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멘토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19초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 특징 변화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Mentor Interaction in Collaborative Mentoring)

  • 박지훈;손은지;이선우;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5호
    • /
    • pp.251-262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 특징과 멘토의 멘토링 경험에 따른 상호작용 특징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참여자는 교직경력 17년 이상의 멘토 3명과 초임중등과학교사 6명을 선정하였다.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본 및 전사본을 수집하였고 이를 상호작용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 결과, 대체로 멘토들은 대화를 시작할 때 지원과 단순질문의 방법을 가장 많이 쓰고 있었다.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의 특징 변화를 보면, 멘토 3명의 멘토링 대화에서 대체로 1년차 멘토링에 비해 2년차 멘토링에서 사고질문이 많아졌으며, 이로 인하여 멘티의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이 나타난 비율이 높아졌다. 멘토 인터뷰를 통하여 멘토들은 자신의 멘토링이나 멘티의 수업 변화를 보고 자신의 멘토링을 돌아보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멘토의 반성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초임과학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 및 유형 변화 분석 (Analysis of Mentor Teachers' Mentoring Type and Type Changes in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 정도준;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6호
    • /
    • pp.441-452
    • /
    • 2018
  • 이 연구는 교수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멘토링이 진행됨에 따라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멘토링에서 수집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일대일 멘토링 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교사는 관찰자, 비판적 동료, 지원자, 지시자, 역할 모델, 평가자, 상담자, 동반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멘토교사의 멘토링이 멘티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에는 멘티교사의 수업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멘토교사는 멘토링을 실시하기 전 멘티교사와 함께 과학교수에 대한 신념, 멘토링 방법 등에 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이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자신의 멘토링 과정을 평가하는 데에도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혁신취업·창업을 위한 스마트멘토링 플랫폼 활용

  • 홍창영;차상현;노창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69
    • /
    • 2021
  • 친환경 스마트 선박 핵심인력 양성 및 사업화 기술개발의 취업·창업 산학연결 플랫폼, 민간 전문가가 직접 멘토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멘티는 취업하고자 하는 분야의 전문가를 매칭 또는 선택을 통한, 효과적인 멘토링 실현하고 이해관계 자간의 멘토링을 통해서, 취업과 창업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활성화 시킨다. 멘토·멘티간의 멘토링 지식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AI 스마트 멘토링 제공하고 멘토와 멘토의 맞춤/화상/AI 멘토링, 멘토링 성과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 PDF

창업 인재 양성을 위한 미국 SCORE 제도의 한국적 적용과 신 멘토 제도 연구

  • 유병준;전성민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3-1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대표적 성공적 멘토링 제도인 미국의 SCORE 제도를 벤치마킹하고, 한국의 멘토링 제도를 조사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고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멘토링 제도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1. 훌륭한 멘토의 조건, 2. 성공적인 운영 방식, 3. 적절한 멘토링 운영 기관 형태, 4. 사회적 기업 창업 멘토링과 일반 영리 기업 창업 멘토링의 비교 및 발전 방향 등을 알아본다. 멘토링 제도의 연구를 통해 제안된 새로운 멘토링 방안과 구조를 토대로 기존의 멘토링 실시 기관의 운영체제, 방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새로운 멘토링 기관의 운영체제와 운영 방안을 국가 정책과 관련 기관들에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특히 한국의 정부 중심 멘토링 제도 및 기관과 비교해서, 미국의 SCORE 제도가 민간 주도적 성격과 함께 대학교 중심으로 SCORE Center를 운영하고 기술 창업을 주도하는 것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한국 멘토링 거버넌스의 새로운 방향을 정책적으로도 제시한다.

  • PDF

u-Mentoring System에서 속성 온톨로지와 CBR을 사용한 M3 알고리즘

  • 손미애;강초롱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9-486
    • /
    • 2007
  • 멘토링은 조직이나 사회 구성원들의 발전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조언자, 상담자 및 후원자 역할을 하는 '멘토(mentor)'와 도움을 얻고자 하는 '멘티(mentee)'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유지함으로써 상호 발전을 위해 수행된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멘토링은 면대면 (face-to-face) 시스템이거나 웹 기반의 e-mentoring 시스템으로, 전자는 시간적 그리고 지역적 한계를 극복해야만 하고 후자는 멘토나 멘티가 멘토링 사이트에 접속하여 게시판을 확인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멘토링을 수행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멘토와 멘티의 매칭은 무작위로 이루어지거나 코디네이터라고 불리는 사람이 수행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용될 뿐 아니라 개인적인 편견이나 오류가 개입될 여지가 상존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에 구애 받지 않는 u-Mentoring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며, 그 첫 단계로써 멘토와 멘티간의 매칭을 지원하는 새로운 알고리즘(M3 Algorithm, Mentor-Mentee Matching Algorithm)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매칭의 정확도와 멘토-멘티의 매칭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멘토-멘티 온톨로지(M-Ontology)와 사례기반추론 기법을 사용하였다. 즉, 멘토-멘티의 효과적인 매칭을 위해, 멘토-멘티간 매칭 사례가 없는 초기 단계에는 멘토와 멘티의 속성 비교를 통한 추천 방식을 사용하고, 멘토링이 종료되어 충분한 멘토-멘티간 매칭사례가 수집되면 그 결과를 재사용해 추후 매칭에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매칭 알고리즘이 내장된 u-Mentoring system의 포로토타입을 보여주고자 한다.

