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억제제

Search Result 373,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Role of Prostaglandin E in Modulating Immune Response in Lymph Nodes Draining the Uterus during the Implantation Period in Rats (흰쥐의 착상기간 중 DLN(lymph nodes draining the uterus) Lymphocyte의 활성도에 미치는 Prostaglandin E의 영향)

  • Cho, Hye-Seong;Ryu, Kyung-Za;Kim, Chang-Mee
    • The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 /
    • v.25 no.1
    • /
    • pp.93-99
    • /
    • 1989
  • In our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activities of maternal peripheral lymphocytes and thymocytes were depressed during the implantation period in rats and rabbits. This study was therefore attempted to clarify further this immunosuppression locally by determining lymphocyte response in lymph nodes draining the uterus (DLN) and to elucidate the mechanism by which prostaglandin E (PGE) modulates immune response during the implantation process in rats. As compared with non-pregnant rats, the response of DLN lymphocytes to concanavalin A (Con A) was depressed during the implantation period in 100% of rats studied. The activity of DLN lymphocytes depressed on day 8 of pregnancy was, however, restored partially by the treatment of indomethacin (ID), indicating that prostaglandin (PG) might be one of factors responsible for immunomodulation during the process of implantation. DLN lymphocyte activity in non-pregnant rats was suppressed if PGE was pre-treated prior to Con A and this suppression was partially restored by the treatment of ID. Furthermore, DLN lymphocytes pre-treated with PGE produced PGE in vitro and this PGE production was blocked by the treatment of ID, suggesting that PGE induced PGE-producing cells. However, the pretreatment of estradiol, progesterone, and hCG at doses enough to suppress lymphocyte activity was ineffective in inducing PGE-producing cell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GE induces PGE-producing suppressor cells, thereby increasing PGE concentration and PGE in turn depresses maternal local immune response as well as systemic immune response during the implantation period in rats.

  • PDF

Anti-MRSA Properties of Prodigiosin from Serratia sp. PDGS 120915 (Serratia sp. PDGS 120915가 생산하는 prodigiosin의 항 MRSA 특성에 관한 연구)

  • Ji, Keunho;Jeong, Tae Hyug;Kim, Young T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5 no.1
    • /
    • pp.29-36
    • /
    • 2015
  • Prodigiosin, a member of natural red pigment family, is produced by Serratia marcescens, and characterized by a common pyrrolylpyrromethane skeleton. This pigment has been reported with the effects of anticancer, immunosuppressant, antifungal, and algicidal activitie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major cause of hospital infections. In this study, anti-MRSA properties of prodigiosin isolated from Serratia sp. PDGS 120915 were investigated. We identified and purified prodigiosin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evaluated anti-MRSA activity. Purified prodigiosin inhibited the growth of MRSA.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prodigiosin were determined to $32{\mu}g/ml$ against the MRSA strains.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FIC) indices of ampicillin and penicillin were indicated synergistic effects of prodigiosin on MRSA.

Involvement of apoptotic signals in cyclosporin A-induce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사람 치은 섬유모세포에서 Cyclosporin-A 유도 세포증식에 대한 항세포고사 기전)

