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멥쌀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3초

멥쌀과 찹쌀중의 극성 지방질의 조성에 관한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Polor Lipids Composition in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 신효선;양주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3-148
    • /
    • 1986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4품종의 멥쌀과 2품종의 찹쌀 중의 극성지방질의 조성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멥쌀과 찹쌀 중의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esterified sterylglycosides, monogalactosyl diglycerides, steryl glycosides, digalactosyl diglycerides 및 cerebrosides 였으며, 이들 함량은 멥쌀과 찹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멥쌀과 찹쌀 중의 인지방질의 주요성분은 Iysophosphatidyl cholines, phosphatidyl cholines, phosphatidyl inositols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s 이였다. 그러나 lysophosphatidyl cholines과 phosphatidyl cholines은 멥쌀이 찹쌀에서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phosphatidyl ethanolamines 과 phosphatidyl inositols는 찹쌀이 멥쌀에서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멥쌀과 찹쌀의 당 및 인지방질 획분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linoleic 및 oleic acid였다. 그러나 당지방질 획분 중의 palmitic acid는 멥쌀이 찹쌀에서 보다 함량이 높았고, 인지방질 획분 중의 oleic 및 stearic acid는 멥쌀이 찹쌀에서보다 적었으나, linoleic acid는 멥쌀이 찹쌀에서 보다 많았다.

  • PDF

쌀 품종별 유과제조 특상

  • 신동화;김명곤;정태규;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18.2-218
    • /
    • 2003
  • 멥쌀로 동진, 삼강을, 찹쌀로 신선, 한강품종을 선택하여 유과제조실험을 하였다. 사용한 멥쌀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각각 18.5%, 찹쌀은 2-3% 수준이었으며 수침시(12$^{\circ}C$) 2시간 이내에 평형 수분함량에 도달하였고 멥쌀은 30%, 찹쌀은 42%의 수화도를 보였다. 쌀전분의 호화 개시 온도는 64.5-67.5$^{\circ}C$로서 멥쌀과 찹쌀에서 큰 차이가 없었고 유과반데기는 RH 75-84%에서 저장하면 튀김 적정 수분함량인 11-12% 수준에서 유지 가능하였다. 멥쌀과 찹쌀로 유과를 제조, 비교한 결과 멥쌀의 팽화도는 2.5-2.9$m\ell$/g(건물), 찹쌀은 9.1-10.8$m\ell$/g(건물)로 멥쌀이 유의적으로 떨어지고 반대로 경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바삭바삭한 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정상 젖산 발효균에 의하여 팽화도, 경도 등은 개선되지 않았고 튀김 기름으로는 콩기름과 미강유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솔잎가루를 첨가한 솔설기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관능적.텍스쳐 특성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 이효지;한지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4-172
    • /
    • 2002
  • 멥쌀가루에 첨가되는 솔잎가루의 양, 당의 종류와 양, 물의 양의 차이가 솔설기의 관능적 특성과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능평가 결과, 색과 향기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10.5g(3%), 설탕 60g을 첨가한 군(A03S)이 유의하게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고(p〈0.05), 거친정도, 촉촉한정도, 쫄깃한정도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꿀 80m1를 첨가한 군(A01H)이 유의하게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p〈0.05), 단정도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7g(2%), 설탕 60g을 첨가한 군(A02S)이 유의하게 가장 달다고 평가되었다(P<0.05). 바람직한 정도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꿀 80m1를 첨가한 군(A01H)이 유의하게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p〈0.05). 솔잎가루 1, 2, 3% 첨가한 순으로 좋다고 평가되었으며, 선호도가 높게 평가된 솔설기가 grain이 곱고, moistness가 촉촉하고, chewiness가 쫄깃거렸다. 2. 기계적검사 결과 탄력성, 응집성, 견고성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설탕 60g을 첨가한 군(A01S)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p〈0.05), 씹힘성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7g(2%), 올리고당 90ml를 첨가한 군(A02O)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P<0.05), 점착성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올리고당 90m1를 첨가한 군(A01O)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p〈0.05), 부착성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7g(2%), 꿀 80ml를 첨가한 군(A02H)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P<0.05). 3. 수분함량은 멥쌀가루 33.2%, 솔잎가루 2.6% 였고 37∼40% 정도라야 바람직한 솔설기라고 평가되었다. 4. 색도측정 결과 L값(Lightness)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꿀 80ml를 첨가한 군(A01H)이 가장 밝았으며, a값(Redness)과 b값(Yellowness) 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10.5g(3%), 설탕 60g을 첨가한 군(AO3S)이 가장 높아 red와 yellow에 가까웠다(p〈0.05).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솔설기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 꿀 80m1, 소금 3.5g, 물 20m1를 넣고 찐 떡이었으며, 수분함량은 37.1% 였다. 솔잎은 약재로 여러 질병의 치료나 구황식푼으로 많이 상용해 왔는데, 솔잎을 떡에 첨가하여 음식으로 섭취할 수 있는 솔설기를 개발함으로서 일상적인 기능성 음식으로 솔설기가 널리 보급되었으면 하고 기대한다.

