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먹는 물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2초

제주물을 이용한 기능성 및 혼합음료의 개발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the Functional and Mixed Drinks using the Jeju Water)

  • 고성보;현창석;강경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133-2141
    • /
    • 2011
  • 세계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주변 환경은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다. 2012년 세계기능성 음료시장은 269억달러 규모, 아태지역 시장은 136억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먹는 샘물 시장은 2008년 4,400억원 규모를 형성하고 있고, 제주삼다수의 매출액은 891억원이다. 그러나 "제주삼다수"라는 브랜드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제주물의 품질 우수성을 알리는 포괄적인 광고가 필요하며, 제주 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혼합음료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제주워터(Jeju Water)라는 글로벌 통합브랜드 개발이 필요하다. 기능성 및 혼합음료 제품개발시 제주지역의 농산물의 기능성을 적극 활용해 물산업과 제주의 1차산업을 연계해 농산물의 과잉생산 처리와 고부가가치화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양계 급수용 구면 피스톤 니플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f Sphere Faced Type Piston Nipple for Water Feed of Poultry)

  • 김기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961-967
    • /
    • 2007
  • 양계 농장의 자동화 시설 중 닭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는 닭 사육을 위한 가장 중요한 시설중의 하나이다. 이 장치 부품 중 급수 니플은 닭이 직접 물을 먹는 장치이며 그 내부에 체크 밸브가 있어 물 공급 시에는 열리고 물을 먹지 않을 경우는 닫히게 된다. 니플의 종류는 피스톤 니플과 볼 니플로 나누워지며 볼 니플은 니플 스틱의 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낙수의 차단이 잘되는 장점이 있으나 복잡한 구조를 갔고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피스톤 니플은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대부분 상하운동만 가능한 단점이 있다 최근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피스톤 니플에 밸브 시트면을 구 형태로 제작하여 피스톤 형식이면서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 하도록 한 구조(이하 : 구면 피스톤 니플)가 개발 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최근 관심을 갖게된 구면 피스톤 니플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국내외 기존 제품인 볼 니플 및 피스톤 니플과 성능을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면 피스톤 니플의 성능은 기존 피스톤 니플 보다는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볼 니플과는 유사한 성능임을 확인하였다.

  • PDF

임지이용이 계류의 수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A Change of the Stream Water Quality by Forest Land Use)

  • 마호섭;구소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43-48
    • /
    • 2002
  • 순수산림으로 존재하고 있는 소나무림과 밤나무재배 등으로 임지를 이용하고 있는 밤나무림 그리고 밤나무 재배 후의 휴경지 등 3개 조사구(소나무, 밤나무I, 밤나무II임분)에서 비점오염원으로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계류수를 조사하여 임지이용에 따른 수질변화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 임분의 계류수 pH는 소나무임분(pH 6.59)>밤나무II임분(pH 6.53)>밤나무I임분(pH 6.47)계류수 순으로 나타났다. 2. 전기전도도는 밤나무I임분>소나무임분>밤나무II임분 계류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양이온은 세 임분의 계류수 모두 $Ca^{2+}$, $Na^{2+}$, $Mg^{2+}$, $K^+$, ${NH_4}^+$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음이온은 소나무임분과 밤나무II 임분 계류수에서는 ${SO_4}^{2-}$, $Cl^-$, ${NO_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밤나무I 임분 계류수에서는 ${NO_3}^-$, ${SO_4}^{2-}$, $Cl^-$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5. 소나무, 밤나무II임분 계류수는 pH, ${NH_4}^+$, ${NO_3}^-$, $Cl^-$, ${SO_4}^{2-}$이 먹는 물 수질기준 범위내에 있었다. 그러나 밤나무I임분 계류수에서 5항목 중 ${NO_3}^-$는 먹는 물 수질기준을 넘어서는 범위에 있어 임지이용에 따른 하류수질의 오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류지역에서 오염원 차단을 위한 수질정화시설 등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도산화와 정밀여과의 혼성공법을 이용한 유기화학물질의 분해 및 제거분석에 관한 연구 - 먹는 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ssolve and Remove Analysis of Organic Chemicals Using a Mixed Method of Advanced Oxidation and Micro Filtering - Water Drinking Point -)