  • Jeong, Tea-Sul;Chung, Hyun-Ju;Kim, Won-J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3
    • /
    • pp.731-745
    • /
    • 2005
  • Cyclosproin A(CsA)는 세포 이식거부방지를 위한 면역 억제제 및 자가 면역질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CsA는 매양된 사람 치은섬유아세포를 증식시킴이 알려져 있지만 CsA에 의한 세포증식기전에 대한 세포사멸기전 및 Bcl-2의 역할은 연구되어 있지 않다. 이번 연구는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CsA에 의한 세포증삭기전에 세포고사기전 및 Bcl-2 family가 관여하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세포 생장력은 MT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Bcl-2 family와 Fas 발현 정도는 RT-PCR 방법이나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Caspase-3 및 -9의 활성은 ELISER reader로, reactive oxygen species(ROS)는 fluorescence spectrometer에 의해 측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분비된 cytochrome c는 Western blot으로 조사하였다. CsA는 $0.1{\sim}10\;{\mu}M$에서 사람 섬유아세포의 생존률을 시간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50 ${\mu}M$ CsA에서는 오히려 세포가 죽였다. 또한, CsA 처리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유리되는 cytochrome c 양과 VDAC 1 및 3 발현량이 감소되었고, caspase-9과 caspase-3의 활성도도 감소되었다. 한편, CsA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death receptor 구성요소인 Fas 발현이 감소되었다. Bcl-2 family에 대한 RT-PCR, western blot 분석결과, 세포고사를 억제하는 Bel-2 발현은 증가되었으나 세포고사를 자극하는 Bax와 Bid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CsA유도 세포증식에 Bcl-2 family와 ROS가 매개하는 미토콘드리아 의존 및 death receptor 의존 세포고사기전이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Anti-arthritic Effects of Buthus martensi Karsch Herbal Acupuncture, Inhibiting Interleukin-1-induced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Human Chondrocytes (전갈 약침액의 인체연골세포에서 nitric oxide synthase의 interleukin-1 유도 유전형질 발현과 nitric oxide의 생산의 억제에 관한 연구)

  • Cho, Hyun-seok;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0 no.1
    • /
    • pp.104-119
    • /
    • 2003
  • 목적 : 면역억제 작용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전갈약침(BMK)의 IL-1으로 야기된 1차성 골관절염 인체 연골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골 기능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 골관절염 연골에서 채취된 인체 연골세포는 ID-1(2ng/ml)에 의해 처리되어졌으며, IL-1과 BMK($10{\mu}g/ml$)를 함께 처리한 연골세포와 비교하였다. 결과 : IL-1 단독처리된 연골세포에 비해 BMK가 함께 처리된 연골세포에서 연골세포의 손실과 퇴화의 중요한 요소인 NO의 생산량이 의미있게 저하되었다. IL-1단독으로 처리된 연골세포보다 IL-1과 BMK가 함께 처리된 연골세포에서 iNOS mRNA의 단백질 합성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전사인자로서의 NF-B의 활성화가 IL-1 단독으로 처리된 연골세포에 비하여 BMK가 함께 처리된 군에서 상대적으로 의미있게 억제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BMK가 인제 골관절염 연골에 있어서 NF-B 활성화에 의존한 IL-1 유도염증의 치료상에 효과적인 반응억제제임을 시사하며, 골 세포의 골 재흡수 활동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Gosambaeksunpibokhap-bang(GBBB) Extract in an Atopic Dermatitis Animal Model (아토피 동물모델에서 고삼백선피복합방(GBBB)의 아토피 억제효과)

  • Lee, Da-Yeong;Seung, Yun-Chel;Cheong, Kyu-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1
    • /
    • pp.607-618
    • /
    • 2016
  • In order to clarify the Gosambaeksunpibokhap-bang(GBBB)'s therapeutic possibility on atopic dermatitis (AD), influences of GBBB on the changes of various immune-related factors and histological changes in NC/Nga mice were evaluated.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Sign of recovery from AD was observed in GBBB treated group with naked eye test. The ratio of white blood cells, neutrophil, lymphocytes, monocyte in blood were decreased to 54%, 63%, 57% and 86% respectively in the GBBB group. IL-4, IL-5, IL-13, Histamine and Ig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40%, 80%, 62%, 61% and 57% respectively in the GBBB group. H&E staining showed thickness of epidermis and dermis were decreased by GBBB and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lymphocyt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GBBB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as an AD treatment applied externally to the skin. In the further study, immune control mechanism of GBBB will be demonstrated through the additional molecular biological research.