발아현미의 품질특성

  • 금준석;최봉규;박종대;이현유;박현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71-171
    • /
    • 2003
  • 발아현미란 적당한 온도와 수분, 산소 등을 공급해 현미의 싹을 1~5 mm까지 발아시킨 것으로 현미의 영양과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식미는 현미보다 훨씬 부드러운 쌀이다. 발아현미 등 발아곡식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93년 독일의 한 식품연구소에서 곡식의 발아시 발아전에는 없던 새로운 영양성분이 생겨나거나 증가한다는 연구발표가 계기가 되었다. 현미에는 식물성 섬유질을 비롯한 각종효소,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몸에 좋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현미가 갖는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백미를 주식으로 하고 있는 이유는 현미의 조리가 어렵고 부드럽게 씹히지 않고 꺼칠하여 식미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미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풍부한 영양을 고루 섭취하고 간편한 취사와 부드러운 조직감으로 식미 기호도를 높인 발아현미가 등장하였다. 따라서, 찹쌀과 멥쌀 발아현미에 대한 영양성분과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발아현미밥 및 가공제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4$0^{\circ}C$에서 20시간 발아시킨 찹쌀 발아현미(수분함량 15.45%)와 멥쌀 발아현미(수분함량 15.02%)의 품질 특성중 amylose 함량은 각각 4.9%, 17.9%, 환원당은 4.91%, 2.28%, 유리당은 찹쌀 발아현미가 glucose 0.42%, sucrose 0.15%, maltose 0.27%이고 멥쌀 발아현미가 glucose 0.59%, sucrose 0.50%, maltose 0.24%였다. 찹쌀과 멥쌀 발아현미의 색차값은 각각 L값 60.30, a값 2.12, b값 23.52과 L값, 59.51, a값 3.15, b값 23.04이다. 호화도는 1.67%, 5.21%이고, 조직감중 hardness는 7.53 kgf, 8.93 kgf로 멥쌀 발아현미가 높았다. 찹쌀 발아현미의 아밀로그램 특성은 호화 초기온도가 42$^{\circ}C$였으며, breakdown값은 94, set back값은 -48이었으며, 멥쌀 발아현미의 특성은 호화 초기온도가 7$0^{\circ}C$였으며, breakdown값은 0, set back값은 123이었다. 비타민 E 함량은 찹쌀 211.79 $\mu\textrm{g}$/kg, 멥쌀 310.59 $\mu\textrm{g}$/kg이고, 총식이섬유 함량은 4.21%, 3.17%이다. 발아현미 원곡간의 향기패턴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발아현미 제조 후 찹쌀, 멥쌀 모두 이취 성분은 거의 없었다. 발아현미의 절단 내면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찹쌀 발아현미 cell이 멥쌀 발아현미보다 작았으며, 표면 구조도 찹쌀 발아현미가 더욱 조밀하였다.

  • PDF

멥쌀 비율에 따른 발아현미 가래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tteok with Different Ratios of Non-glutinous Germinated Brown Rice Flour)

  • 신동선;박혜영;한귀정;김명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53-859
    • /
    • 2010
  • 발아현미 100%인 control에 대한 적합가능성과 control에 멥쌀의 적정 첨가 비율을 찾는 목적으로 발아현미와 멥쌀의 수분흡수율과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고 발아현미 가래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제품으로 가장 적합한 조건을 찾고자하였다. 발아현미 가래떡은 멥쌀 첨가량을 발아현미 중량 대비 0, 20, 40, 60%로 제조하여 실온($25^{\circ}C$)에서 0, 1, 2일 저장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멥쌀 및 발아현미의 수분흡수율과 고형분 함량을 조사한 결과 수침전의 수분함량은 멥쌀의 경우 15.68%, 발아현미는 15.05% 이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수침시간에 따른 멥쌀과 발아현미의 고형분 함량은 2시간 후에는 각각 0.68% 및 0.71%이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10시간 후에는 0.76%와 0.79%로 양이 증가하였다. 발아현미 가래떡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멥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가래떡의 수분함량은 1~3%감소하는 수준을 보였으며 저장기간 동안에는 모든 시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의 변화의 경우 L값은 발아현미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가래떡의 색이 어두워지는 경향이었으며 모든 시료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a값과 b값의 경우 발아현미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경도는 40% 및 60%가 높았으며, 탄력성은 control이 좋은 점수를 받았으며, 응집성, 검성 및 씹힘성은 60%가 높은 값을 보였다. 멥쌀 첨가비율에 따른 발아현미 가래떡의 관능적 특성에서 제조 당일 발아현미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향미를 제외한 색, 단단한 정도, 탄력성, 씹힙성, 전반적기호도 등 모든 평가항목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멥쌀 40%와 60% 첨가군에서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가래떡 제조 시 발아현미 100%인 control도 제조 가능하고 발아현미에 멥쌀을 첨가할 경우 40~60% 첨가하는 것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멥쌀 첨가가 진양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placement Levels of Non-Waxy Rice on the Quality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de of Clutinous Rice)

