비율 이상을 설치하는 간편식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간편식을 이용한 방법은 집수면의 토지이용 특성, 물 사용량을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시설이 설치된 후 운영효율 저하가 우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식 법의 문제점 개선과 함께 시설 설계 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엑셀기반의 저류용량 계획선도를 개발하였다. 본 계획선도는 대상지역의 강우량과 토지이용 특성을 입력한 후 용수 공급 패턴(매일 일정량 활용, 무강우 시 일정량 활용, 하절기에 중점적으로 활용)에 따라 빗물이용시설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기상청 등의 강우자료 서비스가 진행 중이므로 공간적인 제약 없이 전국적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n the Area by Forest Function and the Reflection of Ecosystem Service Concepts in Korea's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s (최근 국유림경영계획에서 산림기능별 면적구분과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반영에 관한 분석)

  • Ko, Kiyeon;Choi, Jae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9 no.2
    • /
    • pp.211-222
    • /
    • 2020
  •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change over time in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forests in relation to human demand for forests. The level in which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has been considered in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s was also examined. A total of 98 current and previous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s were available for this study.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six functions of forests in both the current and previous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s were surveyed. We used a parametric t-test when the mean values of two (current and previous) groups were normally distributed and used nonparametric Wilcoxon code rank test when the assumption of normality was not met. Timber production forests were shown to follow a normal distribution, while five others, including water regeneration forests, disaster prevention forests,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forests, recreation forests, and living environment conservation forests were not shown to follow a normal distribution. Timber production forests and natural environment fores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forest area between previous and current forest management plans.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began to actively appear in the 6th Basic Forest Plan, which started in 2018. However, the level of frequency of the ecosystem services mentioned varied by Regional Forest Services.

Model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ainwater Management in Building Complexes (공동주택 빗물관리 의사결정지원 모형 개발)

  • Kim, Ree-Ho;Kim, Young-Min;Lee, Sang-Ho;Kwon,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19-323
    • /
    • 2009
  • 최근 대체수자원 개발, 도시 비점오염과 물순환 체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분산식 빗물관리기술에 대한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수 목적의 빗물이용시설, 치수목적의 우수유출 저감시설, 택지개발사업의 재해저감시설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시설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치수용 시설에 있어 설계강우에 따른 홍수량 산정방법을 제외하고는 이수 및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계획, 설계기술은 현재까지도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이수목적의 경우 집수면의 토지이용 특성, 용도별 사용수량 및 경제성에 대한 검토 없이 집수면적이나 대지면적의 일정비율 이상을 설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빗물관리시설 계획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공동주택 빗물관리 의사결정지원 모형(RainCity v1.5 Beta)을 개발하였다. 강우자료는 5분 간격의 설계강우, 시우량 및 일 강우자료를 DB나 사용자 파일로부터 호출하도록 하였으며,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유출계수를 고려한 수문학적 집수면적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현재 버전은 이수 및 치수용 저류조, 침투통, 침투트렌치, 침투블럭 등 장치형 침투시설과 투수성포장 등 지표면 침투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시설조합의 설치에 따른 유입/유출량, 침투량 및 사용수량 등 물순환 과정을 모의할 수 있다. 특히 선택된 시설조합은 규모 시나리오에 따라 목표 기능에 맞는 시설규모들을 선정하고,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경제적인 시설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향후 지속적으로 GUI를 개선하여 사용자 편의도를 높이고, 식생형 침투도랑, 생태연못, 중수이용시설과의 연계 등 기능을 확대할 계획이므로 국내에서의 빗물관리시설의 계획 설계 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