  • 안태영;전상호;안태석;한미애;허장현;박미영
    • 멤브레인
    • /
    • 제17권2호
    • /
    • pp.99-111
    • /
    • 2007
  • 먹는 물 내에 존재하는 발암원인으로 의심되는 유기화학물질을 재래식 정수처리방법으로 제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들을 AOP산화 & M/F membrane 혼성공정법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처리수로 처리하고자 지하수를 반응조에 유효용량으로 유입하고 유기화학물질을 인위적으로 투입 혼합하여 충분히 희석시키고 이것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최적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유기 화학물질 중 VOCs는 페놀과 톨루엔을 그리고 농약은 파라치온, 다이아지논과 카바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은 각각 분류별 단일용액과 혼합용액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충분한 분해 및 제거를 위한 운전조건은 $H_2O_2$는 150 mL로 정량 주입하고, pH는 $5.5{\sim}6.0$, 온도는 $12{\sim}16^{\circ}C$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용존오존량은 5.0 mg/L이상, 반응시간은 $30{\sim}40$분이 최적 조건이었으며 그리고 같은 반응기 내 분리막의 사용은 $0.45{\mu}m$ 공경크기의 M/F membrane을 이용하여 대량의 음용수를 얻기 위한 결정이었다.

한국산 Tipula속(파리목 : 각다귀과) 3종의 생태 (Biology of Three Species of the Genus Tipula (Diptera: Tipulidae) in Korea)

  • 김동상;이종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1-212
    • /
    • 2007
  • 한국산 Tipula속에 속하는 Tipula latemarginata Alexander (애아이노각다귀), T. nova Walker (애잠자리각다귀), T. aino Alexander (아이노각다귀)3 종의 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봉화군 내성천 유역의 3개 지점에서 야외 조사와 함께 실험실에서 사육 실험을 병행하였다. 유충은 계류, 하천, 논, 습한 땅 또는 물이 새어나오는 옹벽 등에서 서식했으며, 부화 직후의 1령기 유충은 물 속에서 연한 조류 (algae)를 섭식하나 성장하면서 여러 종류의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딱딱한 낙엽 조각 등을 먹는 초식성으로 조사되었다. 탈피 시 유충은 몸을 좌우상하로 계속 움직이며, 탈피에 소요되는 시간은 2시간 이내였고, 탈피 후 4시간 정도 지나면서 왕성한 섭식 활동을 보였다. 유충은 용화 시기가 되면 물에서 흙으로 상륙하여 용이 되었으며, 4령기에서 $1{\sim}2$ 일 이내의 짧은 전용 단계를 거쳤다. 용은 우화 시, 두흉부는 흙 위로 내 놓고 몸 아래 부분은 흙 속에 넣은 상태로 우화하였으며, 용소 (pupal case) 에서 성충으로 우화되는데 약 20 분에서 1시간 정도 걸렸다. 우화 후 약 $5{\sim}7$분 후에 교미를 하였으며, 약 40 분 정도 교미 상태가 지속되었다. 암컷 성충은 물기가 많은 질퍽한 흙이나, 조류 충(algal bed) 위에 산란하였으며, 몸통은 지면에 수직으로, 날개는 $120^{\circ}$각도로 편 상태에서 3 쌍의 다리로 지면 위를 걸어 다니면서 산란했다. 산란은 보통 우화 후 $1{\sim}4$일 사이에 일어났으며, 암컷 성충 1개체 당 평균 $501{\sim}760$ 의 알을 보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충은 일반적으로 먹이를 먹지 않고 가끔 불만 먹었으며, 사육한 개체의 경우, 우화 후 처음에는 물을 잘 먹지 않았으나, 수명이 다 되어갈수록 물을 자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충은 여름철에 물만 주고 사육하면, 그 수명이 $4{\sim}9$ 일 정도였으며, 수컷의 수명이 암컷보다 조금 더 길었다. T. nova는 3% 설탕물로 사육하면 물로 사육한 경우보다 수명이 3배 이상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비는 T. latemarginata의 경우, 야생 상태에서 수컷 대 암컷의 비가 2.6 : 1 로 수컷이 훨씬 많았다.

