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틸렌블루 용액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메틸렌블루 용액을 이용한 광촉매 혼입 모르타르의 방오성능 평가 (Self-Cleaning of Mortar Mixed with Photocatalyst by Using Methylene Blue Solution)

  • 양인환;박지훈;박희웅;정회원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56-36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광촉매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방오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메틸렌 블루를 이용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시편은 시멘트 중량대비 2.5%, 5.0%, 7.5% 및 10.0%의 광촉매를 혼입하여 모르타르 시편을 제작하였고, 시편 표면에 스크래치 형태로 조도를 설정하였다. 표면 조도는 3가지로 조도가 없는 경우, 조도가 작은 경우(중간 조도), 조도가 큰 경우(거친 조도)로 설정하였다. 모르타르 시편 제작 후 24시간 동안 자외선램프 조사와 12시간 동안 메틸렌 블루 컨디셔닝 용액에 침지 하는 전처리 과정을 진행하였다. 실험챔버에 전처리가 완료된 모르타르 시편을 배치 후 48시간 동안 자외선램프를 조사하였고 시간에 따라 메틸렌 블루 수용액의 색 변화를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광촉매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메틸렌 블루 색 변화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방오성능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표면조도가 증가할수록 메틸렌 블루 용액의 색 변화는 뚜렷한 경향은 나타내지 않으며 표면의 광촉매 분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노 이산화티탄 광촉매 코팅을 적용한 모르타르의 자기정화성능 평가 (Evaluation of Self-Cleaning Performance of Mortar Using Nano-Titanium Dioxide Photocatalytic Coating)

  • 양인환;전효진;이승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6-6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자기정화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산화티탄 광촉매 용액을 코팅한 모르타르의 자기정화성능을 분석하였다. 광촉매 코팅 용액의 농도(1.5 %와 3.0 %), 초친수강화 용액 적용 유무 및 프라이머 용액의 사용 유무를 실험변수로 고려하였다. 광촉매 농도가 증가할수록 메틸렌블루 수용액의 색상 변화율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광촉매 농도가 증가할수록 자기정화성능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초친수성 광촉매 용액의 적용은 일반 광촉매 용액에 비해 자기정화성능을 다소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프라이머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자기정화성능은 프라이머를 사용하지 않은 모르타르의 자기정화성능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한편, 낮은 농도(1.5 %)로 코팅된 모르타르에 비해 높은 농도(3.0 %)로 코팅된 모르타르 시편 표면의 코팅 균열이 미세하여 상대적으로 큰 광촉매 반응면적을 확보하고 자기정화성능 증가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티타니아 나노튜브(TNT) 박막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Titania Nanotube Thin Films)

  • 이영록;정지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5호
    • /
    • pp.652-656
    • /
    • 2011
  • 양극산화에 의해 티타니아 나노튜브(TNT) 박막과 나노필름(TNF) 박막을 제조하여 이의 광촉매 반응특성을 연구하였다. TNT 박막이 형성된 티타늄 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용액 내 메틸렌블루의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TNT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광촉매(PC) 반응에 의한 메틸렌블루 분해율이 증가하였다. 광전자의 재결합을 억제하기 위해 포텐셜을 가해준 광전자촉매(PEC) 반응에서는 전반적으로 분해율이 상승하였으며, 길이에 따른 분해율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튜브형태가 아닌 필름형태의 TNF는 TNT에 비해 낮은 분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광촉매 반응에서 분해율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교정용 와이어 및 브라켓에 이산화티탄 광촉매 코팅 시 코팅방법에 따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hysical properties of $TiO_2$ thin films according to a coating method on orthodontic wires and brackets)

  • 고은희;조진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51-464
    • /
    • 2006
  • 본 연구는 항 교정장치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이산화티탄 광촉매의 코팅 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시판되고 있는 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에 sol-gel법,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및 PE-CVD (Plasma Enhanced-CVD)법으로 이산화티탄을 각각 코팅한 다음 각 방법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 박막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코팅박막 표면의 거칠기를 관찰하였고 adhesive tape pull test를 이용하여 코팅박막의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메틸렌블루용액에 각 시편을 침지시킨 후 시간경과에 따른 메틸렌블루용액의 농도변화 측정을 통해 코팅박막의 분해능을 평가하였으며 불화나트륨 용액에 각 시편을 침지시킨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부식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불소화합물에 대한 내부식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코팅박막의 표면은 CVD법 및 PE-CVD법이 sol-gel법이나 코팅되지 않은 시편에 비해 더 매끄러웠다. 코팅박막의 접착강도는 PE-CVD법이 가장 높았고, CVD법, sol-gel법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코팅박막의 메틸렌블루 분해능은 PE-CVD법이 가장 높았고, CVD법, sol-gel법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코팅박막의 불소화합물에 대한 내부식성은 CVD법 및 PE-CVD법이 sol-gel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정용 와이어 및 브라켓의 이산화티탄 광촉매 코팅 시 CVD법 및 PE-CVD법이 sol-gel법보다 적절한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Fe-ACF/TiO2 복합체의 특성화와 가시광선조건에서 MB 용액의 광촉매활성 (Characterization of Fe-ACF/TiO2 composite and photocatalytic activity for MB Solution under visible light)

