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염색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5초

Fenton 산화공법을 적용한 염색폐수처리 연구 (A study on the dye wastewater treatment by Fenton oxidation process)

  • 안준수;박태술;조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274-4282
    • /
    • 2011
  • 본 연구는 염색폐수 처리시설에서 생물학적공정(2차) 처리를 거처 배출되고 있는 방류수 중에 미처리되어 잔존하고 있는 난분해성 유기물(COD)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도처리공법으로서 Fenton 산화공정을 적용하여, 공법의 적용 가능성과 최적의 운전조건을 얻고자, 실험실 실험과 Pilot Plant 현장 운전을 실시하였다. 본 Fenton 산화실험의 원수로 사용된 생물학적(2차) 처리수의 수질은 실험기간동안 $COD_{Mn}$ 30~50mg/L으로 측정되었다. Fenton 산화반응 실험 결과, 최적의 반응조건은 pH 3~3.5, 반응시간 2~2.5시간, 약품 주입량비($FeCl_2$(33%)/$H_2O_2$(35%)) 3 : 1 로 나타났다. 약품 주입량 비가 적정조건일 때, 슬러지 발생량($SV_{2hr}$)은 전체 양의 21~28% 범위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Pilot Plant 실험 결과, 산화반응조의 체류시간 변화에 따라 처리효율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적정 체류시간은 2.0시간 이었다. 현장에 Pilot Plant($2m^3/d$)를 설치하여 연속운전을 실시한 결과, COD 농도가 제거효율 면에서 60~70%를 나타내었고, 처리수질은 20mg/L 이하로 측정되어, 대체로 안정적이고 양호한 처리효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인체 양막의 골형성유도능 평가 (Evaluation of Osteoinduction Efficacy of Human Amniotic Membrane)

  • 한정욱;서영권;박정극;송계용
    • KSBB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91-296
    • /
    • 2008
  • 양막은 다양한 생체재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생체적합성과 환부의 치료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막을 갈아 양막스폰지를 제조하고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한 뒤 누드마우스이식을 통하여 콜라젠스폰지와 비교하여 골형성유도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포의 부착과 증식면에서는 두 시료가 유사하였으나, 체내에 이식한 결과 양막스포지군에서 좀 더 많은 콜라젠 분비와 칼슘이 침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면역화학염색 결과 골형성 시 필요한 오스테오칼신과 오스테오넥틴이 좀 더 발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양막은 골형성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의 점적핀 위치 관리 (Management of Dripper Position in Tomato Perlite Bag Culture)

  • 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3-419
    • /
    • 2009
  •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의 효율적인 점적핀설치 위치를 규명하기 위해서, 지제부로부터 5cm 위치에 고정(F5), 15cm 고정(F15) 및 5cm~15cm로 이동(M5-15)의 3처리구를 두었다. 점적 핀 위치에 따른 배지 내 뿌리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서 자루 배지를 9등분해 염색한 결과, F5 처리구에서는 다른 처리에 비해 뿌리량이 지제부 가까이에 좀 더 많았고 지제부에서 멀어질수록 뿌리량은 적었다. 지제부에 가까울수록 뿌리는 하위로 많이 발달해 있으며, 멀수록 배지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F15 처리구에서는 지제부에서 멀수록 뿌리가 많이 밀집되어 있었고 지제부에서 멀어질수록 위쪽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점적 핀 위치가 지제부로부터 5cm 위치에서 15cm로 이동한 M5-15 처리구에서는 전체적으로 뿌리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펄라이트 자루 내 배지 부위별 수분 분포를 생육단계에 따라 조사한 결과, 처리에 관계없이 수직분포는 하부로 갈수록 수분함량이 많았으며, 하부에서 특히 많았다. 관수종료 1시간 후에는 상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중부 및 하부에서는 지제부에 가까울수록 수분함량이 많았다. 중앙과 양측 면 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다. 수확량은 F15 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는 점적핀을 지제부로부터 15cm에 위치시키는 것이 뿌리분포나 수확량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 미세구조 (Spermatogenesis and Sperm Ultra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채규;박정준;이정용;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03-310
    • /
    • 2002
  • 우리나라 동해안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조개류인 대복의 정소구조와 정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복의 정소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정자형성 소낭을 가진다. 동일한 정자형성 소낭 내에서는 여러 단계의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정원세포들은 정자형성 소낭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커다란 핵과 뚜렷한 인을 가진다. 정모세포에서는 연접사복합체와 골기체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세포의 핵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의 염색질로 구성되며, 정자변태과정 동안에 핵의 응축 및 첨체와 편모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소 내에서 완숙 정자들은 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며, 두부, 중편, 미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두부의 길이는 약 $8.5{\mu}m$로, 첨체부와 핵 부위로 구분된다. 첨체는 길이 약 $1.1{\mu}m$의 총알형태였다. 두부와 첨체 사이에서는 미세섬유로 구성된 첨체기둥이 확인되었다. 중편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며, 꼬리의 횡단면은 "9+2"의 구조를 나타냈다.