화재진압시 빗물이용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Use of Rainwater During Fire Suppression)

  • 구동욱;신호준;백민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91-191
    • /
    • 2011
  • 최근 빗물이 우리가 앞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이라는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와 함께 빗물이용이 더욱 요구되어졌다. 특히 빗물의 이용 저류 침투를 목적으로 하는 우수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운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반해 화재발생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 증가는 소방력 활동의 증가로 귀결되는데 현장활동 인력과 장비 그리고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는 소방용수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빗물을 소방용수로 즉, 화재진압시 활용 가능성과 수자원 절약, 화재 사각지역 해소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통계분석, 현장조사, 기존 빗물이용시설 및 향후 완공 예정인 우수유출저감시설 활용과 소방용수 미설치 지역과 소방관서 옥상에 빗물이용시설 설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공공서비스 확대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 빗물이용시설을 소방용수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빗물이용시설의 주 용도로 조경용수, 청소용수, 소방용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수 측면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면 소방용수로서 이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해당 건물관계자나 소방대원들이 빗물이용시설을 인식을 못하고, 사용과 접근성 불편으로 상수도와 연결된 소화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둘째, 상수도시설이 없는 지역은 빗물이용으로 소방용수를 확보해야 한다. 섬, 산간, 고지대, 농촌지역 등 상수도 서비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은 화재발생시 수원확보곤란으로 인명과 재산피해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공서비스 확대차원에서 화재 사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지붕면을 이용한 각 가정마다 또는 공동 빗물저장소와 지형의 비탈면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설치로 소방용수 확보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셋째, 소방관서 신설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하여 설치한다. 화재통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소방차 출동대기부터 화재진압까지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부분 먹는 물 즉, 상수도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수자원 절약과 화재진압에 사용된 물은 재생 불가능이라는 환경보전 측면에서 빗물이용으로 해답을 찾아본다. 따라서 빗물을 많이 저장할 수 있도록 옥상, 부지 등 집수면적을 확대하고 이에 적합한 저류시설을 갖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한다. 끝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이 중요한 만큼 빗물을 소방용수로 활용하고자 할 때는 언제 어디에서나 현장 접근성, 사용 편리성, 충분한 수량을 고려해야한다.

  • PDF

서울특별시 지하철 A설계구간에서의 지하수 수질 및 오염특성 (Ground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in the 'A' section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 이병선;우남칠
    • 지질공학
    • /
    • 제12권4호
    • /
    • pp.379-394
    • /
    • 2002
  •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 지하철 A설계구간에서, 현재 시점의 지하수 수질 및 오염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지하철 공사로 인한 수질 악화 발생시, 이에 과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설계구간을 따라 총 21개 시추공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배경수질은 주로 $Ca-HCO_3$ 유형으로 나타났다. 전체시료 가운데,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시료는 1개이며, 나머지 20개 시료는 $SO_4$, Cd, Pb, Fe, Mn, Al, F, $NO_3-N$ 등이 먹는 물 수질 기준치를 초과하여 있었다. 오염의 형태는 일부 시료에서 몇몇 화학 원소의 농도가 나머지 시료에서의 농도보다 크게 나타나는 점오염의 형태를 띄었다. 화학분석 자료와 포화지수 분석을 통하여, 지하에 매립된 물질과 지표 퇴적물이 일차적인 오염원임을 추정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연구지역 내 지하수 시료의 수리화학적 특성의 약 47%가 오염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산화와 정밀여과막 혼성공정을 이용한 먹는 물에 존재하는 발암원인으로 의심되는 유기화학성분의 분해 및 제거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solve and Remove Analysis of Pollutants in Drinking Water by Suspected Cancer Causing Organic Chemicals using AOPs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 M/F Hybird Process)

  • 안태영;박미영;허장현;전상호;한미애;안윤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3-200
    • /
    • 2007
  • The AOPs research defined by creating a sufficient amount of OH radicals from the dissolution of organic materials through photoxidation and research for a complete elimination of residual organic materials by membrane are actively ongoing.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hybrid processing of AOPs and M/F membrane to dissolve and eliminate organic chemicals in drinking water which are suspected of carcinogens. For this purpose, underground water was used as a source of drinking water for the hybrid processing of AOPs oxidation and M/F membrane, and a pilot plant test device was installed indoor. Carcinogenic chemicals of VOCs and pesticide were artificially mixed with the drinking water, which was then diluted close to natural water in order to examine treatment efficiency and draw optimal operation conditions. The samples used for this experiment include four chemicals phenol, chloroform, in VOCs and parathion, carbaryl in pesticid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conducted with simple, and compound solutions, the conditions to sufficiently dissolve and eliminate carcinogenic chemicals from the hybrid processing of where carcinogens were artificially added are : (hydrogen peroxide) prescribed solution 100 mg/L under pH 5.5~6.0, and the temperature $12{\sim}16^{\circ}C$, at the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d-O_3$ volume of 5.0 ppm and above and 30-40 minutes of reaction time are most appropriate and using MF/UF for membrane was ideal.

