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글로불린 G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5초

배발효 음료가 천식이 유발된 생쥐의 기도 과민성 및 면역 글로불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ar Alcoholic Fermentation Beverage 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Immunoglobulin Production in Asthmatic Mice)

  • 정영민;김형우;정희진;최유진;도윤호;최정식;조수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07-113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coholic fermentation beverage using pear, Bae Ro Mi In (BRMI) 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immunoglobulin production in asthmatic mice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RMI 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by measurement of enhanced pause (Penh), and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n production levels of antigen specific antibody and subclasses such as IgG1, IgG2a and IgE by using ELISA methods. Prednisolone (PD, 5 mg/kg) was used as positive control. Results : Treatment with BRMI did not lower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but PD lowered significantly. Oral administration of BRMI lowered production level of ovalbumin (OVA) specific total antibody significantly. Especially, BRMI decreased IgE levels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effectively. Treatment with PD lowered production levels of total antibody, IgG1 and IgE. Conclusions : These result suggest that BRMI can lower production levels of antigen specific total antibody and IgE in asthmatic mice. We also suggest that BRMI has the possibility to prevent or cure asthma through regulation of antigen specific antibody production.

다중 질량 분석법을 이용한 인체 면역글로불린 G의 N-연결 글라이칸 분석 (Tandem Mass Spectrometry of N-linked Glycans from Human Immunoglobulin G)

  • 주황수;김윤곤;장경순;김병기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34-23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전극분무 이온화-이온 포획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인체 IgG의 N-연결 글라이칸 중 이중촉각 구조를 가지면서 비환원 말단의 갈락토오즈 개수가 0, 1, 2 개인 서로 다른 세 가지 글라이칸의 단일 쪼개짐 (MS/MS) 및 다중 쪼개짐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구조 분석에 이용하였다. MS/MS 분석에서는 퓨코오즈가 결합된 환원 말단의 N-아세틸 글루코사민의 0,2-고리 쪼개짐으로 파생되는 조각 피크가 가장 높은 세기로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전구체 피크와 별개로 연속적인 당 단위체의 쪼개짐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1 글라이칸의 경우에서만 비환원 말단의 갈락토오즈와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결합된 채 쪼개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중 쪼개짐 질량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MS/MS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조각 피크들의 구조를 재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트리 구조로 정리할 수 있었다. 또한 추가적인 2,4-고리 쪼개짐 현상이 환원 말단 하나 바깥쪽의 N-아세틸 글루코사민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다중 쪼개짐 질량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복잡한 구조의 글라이칸 구조 분석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료 내 Quercetin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생화학 특성, 혈액 내 면역글로불린과 혈액 내 항산화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Querceti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arameter, Immunoglobulin and Blood Antioxidant Activity in Broiler Chicks)

  • 김동욱;홍의철;김지혁;방한태;최지영;지상윤;이왕식;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3-40
    • /
    • 2015
  • 본 연구는 육계사료 내 quercetin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생화학적 성상, 면역 및 혈액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 ${\times}$ Ross 308) 320수를 선별하여 육계초기(0~3주령)와 육계후기(3~5주령)의 35일 동안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8처리구(C(-), 대조군; C(+), 항생제 처리군; T1, 비타민 E 20 ppm 처리군; T2, 비타민 E 200 ppm 처리군; T3, quercetin 20 ppm; T4, quercetin 200 ppm; T5, methoxylated quercetin 20 ppm; T6, methoxylated quercetin 200 ppm)를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으로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은 quercetin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증체량은 quercetin 200 ppm 처리구가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볼 수 없었다. 혈액 생화학 조성은 creatinine과 BUN이 무항생제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액 내 immunglobulin인 IgA, IgG 및 IgM 농도는 quercetin이나 methoxylated quercetin 첨가구가 무항생제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액 내 항산화 인자를 조사한 결과, quercetin 및 methoxylated quercetin 첨가구에 따라 SOD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quercetin 200 ppm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MDA는 무항생제 첨가구에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런 결과들은 사료 내 quercetin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및 혈액 대사에 효과를 보이며, 최적 수준은 20 ppm 이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포유자돈에 있어서 포유자돈용 발효유의 급여가 생산성, 혈액특성, 및 설사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milk substituted for creep feed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and blood profiles in lactating piglets)