  • 김철암;정희종;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39-943
    • /
    • 2005
  • 멥쌀의 첨가가 진양주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 찹쌀에 멥쌀을 각각 30, 50, 70%를 첨가하여 제조한 진양주의 최종 pH는 각각 3.76, 3.83. 3.64, 3.58 이었고 최종 산도는 각각 1.02, 0.98, 1.1, 1.1%로 나타났다. 총 당은 찹쌀 100%, 찹쌀에 멥쌀 각각 30, 50, 70% 첨가한 진양주는 6.22, 6.31, 4.58, 4.73%로 나타났고 최종 에탄을 농도는 100% 찹쌀, 찹쌀에 30, 50, 70% 멥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진양주는 각각 14.2, 14.8, 15.6, 15.2%로 나타냈다. 색도는 100% 찹쌀로 제조한 진양주가 L값 7.69, a값 0.63, b값 4.54로 나타났고 찹쌀에 30, 50, 70% 멥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진앙주의 L값은 각각 7.29, 7.41, 3.38이고 a값은 0.43, 0.33, 0,57이었으며 b값은 4.94, 4.64, 4.55이었다. 관능검사를 통한 종합적인 기호도는 찹쌀에 30% 멥쌀 첨가하여 제조한 진앙주가 4.73으로 제일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100% 찹쌀이 4.54로, 찹쌀에 50% 멥쌀을 첨가한 것이 4.45로, 찹쌀에 70% 멥쌀 첨가하여 제조한 진양주가 3.55로 나타났다. 진양주를 제조 할 때에 30%까지 멥쌀을 첨가하여도 진양주의 품질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멥쌀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진양주의 맛과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찹쌀과 멥쌀로 제조한 진양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Jinyang-ju Prepared with Glutinous Rice and Nonglutinous Rice)

  • 박윤미;김선재;황인식;조광호;정순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6-351
    • /
    • 2005
  • 찹쌀과 멥쌀로 진양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찹쌀 진양주의 주모는 ${\alpha}-amylase$가 121.0 unit, ${\beta}-amylase$가 40.0 unit이었으며 산성 중성 protease 각각 34.2, 23.7 unit의 활성을 나타냈다. 멥쌀 진양주의 경우는 ${\alpha}-amylase$는 156.0 unit, ${\beta}-amylase$는 45.2 unit를 산성 중성 protease 활성은 각각 9.1과 0.1 unit로 나타났다. 찹쌀 진양주와 멥쌀 진양주의 발효 과정 중에 pH는 0일에 각각 5.33, 4.04이었으나 발효 3일부터는 일정한 값을 나타냈다. 산도는 찹쌀 진양주가 2.30%, 멥쌀 진양주가 2.05%로 발효 3일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lcohol 함량은 찹쌀 진양주는 $2.58{\sim}13.5%$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멥쌀 진양주 또한 $2.51{\sim}15.5%$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멥쌀 진양주의 alcohol 발효가 더 우수하였다. 유기산은 oxal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등 6가지를 측정한 결과, 총 함량이 찹쌀 진양주는 4.38mg%, 멥쌀 진양주는 7.63mg%로 거의 2배 정도가 멥쌀 진양주의 양이 많이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maltose, glucose, fructose, sucrose를 측정한 결과, 찹쌀 진양주가 4.98 m%이었고 멥쌀 진양주가 2.90 m%로 찹쌀 진양주에서 더 많은 유리당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찹쌀 진양주가 멥쌀 진양주에 비해 종합적 기호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멥쌀가루와 찹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waxy and Waxy Brown Rice Flour)