세포배양법과 PCR 방법에 의한 물에서의 폴리오 바이러스 검출 (Detection of Poliovirus in Water by Cell Culture and PCR Methods)

  • 조연희;이찬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8-204
    • /
    • 2002
  • 폴리오 바이러스는 전형적인 장관계 바이러스로 마비, 무균성 수막염, 뇌염 등을 유발한다. 폴리오 바이러스는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되며, 오염된 물을 음용수로 사용할 시 공중 보건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먹는 물에서 폴리오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것은 중요하다. 감염성이 있는 바이 러스와 불활성화(열처리와 자외선 처리)시킨 바이러스를 세포배양법,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그리고 세포배양-중합효소 연쇄반응 통합법(integrated cell culture-PCR: ICC-PCR)으로 검출 실험을 했다. 감염성이 있는 폴리오 바이러스는 세 가지 방법으로 모두 검출이 되었으며, 이 중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하는데 ICC-PCR 방법이 가장 민감했다. 세포배양법은 적은 수의 바이러스를 검출하는데 약 2주의 긴 시간이 걸렸다. 열처리나 자외선 처리로 불활성화된 바이 러스는 세포배양과 ICC-PCR방법으로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자외선 처리한 바이러스는 RT-PCR 방법으로 검출되지 않았으나 열처리한 바이러스는 검출되었다. RT-PCR 방법은 감염성 바이러스뿐 아니라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감염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구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감염성 있는 바이러스를 가장 민감하고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이 ICC-PCR 방법이라는 것을 제시하여 준다.

옥천계변성암 지역의 먹는샘물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Hydrochemistry of Groundwater at Natural Mineral Water Plant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 추창오;성익환;조병욱;이병대;김통권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93-107
    • /
    • 1998
  • 옥천계변성암 지역에 분포하는 15개 먹는샘물 업체의 지하수 원수의 수질은 다른 지역의 지하수와는 상이한 특성을 보여준다. 특히 전기전도도, 경도, Ca, Mg, $HCO_3$는 전국의 여러 지역중에서 가장 높다. 대부분의 업체의 지하수의 양이온 함량비는 Ca>>Mg, Na>K의 순이며, 음이온의 함량비는 $HCO_3$>$SO_4$>Cl>F의 순을 보인다. 특히 중탄산의 함량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높으며 수질유형은 Ca-Mg-$HCO_3$>Ca-$HCO_3$>Ca-Na-$HCO_3$순으로 나타난다. 옥천계변성암 지역의 지하수는 대체로 탄산염의 용해작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원소별 상관계수는 Mg-$HCO_3$가 0.92로서 가장 높으며 Ca-$HCO_3$(0.88), Ca-Mg(0.80), Ca-Cl(0.78), Mg-$SO_4$(0.78), Ca-$SO_4$(0.71) 등도 비교적 좋은 상관계수를 보인다. 이같은 현상은 탄산염 석고나 경석고의 용해작용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Ca와 EC간의 관계는 결정계수(determinative coefficient)가 R2=0.87인데 비하여, EC와 (K+Na+Ca)원소 전체의 관계는 결정계수가 R2=0.89로서 EC에 대한 Ca의 기여도는 주요 양이온들 가운데서 가장 크다. Ca와 HCO$_3$, Ca와 Mg간의 결정계수는 양호한 편인데, 이들은 서로 화학적 관련성을 가지면서 거동함을 나타낸다. 실리카 상들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지하수는 방해석의 포화도에 가장 근접한 상태를 보여 주며 돌로마이트도 점차 포화상태에 가까워 지고 있다. 그러나 석고, 경석고, 형석에 대하여는 불포화정도가 다소 큼을 나타낸다. 탄산염은 물-암석과의 반응이 어느 정도 더 진행되면 곧 포화상태에 도달하게 되어 더 이상 지하수의 수질화학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