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멀티모달 질의응답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Fusion-in-Decoder for Open Domain Multi-Modal Question Answering (FiD를 이용한 멀티 모달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 Eunhwan Park;Sung-Min Lee;Daeryong Seo;Donghyeon Jeon;Inho Kang;Seung-Hoon N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95-99
    • /
    • 2022
  •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ODQA,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은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업으로서 질문과 관련있는 지식을 찾는 "검색" 단계를 필요로 한다. 최근 이미지, 테이블 등의 검색을 요구하는 멀티 모달 ODQA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산업에서의 중요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여러 종류의 멀티 모달 ODQA 중에서도 테이블 - 텍스트 기반 멀티 모달 ODQA 데이터 집합으로 Fusion-in-Decoder (FiD)를 이용한 멀티 모달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연구를 제안하며 베이스라인 대비 최대 EM 20.5, F1 23.2 향상을 보였다.

  • PDF

MMA: Multi-modal Message Aggregation for Korean VQA (MMA: 한국어 시각적 질의응답을 위한 멀티 모달 메시지 통합)

  • Park, Sungjin;Park, Chanjun;Seo, Jaehyung;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468-472
    • /
    • 2020
  • 시각적 질의응답(Visual Question Answering, VQA)은 주어진 이미지에 연관된 다양한 질문에 대한 올바른 답변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컴퓨터 비전-자연어 처리 연구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질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주어진 이미지에서 관련 단서 정보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서로 이질적인 특성을 지닌 정보(이미지 객체, 객체 위치, 질문)를 통합하는 과정도 중요하다. 본 논문은 질문의 의도에 알맞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멀티 모달 입력 이미지 객체, 객체 위치, 질문)에 대한 Multi-modal Message Aggregation (MMA) 제안하며 이를 통해 한국어 시각적 질의응답 KVQA에서 다른 모델보다 더 좋은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Transfer Learning-based Multi-Modal Fusion Answer Selection Model for Video Question Answering System (비디오 질의 응답 시스템을 위한 전이 학습 기반의 멀티 모달 퓨전 정답 선택 모델)

  • Park, Gyu-Min;Park, Seung-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48-553
    • /
    • 2021
  • 비디오 질의 응답은 입력으로 주어진 비디오와 질문에 적절할 정답을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정보처리가 요구되는 대표적인 multi-modal 문제이다. 질의 응답 시스템은 질의 응답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서로 다른 응답 모듈을 사용하기도 하며 생성된 정답 후보군 중 가장 적절할 정답을 선택하는 정답 선택 모듈이 필요하다. 정답 선택 모듈은 응답 모듈의 서로 다른 관점을 고려하여 응답 선택을 선택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응답 모듈이 black-box 모델인 경우 정답 선택 모듈은 응답 모듈의 parameter와 예측 분포를 통해 지식을 전달 받기 어렵다. 그리고 학습 데이터셋은 응답 모듈이 학습에 사용했기 때문에 과적합 문제로 각 모듈의 관점을 학습하기엔 어려우며 학습 데이터셋 이외 비교적 적은 데이터셋으로 학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답 선택 성능을 높이기 위해 전이 학습 기반의 멀티모달 퓨전 정답 선택 모델을 제안한다. DramaQA 데이터셋을 통해 성능을 측정하여 제안된 모델의 우수성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ctive Multi-modal Presentation System (능동적 멀티모달 프르젠테이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손문식;이지근;이은숙;김희숙;정석태;정성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61-664
    • /
    • 2002
  • 최근 인터넷의 대중화와 웹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친화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위하여 캐릭터 에이전트를 이용한 멀티모달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멀티모달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은 정보제공자의 일방적인 프리젠테이션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청중과의 쌍방향 통신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와 청중 사이에 질의와 응답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능동적 멀티모달 프리젠이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 PDF

R3 : Open Domain Question Answering System Using Structure Information of Tables (R3 : 테이블의 구조 정보를 활용한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

  • Deokhyung Kang;Gary Geunba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55-460
    • /
    • 2022
  •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에서 질의에 대한 답변은 질의에 대한 관련 문서를 검색한 다음 질의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는 검색된 문서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진다. 문서내의 테이블이 질의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는 주로 문서의 텍스트 부분만을 검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에 테이블과 텍스트를 모두 고려하는 질의응답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테이블의 구조적 정보가 손실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테이블의 구조적 정보를 모델의 추가적인 임베딩을 통해 활용한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인 R3를 제안한다. R3는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데이터셋인 NQ에 기반한 새로운 데이터셋인 NQ-Open-Multi를 이용해 학습 및 평가하였으며, 테이블의 구조적 정보를 활용하지 않은 시스템에 비해 더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CLAL: In-Context Learning-Based Audio-Language Multi-Modal Deep Learning Models (ICLAL: 인 컨텍스트 러닝 기반 오디오-언어 멀티 모달 딥러닝 모델)

  • Jun Yeong Park;Jinyoung Yeo;Go-Eun Lee;Chang Hwan Choi;Sang-Il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514-517
    • /
    • 2023
  • 본 연구는 인 컨택스트 러닝 (In-Context Learning)을 오디오-언어 작업에 적용하기 위한 멀티모달 (Multi-Modal) 딥러닝 모델을 다룬다. 해당 모델을 통해 학습 단계에서 오디오와 텍스트의 소통 가능한 형태의 표현 (Representation)을 학습하고 여러가지 오디오-텍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모달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모델은 오디오 인코더와 언어 인코더가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언어 모델은 6.7B, 30B 의 파라미터 수를 가진 자동회귀 (Autoregressive) 대형 언어 모델 (Large Language Model)을 사용한다 오디오 인코더는 자기지도학습 (Self-Supervised Learning)을 기반으로 사전학습 된 오디오 특징 추출 모델이다. 언어모델이 상대적으로 대용량이기 언어모델의 파라미터를 고정하고 오디오 인코더의 파라미터만 업데이트하는 프로즌 (Frozen) 방법으로 학습한다. 학습을 위한 과제는 음성인식 (Automatic Speech Recognition)과 요약 (Abstractive Summarization) 이다. 학습을 마친 후 질의응답 (Question Answering) 작업으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정답 문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으나, 음성인식으로 사전학습 한 모델의 경우 정답과 유사한 키워드를 사용하는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생성함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