면섬유염색폐수의 공정별 폐수성상과 이온화가스에 의한 처리특성 (Composition of Cotton Textile Dyeing Process Wastewater and its Treatment Characteristics by Ionized Gas)

  • 임경은;정팔진;권지영;이은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3-308
    • /
    • 2007
  • Three types dyeing wastewater (dark, medium, light color) discharged from cotton textile dyeing with reactive dye was collected at each step of process. Each process dying wastewater was analyzed and treated by ionized gas. The analysis focused on $COD_{Cr}$, SS and color. Bleaching & scouring process wastewater has the highest $COD_{Cr}$ value in the three type dyeing wastewater. SS shows the highest value at dyeing process wastewater in dark and medium color but light color has at finishing process wastewater. The result of process wastewater treatment by ionized gas was that the ionized gas was effective in $COD_{Cr}$ removing of bleaching & scouring process and finishing process wastewater but was not good at dyeing process wastewater. From that result it is estimated that the ionized gas could not work in opening the aromatic ring and react only in aliphatic component of the molecule. Because the surfactants contained in bleaching & scouring process and finishing process wastewater have only one aromatic ring in its molecular structure, in contrast with the reactive dye compounds consist of aromatic rings great part of its molecular structure. The color almost removed in 1.5 hrs reaction time but $COD_{Cr}$ removal effiency was only 30.7% through 3hrs in 1500 mL of total dyeing wastewater treated by 10 L/min ionized gas.

Amoeba proteus의 표면흡착에 관한 세포화학 및 생화학적 특성 (Cytochem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llular Adhesion in Amoeba proteus)

  • 안태인;곽인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1-180
    • /
    • 1986
  • 단백질 분해효소, neuraminidase 및 EDTA가 아메바의 배양기표면 흡착, 세포표면의 미세구조 및 생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concanavalin A(con A) cytochemistry 및 SDS PAGE에 의해 조사하였다. Con A cytochemistry에 의해 세포표면 바깥쪽의 filamentous(F)층과 안쪽의 amorphous(A)층이 쉽게 구분되었다. Neuraminidase로 처리한 아메바는 대조군에 비해 용기표면 흡착성과 펴짐이 증가하였으며 A층과 F층에 더 많은 con A결합부위가 노출되었다. Trypsin 및 proteinase K로 처리한 아메바는 각각 12시간, 48시간동안 용기표면에 부착하지 못하였으며, proteinase K의 처리는 A층의 con A결합부위 및 모든 glycoprotein을 제거시키는 효과를 낳았으며, trypsin은 세포막의 PAS염색물질에는 아무런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나 A층과 F층의 con A결합부위를 제거하였다. 이들 효소 및 EDTA처리에 의해 세포 표면의 mucopolysaccharide 일부가 분리되었다. 아메바를 monovalent con A로 처리하였을 때도 아메바는 용기표면에 부착하지 못하고 cytolysis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아메바의 용기표면 흡착에는 세포막의 glycoprotein과 A층의 mucopolysaccharide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감물염색 면직물의 물에 의한 발색 효과 (Effect of Color Developing by Water Treatment on Cotton Fabrics Dyed with Persimmon Extract)

  • 김옥수;장정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46-652
    • /
    • 2017
  • In order to clarify an availability of water treatment for persimmon extract dyeing, effect of color developing by water treatment process on cotton fabrics dyed with persimmon extract was investigated. Dyed fabrics were dipped still water and circulation water in various temperature. Concerning water color developing, still water color developing and circulation water color developing have been examined, and the temperature of water has been apprehended to prepare an effective basis of water color development. The surface color based on circulation water color development displays low values of $a^{\ast}$ and $b^{\ast}$, and the range of the c value(Munsell chroma) is narrow and has the value of 2 to 3, thus displays the coloration of a dark tone. The effect of temperature in water color development was insignificant, due to the small difference in temperature from $20^{\circ}C$ to $40^{\circ}C$. At $80^{\circ}C$, remarkable color development manifested, which is evidence of the high influence of temperature. The effects of circulation were clear at low temperatures, and the effects of temperature highly manifested at high temperatures. Circulation water color development display great color development at all temperatures to allow industrial color development with the absence of sunlight, thereby having an effect of energy reduction and developing color in dark tones, however this also is a strength of persimmon extract concerning color diversification, and is judged to have great value of industrial and practical application.