Effects of Ampelopsis japonica Extracts on Tumor Immunity (백렴 추출물(抽出物)이 종양면역(腫瘍免疫)에 미치는 영향)

  • Park, Seung-Man;Ahn, Sang-Woo;Cho, Jong-Kwan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 /
    • v.11 no.2
    • /
    • pp.113-140
    • /
    • 2005
  • 1. 백렴 추출물은 부분적으로 종양세포인 HT1080, Hep G2, MCF-7 cell에 대해 세포독성을 보였으나, 섬유세포인 7250 cells과 종양세포인 CT-26 cells에서는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 백렴 추출물은 macrophage에서 생산되는 NO production을 부분적으로 증가시켰다. 3. 백렴 추출물은 macrophage 활성화와 관련 있는 IL-1과 iNOS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4. 백렴 추출물은 NK cell의 cytotoxicity를 활성화시켰다. 5. 백렴 추출물은 NK cell 활성화와 관련있는 IL-1, IL-4, IL-10, IL-12, iNOS, IFN-${\gamma}$, TNF-${\alpha}$ 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6. 백렴 추출물은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IL-10, IFN-${\gamma}$, TNF-${\alpha}$ 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다. 7. 백렴 추출물은 CT-26 cell에 의한 pulmonary colony를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백렴 추출물은 macrophage와 NK cell의 활성화를 통해 면역 조절과 항암제로서의 유용성이 기대된다.

  • PDF

괄루근과 포공영 렉틴의 특성 및 활성

  • 이정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41-241
    • /
    • 1994
  • 괄루근과 포공영으로 부터 수용성 다당류를 분리하고 제단백 및 DEAE cellulose column을 이용한 정제과정을 거쳐 얻은 렉틴성 다당류를 시료로 하여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와 고형암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를 검토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료 렉틴류는 혈중 백혈구수와 총복강세포수를 현저히 증가하며 이러한 현상은 포공영의 경우가 보다 강하며 또한, 1주일의 한도내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뚜렷하였고 총복강세포의 수는 제1일에는 포공영의 경우에 특히 크게 증가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정상치 가까이 회복하였다. 과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실험에서는 암세포이식으로 인해 항체생산능 및 T lymphocyte reactivity가 크게 저하되었으나 시료의 투여로 현저한 회복현상을 보였다. 고형암 성장 억제 실험에 의하면 5mg/kg의 낮은 투여량에서 성장억제도는 현저하며 이러한 현상은 정제의 단계가 진행될수록 커졌다.

  • PDF

Differential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on NKG2D Ligands Expression and NK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in Primary and Metastatic Colon Cancer (원발성 및 전이성 대장암에서 TGF-beta가 NKG2D 리간드 발현과 NK 세포 매개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Eun-Jung Yun;Yu-Rim Kim;Seong Jun Park;Sang-Yull Lee;Jaeho B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3 no.2
    • /
    • pp.149-157
    • /
    • 2023
  •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is a multifunctional cytokine that affects not only the survival and growth of cancer cells but also the activity of immune cells. Although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cancer cell-derived TGF-β could promote the survival and growth of early cancer cells and have immunosuppressive roles, it has been known that TGF-β has differential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 or stage of cancer cells. Therefore, it is hard to clearly define its role in cancer progression and immune respon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GF-β signaling on the expression of five NKG2D ligands and the NK cell-mediated anticancer immune response in the primary colon cancer cell line KM12C and its two metastatic cell lines, KM12SM and KM12L4A. At the surface protein level, exogenous TGF-β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ICA, MICB, ULBP1, and ULBP2, and galunisertib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ICA, MIAB, ULBP1, ULBP2, and ULBP3 in KM12C. However, KM12SM and KM12L4A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NKG2DLs after treatment with TGF-β or galunisertib. TGF-β signaling inhibition via galunisertib improved the NK cell-mediated anticancer immune response against KM12C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sponse to KM12SM and KM12L4A. Therefore, the suppression of TGF-β signaling could improve the NK cell-mediated anticancer immune response against KM12C. However, an increase in NKG2DLs expression and an enhanced NK cell-mediated cancer immune response is hard to expect due to the alteration of TGF-β signaling in KM12SM and KM12L4A.

Antioxidant effect of Aspalatone on KA-induced neurodegeneration in rat. (카인산 유발 신경세포 변성 모델에 대한 Aspalatone의 항산화 작용.)