  • PDF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멘토의 어려움 분석 (An Analysis on Mentor Teacher's Difficulties during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 최소정;권정인;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638-648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 과정에서 멘토가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았다.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수에 참가한 현직 중등과학교사 일곱 쌍(1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멘토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멘토의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멘토링 관련 인터뷰 녹화본과 전사본, 멘토 협의회 녹화본 및 전사본, 멘토 저널 등을 수집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는 멘티와 전공이나 학교 급이 다른 경우, 학교에서 맡은 과다한 업무로 인하여 멘토링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멘토링 초반 멘토로서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낮은 자신감을 나타냈으며, 일부 멘토는 멘티와 정서적 유대 관계를 형성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와 멘티의 멘토링에 대한 관점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멘토링 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초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 Teachers' Mentoring Characteristics and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강유진;박종석;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5-128
    • /
    • 2019
  • 이 연구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직경력 7년 이상의 멘토 4명과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선정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들은 멘토 및 멘티 저널, 멘티교사의 5차시 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수업평가지,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사전 설문, 중간 설문과 사후 설문, 일대일 멘토링 효과 설문 등이었다.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은 멘토교사의 상호작용 방법과 수업 피드백에 의한 지원의 내용과 빈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멘티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자발적 반성과 지원에 의한 반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은 RTO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의 교수 실행에서의 문제점을 멘티교사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대화를 유도하는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멘토교사의 반성적 사고 유도 질문은 멘티교사의 자발적 반성을 이끌어 내었으며, 자발적 반성은 멘토교사의 지원에 대한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켰다. 또한 멘토교사가 수업 피드백을 통한 지원을 제공할 때 멘티교사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할 경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예비사서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사례 및 효과분석연구 (A Stud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a Prospective Librarian Mentorship Program)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1-7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예비사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였으며, 그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멘티의 최종목표는 초기목표와 비교해서 목표와 진로가 매우 구체적으로 바뀌고 목표의 유형도 매우 세분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취업률의 경우 멘토링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의 취업률과 비교하였으며, 멘토링에 참여한 4학년 학생의 83.33%가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티의 멘토링 전 학기 성적과 멘토링 참여한 학기의 성적을 비교하였으며, 멘티들의 멘토링 전 성적은 평균 3.75였으나 멘토링 후 평균성적은 3.84로 소폭이지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멘토링 기간이나 멘토링 감독 강화부분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비사서-사서간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전후 인식변화연구 (A Study on Percep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an LIS Student-Librarian Mentoring Program)

  • 노영희;최원태;홍수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7-147
    • /
    • 2014
  • 멘토링 프로그램의 성과가 입증되고 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예비사서-사서간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멘티를 모집하고 멘티가 원하는 멘토를 선정한 후 약 3개월간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프로그램 전후 설문을 통해 인식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중 핵심적인 연구결과만을 제시하면, 첫째, 예비사서-사서간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티들의 현장실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진로 및 비전 설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 기간은 6개월 정도, 멘토링 시간은 회당 2-3시간이 적당하다고 하였고 멘토 및 멘티에 대한 정보가 멘토링 전에 제공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멘토링의 재참여 의지는 두 집단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경제적 지원, 장소지원, 기획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초임 과학 교사에 대한 멘토링 효과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Exploration Factors Affecting Maintenance of the Effect of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401-415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멘토링 효과의 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초임 과학 교사인 멘티 교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협력적 멘토링에 참여하였던 멘티 교사 10명이고, 멘토링 진행 당시 제출하였던 1차시 및 5차시 수업 동영상, 멘티 및 멘토 저널, 2019년도에 촬영한 수업 동영상, 멘토링 프로그램 반성 설문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서 경험한 멘티 교사의 반성적 사고의 경험은 멘토링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이는 멘토링 효과의 지속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멘토링 당시 RTOP 점수의 상승이 있었던 그룹의 경우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이 나타났으며, 이들 대부분은 멘토링 이후에도 여전히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구성주의에 기반한 수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멘토링 당시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던 멘티 교사의 경우 긍정적인 수업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멘토링에서의 반성적 실천은 이후 멘티 교사의 교수학습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멘토링 당시 RTOP 점수의 상승이 있었던 그룹의 경우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배운 학생 중심 수업 모형을 자신의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노력하였으며, 이 그룹에 속한 대부분의 멘티 교사들이 멘토링이 종료된 이후에도 그 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수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이 멘토링 효과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멘토링 효과의 지속을 결정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