대청호에서 세균의 수직적 분포에 관한 연구 (Vertical Variation of Total Bacterial number in Daechung Reservoir)

  • 빙선혜;오인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43-154
    • /
    • 2005
  • 대청호에서 세균군집의 생태학적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청호 본 댐과 대전 취수탑의 중간 지점인 대청호의 만입부 지점에서 1998년 9월~1999년 8월까지 DAPI 염색법으로 수심에 따른 총 세균수를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의 수표면, 수심 5m, 10m, 15m, 및 25m에서 각각 채수하여 총 세균수를 측정하고 이화학적 수질요인과 총 엽록소 $\alpha$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총 세균수는 표층수에서 $1.6-1.7.0x10^6$ cells/ml, 수심 5m에서는 $2.3-11.0x10^6$ cells/ml, 수심 10m에서는 $1.2-1.4.0x10^6$ cells/ml, 수심 15m에서는$1.4-15.0x10^6$ cells/ml, 그리고 수심 25m에서는 $1.4-1.3.0x10^6$ cells/ml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는 4월경부터 수온 증가에 따라 표층수의 총세균수는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경에 최대에 도달하였고, 이때 수심이 깊어질수록 총세균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수심에서 총세균수와 총엽록소 $\alpha$ 량 및 이화학적 수질요인과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 PDF

면과 나일론 직물의 오배자 염색 시 Chitosan 처리와 매염이 색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and Mordant Treatments on the Color Change of Cotton and Nylon Fabrics Dyed using Rhusjara ica)

  • 홍신지;전동원;김종준;최인려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3호
    • /
    • pp.380-390
    • /
    • 2005
  • The effect of high purity chitosan was studied on its application to the natural dyeing using Rhusjara ica. In the dyeing experiment, examinations were introduc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tosan treated fabrics and chitosan untreated fabrics, and 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mordanting agents and the mordanting methods. Dyeing was carried out for the chitosan treated and untreated fabrics under the conditions of non-mordanting and Al, Sn, Fe mordanting. As a result, we found that, in the case of cotton, chitosan untreated fabrics were not dyed enough, and the dyeing effect was not developed even though the mordanting was introduced. However, the chitosan treated fabrics developed excellent dyeing result even in the non-mordanting case. Through the results of cotton fabric dyeing, it was presumed that the dyeing affinity of the chitosan toward the Rhusjara ica, which prefer specific dyestuff (mainly black color), is selectively high. In the case of nylon, the dyeing effect is not developed easily under all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chitosan treatment or the mordant treatment. It was inferred that a certain portion of the Rhusjara ica dyestuff made direct bonding with the functional elements in the nylon molecules without the help of the mordant. Through the results of nylon fabrics, it was presumed that some functional elements of the nylon molecules had selective affinity toward the specific colorant (mainly yellow color) of the Rhusjara ica.

  • PDF

신경생리학적(神經生理學的) 동물실험(動物實驗) (The Neurophysiological Approaches in Animal Experiments)

  • 전진숙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3-16
    • /
    • 1998
  • 동물에서 전기현상은 1773년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최근에는 이론과 기술적 면에서의 현저한 발전으로 뇌기능의 기전을 밝히는 도구로서, 또한 심리적 과정에 근저한 행동 및 신경생리학적 기전을 규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아니라 치료적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저자는 뇌와 행동의 기전을 연구하는 한 방법으로서 신경생리학적 접근에 흔히 사용되는 기본적인 기법을 간략히 정리해 보았다. 여기서는 주로 전기생리학적 기법에 중점을 둘 것이나, 병소화와 자극의 부위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신경해부학적 기법에 대해서도 간단히 언급하였다. 실험동물의 선택, 실험동물의 관리, 실험동물의 마취에 있어서 약물투여의 원칙, 투여경로 및 용량 등 동물실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사항에 대해서 실제적으로 언급하였다. 전기생리학적 실험에 필요한 정위법, 비선택적 및 선택적 병소화 기법, 전기적 자극법(일반적인 방법, 세포외 및 세포내 자극, 미세자극법, 뇌의 심부자극), 측정 및 기록을 위한 제반 기법을 소개하고 실예를 보여주며, 조직학적인 부위 확인을 위해 필요한 일연의 과정으로서 심장내관류법과 흔히 사용되는 신경계의 염색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였다. 또한 기능상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행동검사의 종류도 언급하였다. 신경생리학적 연구 방법은 뇌와 행동의 관계를 밝히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자는 신경생리학적 동물실험에 많이 쓰이고 있는 기법으로서 정위법, 병소만들기, 전기적 자극, 측정 및 기록, 조직학적 부위 확인 등 일연의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신경화학적 연구, 기능을 점검해 볼 수 있는 행동학적 연구로서 보완이 될 때에 믿을만한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