  • 김승철;김현수;허정민;김인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75-382
    • /
    • 2015
  • 본 연구는 포유자돈용 발효유의 급여가 포유자돈의 생산성, 설사지수, 혈액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3산차 모돈($Landrace{\times}Yorkshire$)은 14두를 공시하여, 2처리구 처리당 7두로 분만 후 부터 이유시까지 3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CF (Creep feeding), 2) FM (fermented milk)로 실시하였다. 포유자돈용 발효유의 급여가 생산성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생시체중이 입붙임 사료구와 비교하여 수치상 낮았으나, 이유체중에서는 포유자돈용 발효유를 급여한 구가 300 g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포유자돈용 발효유의 급여시 설사지수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혈액 특성에 있어서는 혈액내 백혈구 함량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P>0.05), 혈액 내 면역 글로불린 함량에 있어서는 입붙임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가 포유자돈용 발효유를 급여한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입붙임 사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및 면역관련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포유자돈용 발효유는 장내 미생물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유산균은 함유하고 있으나, 다른 면역물질 및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 혈액 면역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포유기간 동안 입붙임 사료를 대신하여 포유자돈용 발효유를 급여하여도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입붙임 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급여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방생약부산물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관 미생물 균총, 혈액 생화학적 성상 및 면역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y-Products of Herbal Medicine 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bial Population,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Broiler Chicks)

  • 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4
    • /
    • 2015
  • 본 연구는 한방생약부산물을 이용한 육계의 사료첨가제를 개발하기 위해 대조군(CON), HM1(한방생약부산물 0.15%), HM2(한방생약부산물 0.3%) 및 HM3(한방생약부산물 0.5%) 등 4개군에 육계 96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여 생산성, 장내 미생물 균총, 혈액 생화학적 지표, 면역글로블린 및 백혈구 성상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방생약부산물 0.15% 첨가군(HM1)에서 대조군에 비해 육계전기(3~21일령) 사료요구율이 유의적(p<0.05)으로 개선되었으나, 전 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장내 소화물의 E. coli 및 Lactobacili 총 균수에서도 한방생약부산물 급여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서는 한방생약부산물 급여 시 AST 및 glucose 수준을 유의하게(p<0.05) 감소시켰다. 면역글로불린(IgG 및 IgA)과 백혈구 감별계수에서는 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육계에서 0.15~0.3% 수준의 한방생약 부산물 첨가는 육계전기에 사료이용성 및 간 조직의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우스 만성천식모델에서 경구면역관용 유도에 의한 알레르기 염증의 예방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Allergic Inflammation by Induction of Oral Tolerance in a Mouse Model of Chronic Asthma)

  • 김진숙;이정미;김승준;이숙영;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25-433
    • /
    • 2004
  • 연구배경 : 경구면역관용 유도는 4주 이내의 급성천식모델에서 알레르기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경구면역관용 유도가 4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천식모델에서도 알레르기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불확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8주 동안 지속되는 만성천식모델을 이용하여 경구면역관용 유도가 알레르기 염증반응 및 기도재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관찰하였다. 방 법 : 5주된 암컷 BALB/c 마우스에 ovalbumin(OVA)을 복강 내로 투여하여 감작시킨 후, 6주 동안 주 2회 OVA를 반복 흡입시킴으로써 만성천식모델을 만들었다. 경구면역관용은 감작시키기 전에 OVA를 경구 투여함으로써 유도하였으며, 저용량 군(OVA 1 $mg/day{\times}6$일)과 고용량 군(OVA 25 $mg/day{\times}1$일)으로 나누었다. 기도과민성은 농도별 메타콜린 흡입에 따른 enhanced pause (penh) 값의 변화로 평가하였으며, 기관지폐포세척액 내의 염증세포수를 측정하고 IL-13, IFN-${\gamma}$ 농도 및 혈청 내 OVA 특이 IgE, IgG1, IgG2a 농도를 ELISA로 측정하였다. 기도재형성 정도는 폐조직의 PAS 및 Masson's trichrome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경구면역관용군은 천식군에 비해 penh 값, 기관지폐포세척액 내의 염증세포 수, IL-13 및 IFN-${\gamma}$ 농도, 혈청 내의 OVA 특이 IgE, IgG1 및 IgG2a 농도, 폐조직 술잔세포의 과다형성, 기저막하부의 섬유화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P<0.05). 결 론 : 알레르기 기관지천식모델에서 경구면역관용 유도는 8주까지 장기적으로 기도과민성, 염증반응 및 기도재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그 기전에는 항원 특이 면역글로불린과 Th1 및 Th2 시토카인들에 대한 억제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Oligosaccharides 계열 생균제가 산란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 및 혈청 면역 글로불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Oligosaccharides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Serum Immunoglobulin Contents in Laying Hens)

