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디시티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09초

도시 브랜드 개발을 통한 도시 이미지 구축에 대한 연구 - '메디시티 대구'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Process of Making City Image by Developing a New City Brand : A Case of 'Medicity Daegu')

  • 윤옥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26-737
    • /
    • 2011
  •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새로운 도시 브랜드인 '메디시티 대구'의 등장 과정을 살폈다. 또한, 이 연구는 또한 '메디시티 대구'라는 브랜드가 가지는 수동적인 장소 이미지와 능동적인 장소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수동적인 장소 이미지는 이 도시 브랜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파악되었다. 반면에, 능동적인 장소 이미지는 도시 당국과 홍보관계자들이 이 브랜드를 통해 구축하려는 도시 이미지 전략과 더불어 이미지 구현을 위한 경관과 이벤트 등을 통해 파악되었다. 대구광역시는 '메디시티'라는 새로운 도시 이미지를 이용하여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도와 달리 새로운 도시 이미지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의료산업이나 의료서비스를 도시이미지로 내세우는 다른 도시들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 PDF

대구광역시의 인구밀집과 거리에 따른 응급실 접근성 (Emergency Room access by Population Density and distanc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김명관;한승우;김기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18-2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인구밀집과 거리에 따른 응급실 접근성을 분석하여 메디시티를 지향하는 대구광역시의 응급의료 접근성 문제점 개선 및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했다. 지리적인 요건을 보기 위해 3km 반경을 기준으로 읍면동 인구수와 이용가능 응급실수, 인구 대비 이용가능 응급실수를 통계청의 S-GIS를 통해 Mapping하여 데이터 시각화했다. 대구광역시 구군별 명확한 응급실 접근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ANOVA와 사후검정인 Scheffe을 시행했다. 반경 3km 이내 대구광역시 구별 이용가능 평균 응급실수를 보면 중구 5.7개, 남구 5.0개, 북구 1.6개, 동구 0.4개, 서구 2.4개, 수성구 0.9개, 달서구 3.5개, 달성군 0.1개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km 반경 이내의 이용가능 응급실수와 인구 천명당 이용 가능한 응급실수는 중앙에 집중되어 있었다. 중앙에서 먼 곳의 시민들에게 응급의료 제공을 위해 중간 허브역할을 하는 지점을 설정하여 도시 응급의료 연계망 구축이 필요할 수 있다.

<사례보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과 로컬 거버넌스 - 2020년 대구광역시 유행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Field Action Report> Local Governance for COVID-19 Respon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이경수;이중정;김건엽;김종연;황태윤;홍남수;황준현;하재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9권1호
    • /
    • pp.13-36
    • /
    • 2024
  • 이 사례보고의 목적은 1) 대구광역시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병 위기 대응 사례를 통해 지역사회의 감염병 대응 전략과 성과를 분석하고, 2) 거버넌스 이론과 감염병을 이용한 대응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이번 사례를 해석하는 것이다. 3) 향후 지역사회 감염병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자의 참여적 관찰, 대구광역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서, 대구광역시의사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서, 국내외 거버넌스에 관한 문헌고찰, 행정자료를 통해 대구광역시의 감염병 위기 대응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참여관찰과 문헌고찰을 통해 1) 대구광역시 감염병 위기 대응을 위한 리더십 및 지휘체계 확립, 2) 범시민대응위원회를 통한 시민참여 및 소통전략, 3) 시민 간 협력 대구시 및 민관의료기관 거버넌스, 4) 대구광역시의료협회, 메디시티대구협의회, 민간 전문가의 참여와 소통을 통한 의사결정 및 위기대응, 5) 증상모니터링 및 환자 중증도 분류 전략 6)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의료 대응 역량, 7) 지역 감염병 위기대응 정보시스템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전략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시민, 민간 전문가, 지역사회의료기관 등이 참여하는 지역사회의 협력적 거버넌스가 감염병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핵심 요소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