  • 장간;맹칙달;오원춘
    • 분석과학
    • /
    • 제23권3호
    • /
    • pp.225-232
    • /
    • 2010
  • 본 연구에서 종래의 졸-겔법을 사용하여 Fe-ACF/$TiO_2$ 광촉매 복합체를 제조하였고, 이들 광촉매의 분해능은 메틸렌블루 (MB) 용액의 분해에 의하여 나타내었다. 제조된 이들 복합체에 대한 입자크기, 표면구조, 결정상 및 원소분석을 BET, SEM, XRD 및 EDX에 의하여 각각 특성화 하였다. 가시광선 조건에서 분해된 MB 농도에 대한 스펙트라는 UV/Vis 분광기에 의하여 얻어 졌다. 이와 같이 얻어진 스펙트라는 MB의 제거된 농도로부터 광촉매 활성을 입증하였다. 이들 광촉매 활성은 가시광선 조건에서 복합체 광촉매 내에 존재하는 ACF, $TiO_2$ 및 Fe 사이에 강력한 시너지 반응에 의해 유도된 것으로 여겨진다.

Co-ACFs/TiO2 복합체의 제조 및 그의 메틸렌블루의 광분해 (Preparation of Co-ACFs/TiO2 composites and its photo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 오원춘;권호정;진명량;장봉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031-3038
    • /
    • 2009
  • 코발트 적재된 활성탄소섬유(ACFs)는 이산화티탄($TiO_2$) 광촉매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을 발전되었다. Co-ACFs/$TiO_2$ 광촉매는 SEM, XRD, EDX 및 UV-vis 분광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Co-ACFs/$TiO_2$ 광촉매에 대한 메틸렌불루(MB)의 분해 효과는 300분 반응해서 거의 100%를 도달하였다. 용액에 있는 MB 분자들은 ACFs의 흡착에 의해 $TiO_2$ 입자의 주위에 응축한다고 가정되었다. 그래서 이 광촉매 복합체는 MB 광분해에 대한 활성탄의 흡착성과 $TiO_2$의 광촉매 특성의 결합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코발트가 전자 천이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MB 용액의 광분해가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속 침적처리에 따른 입상활성탄의 페놀흡착 (Adsorption of phenol on metal treated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 강광철;김진원;권수한;김승수;백민훈;최종원
    • 분석과학
    • /
    • 제20권3호
    • /
    • pp.193-19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금속침적처리에 의한 입상활성탄의 페놀흡착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금속침적 용액으로는 질산코발트와 질산아연용액을 사용하였다. 77K에서의 질소 흡탈착 특성을 통한 비표면적 및 포어 구조를 측정하였다. 페놀 흡착량 및 흡착속도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요오드흡착 용량은 금속 침적 처리되지 않은 활성탄보다 코발트 금속이 침적된 코발트침적 활성탄이 크게 흡착됨을 알 수 있다. 코발트 침적 활성탄은 중기공이 발달되었고, 이것은 메틸렌블루와 같은 고분자 물질의 흡착에 다른 흡착제보다 효과적이다. 페놀 흡착용량은 금속 침적활성탄의 금속 침적에 따른 비표면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Co-GAC>Zn-GAC>R-GAC 순서로 측정되었다.