  • 김찬호;신광석;우경천;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5-131
    • /
    • 2009
  • 본 실험은 mannan-oligosaccharide(MOS)와 fructo-oligosaccharides(FOS)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소장 내 미생물 균총 및 혈액 내 항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27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96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6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40수씩 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 일조 + 조명; 16 h)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대조구, 항생제구; avilamycin 6 ppm, MOS 0.025%구, MOS 0.05%구, FOS 0.25%구, FOS 0.5%구 등 총 6처리구를 두어 실시하였다. 일계 산란율과 hen-housed 산란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일계 산란율과 hen-housed 산란율은 MOS 0.025%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난중, 사료 섭취량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FOS 0.25%구가 다른 첨가구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난각 두께에서는 FOS 0.25% 처리구가 MOS 0.025%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난각 강도, 난각 색깔 지수, 난황 색깔 지수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augh unit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IgG 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혈청 IgA 농도는 FOS 0.25%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Lactobacillus는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고, Cl. perfrigens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E. coli는 첨가구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MOS와 FOS는 산란계에서 산란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고 혈중 IgA 및 장내 미생물 균총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가와사끼병에서 C-반응 단백질과 적혈구 침강속도의 불일치 및 정맥내 면역글로불린 치료 후의 변화 (C-reactive Protein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Discrepancies and Variations after Intravenous Immunoglobulin Therapy in Kawasaki Disease)

  • 이윤숙;이지현;홍영미;손세정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1호
    • /
    • pp.25-30
    • /
    • 2016
  • 목적: 가와사끼병에서 C-반응 단백질(CRP)과 적혈구 침강속도(ESR)의 불일치 및 정맥내 면역글로불린(IVIG) 치료 후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123명의 가와사끼병 환자의 의무기록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염증성 지표들을 IVIG 치료 전과 치료 후 48-72시간에 검사하였다. 불일치는 $CRP{\geq}10mg/dL$와 ESR <50 mm/hr, 또는 CRP <10 mg/dL와 $ESR{\geq}50mm/hr$로 정의하였고 전자를 1 군으로, 후자를 2군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전체 123명 중 36명(29.2%)에서 불일치를 보였는데 1군은 25명(20.3%)이었고, 2군은 11명(8.9%)이었다. 1군에서 15명은 발열기간이 5일 미만(초기 발현자)이었고, 10명은 5일 이상(후기 발현자)이었다. 2군에서는 6명이 초기 발현자, 5명이 후기 발현자였다. ESR 값은 초기 발현자보다 후기 발현자에서 더 높았다($26.3{\pm}19.3mm/hr$ vs. $34.3{\pm}21.0mm/hr$, P=0.029). IVIG 치료 후에는 증가된 CRP를 포함한 여러 염증성 지표들은 정상으로 돌아왔으나 ESR은 오히려 $37.4{\pm}21.9mm/hr$에서 $48.0{\pm}22.7mm/hr$로 증가하였다(n=36, P=0.051). 결론: CRP와 ESR 값의 불일치는 발열기간과 연관이 있으리라 추정된다. 이 두 중요 염증성 지표가 불일치할 수 있으므로 급성 가와사끼병의 치료 전 질병의 염증 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두 지표를 동시에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며, IVIG 치료 후의 ESR은 치료 반응의 지표로 적합하지 않다.

