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맥락적 탐구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의 상호작용 양식에 따른 반성적 탐구양식의 특징

  • Park, Mi-Ra;Jeong, Jin-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31-244
    • /
    • 2005
  • 이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활동을 학생들의 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반성적 탐구활동이 교육과정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소그룹내의 상호작용특성에 따라 반성적 탐구양식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이 어떤 반성적 탐구양식을 보이며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관한 이해를 제공하고, 수업속의 맥락은 이러한 반성적 탐구학습을 증진시키고 억압하기위해서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로 소그룹을 이용한 탐구활동 수업과 반성적 탐구활동수업 중 반성적 에피소드의 차이가 있는가, 소그룹내의 그룹상호작용의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유형의 차이는 있는가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 기존의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의거한 탐구활동수업 4차시, 반성적 탐구교육과정 수업 4차시를 각각 실시하고 수업을 녹화 전사해서 언어행동 분석틀과 반성적 탐구의 3가지 맥락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교육과정 모두 도입에서 두 교육과정 모두 A-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전형적으로 자주 나타나며, 반성적 탐구 교육과정수업에서는 AD-SR가 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과제활동초기에 역할 분담과 과제 활동의 전략을 세우며, 전략을 세울 때 영역개념을 이용하는 것을 안수 있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 수업에서는 반성적 탐구진술이 간단하고 계획과정이 짧으며, 주로 과제 맥락 내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부분에서는 두 교육과정모두 DI-DP, DI-A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나 자료 항목과 자료 패턴 그리고 인공물과 관련시키는 반성적 탐구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반성적 교육과정수업에서는 대체로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과 과제 맥락을 연결시키는 반성적 탐구가 잘 나타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주로 과제 맥락 내에서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단계에서는 반성적 교육과정 수업에서는 DC-DP가 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수업에서는 DC-DP DP-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활동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반성적 교육과정보다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을 더 자주 이용하고 다양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학습지의 활동이나 문제는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자료 패턴을 가지고 행동결정으로 연결짓는 활동이 명확히 제시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두 그룹의 상호작용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성향의 차이는 도입단계에서 그룹의 특징과 상관없이 A-AD,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왔으며 전개와 정리단계에서는 N그룹에서는 DP와 관련된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가 나오는 반면 M그룹에서는 이러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며, GN과 관련된 행동결정이 자주 보이고 있었다. 정리활동시 주로 하는 기록 활동에서 N그룹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비교 그룹에서는 서로 견제하고 확인하는 상호작용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

  • PDF

Students'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ve Inquiry Dispositions According to the Modes of Interaction of Small Group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Inquiry Class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의 상호작용 양식에 따른 학생들의 반성적 탐구의 특성)

  • Park, Mi-Ra;Jeong, Jin-Woo;Cheong,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6 no.7
    • /
    • pp.843-85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ubstance of the reflective inquiry of students and obtain educational suggestion to the inquiry class for the promotion of the reflective inquiry, by checking out which characteristics the reflective inquiry showed according to the modes of interaction of small group in highschool earth science inquiry class. The result of study is shown as follows. At the stage of developmentand conclusion, the reflective inquiry relating the task context to data context was often appeared on the group of the modes of comfort interaction, but it was very rare on the group of modes of confrontation interaction. And the reflective inquiry scale value of the latter was two times lower than the former, The comfort group showed much more reflective inquiry statements quantitatively and performed much more meaningful reflective inquiry relating the task context to the data context. The heterogeneous group in the inquiry ability and the cognitive style showed confrontation interaction modes in the affective domain, having the most negative influence on the reflective inquiry. The homogeneous group both in the cognitive style and the inquiry ability showed the comfort interaction mode, having positive int1uence on the reflective inquiry.