S-PRG filler를 함유한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항우식효과 (Microleakage and Anticariogenic Effect of S-PRG Filler-containing Pit and Fissure Sealant)

  • 신승우;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7-252
    • /
    • 2013
  • 치면열구전색은 생물막의 축적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며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되는 산물질에 화학적 장벽 역할을 한다. 1999년 S-PRG(Surface reaction-type pre-reacted glass ionomer) 필러기술이 개발되었는데 S-PRG 필러는 수분 존재 하에서 스스로 분해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불소유리가 가능하다. 이에 저자는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인접 법랑질에 대한 항우식 효과를 기존의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건전한 소구치, 대구치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다. S-PRG 필러를 함유해 불소를 유리하는 치면열구전색제 Beautisealant$^{(R)}$(Shofu, Japan)를 실험군으로,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R)}$(3M ESPE, USA)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미세누출실험을 위해 실란트 변연 1 mm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에 손톱광택제를 2회 도포 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수세하였다. 항우식효과의 평가는 인공우식용액에 9일간 보관 후 수세 후 시행하였다. 수세한 시편들은 투명레진에 매립 후 현미경 관찰을 위해 절단하였다. 통계분석은 미세노출의 정도는 Chisquare test를, 측정된 우식의 깊이는 Mann-Whitney test를 이용해 두 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S-PRG 치면열구전색제와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S-PRG 치면열구전색제는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보다 더 높은 항우식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접착시스템을 이용하여 섬유 강화형 포스트로 수복한 치아에서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f microleakage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restored with different adhesive systems and fiber-reinforced posts)

  • 박준호;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74-81
    • /
    • 2014
  • 연구 목적: 포스트로 수복한 치아의 미세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술식이 개발되고 있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접착시스템을 이용하여 섬유 강화형 포스트로 수복한 치아에서의 치근부 미세누출에 대해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근관치료된 상악 영구 중절치를 3가지 포스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Zirconia-glass fiber, Quarze-glass fiber, Polyethylene fiber 포스트. 포스트 공간이 형성되었고 각 포스트는 세가지 접착시스템으로 접착되었다: 3-stage total-etch adhesive, 2-stage total-etch adhesive, 1-stage self-etch adhesive. 각 시편들을 2% 메틸렌 블루 용액에 1주일 동안 담구었다. 세척한 시편을 자가중합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하였다. 각 시편을 치근단, 중앙, 치관 부위로 수평 절단하였다. 메틸렌 블루가 침투된 각 시편의 절단부를 교합면 측에서 stereomicroscope로 측정하였다. 시료 침투량은 메틸렌 블루 침투 표면과 총 상아질 표면의 비율로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절단부위에서 모든 군들은 미세 누출을 보였다. 각 절단 부위별로 접착 시스템에 따른 포스트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ll Bond 2로 접착한 3단계 접착시스템으로 처리한 치아 중앙절편에서 zirconia-glass fiber와 quarze-glass fiber 포스트 간, zirconia-glass fiber와 polyethylene fiber 포스트 간, quarze-glass fiber와 polyethylene fiber 포스트 간에 미세누출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각각의 포스트의 치근단과 치관 부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quarze-glass fiber와 polyethylene fiber 포스트에서 치근단과 중앙 부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포스트 종류에 따른 접착 시스템 간에 미세누출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절단 부위별로 접착 시스템에 따른 포스트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유일하게 3단계 접착시스템으로 처리한 포스트의 중앙절편에서 zirconia-glass fiber가 다른 포스트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Maghnia 산 Montmorillonite 수용액으로부터 양이온 염료의 제거 비교연구 (Comparison Study on the Removal of Cationic Dyes from Aqueous Suspension of Maghnia Montmorillonite)

  • Elaziouti, A.;Laouedj, N.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00-309
    • /
    • 2010
  • 대상 수용액으로부터 상업용 염료인 메틸렌 블루(MB)와 말라카이트 그린 옥살레이트(MG)의 제거를 위한 소듐-교환된 점토 입자의 흡착능을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용액의 pH, 교반 시간, 흡착물 농도, 흡착제 투여량 등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pH 7, 298 K 조건에서 0.03 그람 점토를 사용한 경우 수용액으로부터 최대 > 90%의 염료가 제거되었다. 흡착과정은 빨랐으며 5분 내에 평형에 도달하였다. 사용된 염료들의 흡착반응에 대해 반응속도론 실험에서 유사 2차반응이 관찰되었고 실험 데이터와 잘 일치하였다. 흡착평형은 높은 회귀계수 $R^2$ > 0.98로 Langmuir 와 Dubini-Radushkevich (D-R) 등온에 따랐다. 이 D-R 모델로부터 평균자유에너지 $E_a$ 는 MB와 MG 염료에 대해 각기 3.779와 2.564가 이었으며, 이것은 물리적 흡착과 정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