가와사끼병에서 저나트륨혈증의 관련인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factors causing hyponatremia in patients with 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

  • 김수연;김현정;최준석;허재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64-369
    • /
    • 2009
  • 목 적 : 가와사끼병의 급성기에 심장 합병증을 미리 예측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계속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하게 인정되고 있는 지표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저나트륨혈증이 가와사끼병 급성기에 나타나는 빈도와 다른 임상적 요인 및 관상동맥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만 2년간 을지대학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가와사끼병으로 치료받았던 1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나이와 성별, 발열부터 면역글로불린 투여시까지의 기간, 치료부터 해열까지의 기간, 입원 당시의 백혈구수, 혈소판수,알부민, ESR, CRP, AST, ALT치와 무균성 농뇨 및 심초음파 결과 등을 저나트륨혈증군(1군) (n=30)과 정상 나트륨군(2군) (n=84)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는 t-test와 교차분석, logistic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 1) 1군의 환자들에게서 설사 증상이 나타났던 경우가 40%로 2군의 환자들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 농뇨나 혈뇨의 빈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1군 환아들에서의 CRP 수치가 평균 12.2 mg/dL로 2군 환아들에서의 7.3 mg/d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3) 1군에서 13.3%의 환아에서 1회의 IVIG 치료 후에도 발열이 지속되어 IVIG의 재투여가 필요하였으며 2군의 환아들에 비해 3배 가량 많았다. 4) 1군 중 53.3%에서 관상 동맥의 병변이 있었으며 2군의 20.2%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며 1군 중 2명(6.7%)에서 중등도 크기의 관상동맥류가 있었다. 결 론 : 가와사끼병에서 입원 당시에 저나트륨혈증이 있거나 면역글로불린 투여 이후에도 저나트륨혈증이 지속될 때 관상 동맥의 합병증이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치료에 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가와사끼병 재 치료군의 특징적인 검사 지표 (The characteristic laboratory findings of non-responsiveness to intravenous immunoglobulin in children with Kawasaki disease)

  • 조한길;조영국;마재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228-234
    • /
    • 2010
  • 목 적 : 가와사끼병에서 1차 치료로 고용량 정맥용 면역글로불린(IVIG)의 사용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중 약 10-20% 정도는 반응을 보이지 않아 발열이 지속되어 관상동맥의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1차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가와사끼병 환자를 조기에 찾기 위한 검사실 지표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VIG 재 투여를 받은 재 치료군의 임상소견과 검사실 지표분석을 통해 재 치료군의 특징적인 검사 소견을 찾아 보고자 한다. 방 법 : 2003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만 5년간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입원하여 치료받았던 가와사끼병 환아 11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IVIG에 반응을 보인 군(반응군, responder group, n=110)과 IVIG 1회 투여로 반응을 보이지 않아 재 치료 한 군(재 치료군, nonresponder group, n=8)을 비교 평가하였다. 정맥용 면역글로불린(2.0 g/kg) 투여전, 투여 48시간 후, 투여 14일 후의 백혈구 수, 혈색소 수치, 혈소판 수치, ESR, CRP, 총 단백, 알부민, AST, ALT, lactate dehydronase (LDH), BUN, creatinine, creatine kinase (CK), CK-MB 등의 검사실 지표와 나이, 성별, 발열에서 IVIG 투여하기까지 기간 등을 비교 측정하였다. 결 과 : 초기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재 치료 한 경우는 118례 중 8례(6.8%) 였다. 이 군에서 IVIG 투여 전 낮은 CK (P =0.03), 높은 총 단백 수치(P <0.01)를 보였고 IVIG 투여 2일 후 높은 백혈구 수치(P =0.04), 중성구 분획(P <0.01)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중성구 분획(P <0.01)과 CK (P =0.01)의 경우 IVIG 투여 전 비해 투여 2일 후 반응군에서 재 치료군보다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 결 론 : 가와사끼병 환아 중 IVIG 투여 전 낮은 CK, 높은 총단백 수치와 IVIG 투여 48시간 후 높은 백혈구 수치, 높은 중성구 분획 보인 환아에서 재 치료 가능성이 높았고, 재 치료군에 비해 반응군에서 CK 등의 감소폭이 큰 점이 특징적이었으며 이의 관련성에 대한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