  • Kim, Jin;Nam, Sung-Won;Gu, Chang-Hwi;Kim, Hy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5.04a
    • /
    • pp.95-95
    • /
    • 1995
  • 뇌신경 변성 / 퇴행과 관련된 중요한 병인론 중의 하나는 변성 과정에서 형성된 유리기(free radical)로 인한 항산화계의 평형 소실로 알려져 있다. Aspalatone (APT)의 예상되는 항산화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Kainic acid (KA) 유발 뇌변성 모델을 적용하였다. KA 모델은 변연계의 간질성 경련과 신경세포 변성에 대하여 재현성 있는 병변 모델을 제공해 주며, 이와 같은 신경세포의 병독 기전에 산소 유리기가 관여함이 강력히 시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KA 투여로 인하여 지속적이고도 전형적인 간질성 경련이 관찰되고 1일 이내에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APT으로 인하여 그 간질성 경련 행위와 비율이 억제되고 KA 유발 치사율도 억제되었다. 최종 KA 투여 3일 후에 얻어진 흰쥐 해마 및 대뇌 피질에서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및 과산화지질의 지표인 Malondialdehyde (MDA)를 검정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KA는 뇌조직의 SOD-1을 유도하였으나, Cat.와 GSH-PX의 활성은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고, 반면에 MDA 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즉, Cat., GSH-PX와 같은 $H_2O$$_2$중화제가 동반 유도하지 않는 SOD의 유도는 세포내 축적되는 $H_2O$$_2$로 인하여 Fenton/Haber-Weiss 반응을 가속화하여 과산화지질화를 촉진함을 시사한다. APT 병용 투여로 SOD는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으나 특히 Cat.가 현저히 유도되어지고 MDA는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생화학적인 결과는 다음의 형태학적인 소견과 일치한다. Fos 관련 항원 (FRA)와 SOD-1을 면역세포화학 (Immunocytochemistry)적 방법으로 이중 표식 (double-labelling) 하였다. FRA는 KA로 인한 신경세포의 자극에 대한 지표로 응용하였고, SOD-1은 퇴행성 뇌질환에서 산화적 손상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KA 투여로 해마의 dentate gyrus (DG) 내에 강한 면역환성 (immunoreactivity)이 나타났고 pyramidal cell layer (PCL)와 glia에 SOD-1이 강하게 염색되었다. APT 병용 투여로 상당수의 경련이 일어나지 않은 흰쥐는 해마의 DG에 FRA가 경미하게 염색되었고, PCL에 SOD-1도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경련이 나타난 쥐에서는 KA만을 투여한 흰쥐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상의 APT의 항산화 효과는 KA로 인한 뇌세포 변성 개선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나, 보다 명확한 APT의 기전을 검색하고 직접 임상에 응응하기 위하여는 보다 다양한 실험 조건이 보완되어야 찰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Inhibited Immune Dysfunction Induced by LP-BM5 Leukemia Retrovirus Infection through Regulating Th1/Th2 Type Cytokine mRNA Expression and Oxidative Stress in Murine AIDS Model (LP-BM5 Leukemia Retrovirus 감염으로 유발된 Murine AIDS에서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의 Th1/Th2 Cytokines의 발현 조절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 연구)

  • Lee, Jeo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5 no.10
    • /
    • pp.1329-1335
    • /
    • 2006
  • LP-BM5 murine leukemia retrovirus induces the excessive oxidative stress and immune dysfunction leading to B cell leukemia and murine AIDS with cytokine dysfunc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immune restoratory effect of antioxidant hormone ded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was investigated in the primary splenocytes from LP-BM5 retrovirus-infected C57BL/6 mice. DHEAS significantly increased T and B cell response to mitogen and normalized the unbalanced production of Th1/Th2 type cytokines. In particular, both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IL-4, IL-6, and $TNF-\alpha$ were down-regulated by DHEAS treatment whereas IL-2 and $IFN-\gamma$ level were increased. This result suggests that DHEAS directly or indirectly regulates the gene expression of Th1/Th2 type cytokines in transcription level. In addition, DHEAS treatment decreased the hepatic lipid peroxidation and preserved vitamin E level in liver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HEAS could effectively prevent immune dysfunction by regulating cytokine secretion and preventing the oxidative stress in murine A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