  • 김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57-561
    • /
    • 1996
  • 현미 중의 구성성분이 현미 쌀가루의 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동진 멥쌀 현미와 신선 찹쌀 현미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호화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현미 멥쌀과 찹쌀가루의 일반성분은 각각 수분 12.11%와 11.97%, 단백질 7.02%와 7.74%, 회분 1.14% 와 1.48%, 총지질이 3.26%와 4.83%로 현미 찹쌀가루가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현미멥쌀과 찹쌀가루의 X-선 회절도는 전형적인 A형을 보였고, 22.8$^{\circ}$에 구한 .상대 결정성이 멥쌀 현미가루가 더 컸다 팽윤력과 용해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찹쌀 현미가루의 팽윤력, 용해도가 7$0^{\circ}C$온도에서는 높았으나 8$0^{\circ}C$ 이후에서는 더 낮았다. 물결합능력도 찹쌀 현미가루의 물결합력이 높았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초기호화온도는 멥쌀 현미가 루 79.5$^{\circ}C$, 찹쌀 현미가루 69.5$^{\circ}C$로 멥쌀 현미가루의 초기호화온도가 높고 breakdown, consistency값도 높았으나 setback값은 같았다. DSC에 의한 초기호화온 도도 멥쌀 현미가루가 높았고 호화엔탈피도 높았다.

  • PDF

쌀 품종별 유과제조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opped Rice Snack) made by Different Varieties of Rice)

  • 신동화;김명곤;정태규;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20-825
    • /
    • 1989
  • 멥쌀로 동진, 삼강을, 찹쌀로 신선, 한강품종을 선택하여 유과제조실험을 하였다. 사용한 멥쌀의 amylose 함량은 가각 18.5%, 찹쌀은 2-3% 수준이었으며 수침시 $(12^{\circ}C)$ 2시간 이내에 평형 수분함량에 도달하였고 멥쌀은 30%, 찹쌀은 42%의 수화도를 보였다. 쌀 전분의 호화 개시 온도는 $64.6-67.5^{\circ}C$로서 멥쌀과 찹쌀에서 큰 차이가 없었고 유과 반데기는 RH 75-84%에서 저장하면 튀김 적정 수분함량인 11-12% 수준에서 유지 가능하였다. 멥쌀과 찹쌀로 유과를 제조, 비교한 결과 멥쌀의 평화도는 2.5-2.9ml/g(건물), 찹쌀은 9.1-10.8ml/g(건물)로 멥쌀이 유의적으로 떨어지고 반대로 경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바삭바삭한 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많았다. 비정상 젖산 발효균에 의하여 팽화도, 경도 등은 개선되지 않았고 튀김 기름으로는 콩기름과 미강유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저온발효에 의한 청주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eongju by Low Temperature Fermentation)

  • 심유미;이상현;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92-501
    • /
    • 2016
  • 본 연구는 청주의 저온발효 제조시 멥쌀과 찹쌀 등 원료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비교와 누룩투입 비율에 따른 발효 및 청주 품질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멥쌀과 찹쌀 청주의 발효온도를 $10^{\circ}C$, $18^{\circ}C$, $25^{\circ}C$로 달리하여 30-50일간 발효시킨 청주의 발효특성 비교에서, 멥쌀과 찹쌀 청주 모두 발효온도가 낮을수록 발효시 pH가 낮았고 최종 술덧의 pH는 발효온도에 따른 차이가 없이 각각 동일하였으며, 같은 온도에서는 찹쌀보다 멥쌀 술덧의 pH가 낮았다. 총산은 발효온도가 낮을수록 적게 생성되었으며 멥쌀보다 찹쌀로 제조된 술덧에서 많이 생성되었다. 멥쌀 술덧의 유기산은 $18^{\circ}C$에서 가장 적게 생성되었고 찹쌀 술덧은 저온발효일수록 적게 생성되었다. $10^{\circ}C$ 저온에서 발효속도는 늦었으나 최종술덧의 알코올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멥쌀보다 찹쌀을 이용한 술덧의 알코올 발효가 빨랐고 최종 알코올농도도 높았다. 발효온도 $10^{\circ}C$에서 누룩투입비율을 달리한 연구에서는 pH는 누룩투입 비율이 낮을수록 낮았으며 멥쌀보다 찹쌀이 다소 높았다. 누룩투입 비율이 낮을수록 발효초반 가용성 고형분($^{\circ}Brix$)이 낮게 나타났으며 알코올 생성 속도가 늦었고 최종 알코올 농도도 낮았다. 또한 누룩투입비율이 낮을수록 구연산, 젖산은 적게 사과산 호박산, 초산은 많이 생성되었고, ethyl acetate는 적게 생성되었다. 저온발효시 찹쌀 술덧이 멥쌀보다 알코올 생성 속도도 빨랐고 최종 알코올 농도도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