초임 중등 과학교사의 교수활동에서 나타나는 과학 내용에 대한 질적 연구

  • An, Yu-Min;Choe, Seung-Eon;Kim, Chan-J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69-275
    • /
    • 2005
  • 중등 교육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변인은 교사이며 교사의 자질 향상과 전문성 개발은 교육에 있어 중요한 화두이다.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보다도 교사의 가르치는 능력에서 확보되어야 하며 교과 내용 지식의 확보가 이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과 심층면담에서 드러나는 초임 교사의 내용 지식(knowledge), 실천 행위(practice), 의미 이해 전략(sense-making strategy)을 분석하여 교사의 과학 내용에 대한 전문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여섯 명의 중등 초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각각 두 차례의 수업 관찰과 구조화된 면담, 한 차례의 우선순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미시건 주립대학의 Knowles팀에서 개발한 분석틀을 사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교사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교사상에 따라 과학 교수 활동에 대해 다양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비전공 교과의 과학 내용 지식에 대해서는 다소 어려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대체로 교과서에 의존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과 교과서에 제시된 지도 방법에 크게 의존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교과서 수준의 개념을 중심으로 나열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다만, 교사가 스스로 재구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내러티브로 이끌어가려는 시도가 드러나기도 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요한 과학적 개념을 강조하고 그러한 개념을 반복하는 전략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일부 초임 교사의 사례에서는 적절한 비유와 예시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한편, 연구에 참여한 초임 교사들은 모두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사 양성 과정에서 교직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수업에서는 DC-DP DP-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활동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반성적 교육과정보다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을 더 자주 이용하고 다양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학습지의 활동이나 문제는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자료 패턴을 가지고 행동결정으로 연결짓는 활동이 명확히 제시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두 그룹의 상호작용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성향의 차이는 도입단계에서 그룹의 특징과 상관없이 A-AD,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왔으며 전개와 정리단계에서는 N그룹에서는 DP와 관련된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가 나오는 반면 M그룹에서는 이러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며, GN과 관련된 행동결정이 자주 보이고 있었다. 정리활동시 주로 하는 기록 활동에서 N그룹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비교 그룹에서는 서로 견제하고 확인하는 상호작용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과 외국어 자료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도 도움을 주었다.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정 ${\rightarrow}$ 분배 ${\rightarrow}$ 최대다수의 최

  • PDF

Reflective Inquiry Disposition: Students' Responses to Different Class Types of Inquiry-based High School Earth Science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수업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반성적 탐구의 특성)

  • Jeong, Jin-Woo;Park, Mi-Ra;Cheong,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8 no.1
    • /
    • pp.1-1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reflective inquiry disposition in the contexts of classroom and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the reflective inquiry activity in the inquiry-based clas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a characteristic of the reflection inquiry by examining students' responses showed in response to the different class types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inquiry clas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ly developed class type to promote the reflective inquiry and the existing inquiry class type was found significant. The newly developed reflective inquiry class had a multitude of reflective inquiry statements related to various elements of data context in terms of the quantity and diversity of the reflective inquiry.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newly developed class typ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reflective inquiry activity. We believe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nquiry activity to promote students' reflective inquiry is critical.

A model of Worksheets with Various Levels Considering Contexts and Inquiry of the Learning Tasks for Elementary Science Classes (학습 과제의 맥락과 탐구의 수준을 고려한 자연과 학습지 모형)

  • Lee, Myeong-Je;Lee, Je-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9 no.3
    • /
    • pp.448-460
    • /
    • 1999
  • Worksheets with various levels are major instructional material in open classroom, but sometimes they have been arbitrarily developed in elementaryschools. Especially, pedagogical elements of science course seem to have been neglected in developing science learning papers. To solve these problems, a model of worksheets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contextual nature of science knowledge and educational constructivism. The frame of this model is composed of inquiry skill and context, which are two dimensions of each learning task. The level of each worksheet was determined by the level of inquiry skills and the familiarity of contexts.

  • PDF

The Differences of Reflective Inquiry according to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Modes of Small Group in an Inquiry-based High School Earth Science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학습자의 특성과 상호작용 양식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차이)

  • Jeong, Jin-Woo;Park, Mi-Ra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3
    • /
    • pp.366-38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eflective inquiry according to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modes of small group in three contexts of the classroom and to obtain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using small group and teacher's intervention for an effective reflective inquiry. We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students' conversation in inquiry activities of small group with frameworks of linguistic behavior and three contexts of the classroom.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individual and group reflective inquiry could be affected by the relationship with peers more than their own characteristics.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3차원 틀 개발 및 적용 :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Park, Se-Gi;Lee, Gi-Ye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7-67
    • /
    • 2010
  • 과학교육에서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하여 과학사 도입의 중요성이 계속 강조되어 왔다. 이에 따라 과학 교과서에는 많은 과학사 자료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가 어떤 유형과 맥락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3차원 틀을 개발하고, 이를 제 7차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내용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개발된 분석틀은 수업맥락, 역할, 제시유형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된다. 수업맥락 차원은 흥미, 사회-문화적, 인식론적, 개념적 맥락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되며, 제시유형 차원은 에피소드/일화, 발견/고안, 선형적인 발전, 역사적 실험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역할 차원은 기본적, 보충적, 탐구적의 3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3차원 분석틀을 적용하여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수업맥락 차원에서는 개념적 맥락의 과학사 자료가 모든 학년별 과학 교과서에서 가장 많았다. 역할 차원에서는 기본적 역할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탐구적 역할의 경우에는 매우 적었다. 제시유형 차원에서는 발견/고안과 선형적인 발전 유형이 대부분이었고, 에피소드/일화 유형의 자료는 주로 흥미 맥락과 연계되어 극히 일부만 사용되고 있었다. 3차원 각 영역들을 48개의 조합으로 분석한 결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발견/고안 유형'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선형적 발전 유형' 2개 조합에 집중되었으며, 나머지 조합들의 빈도는 매우 낮았다. 전체적으로 3차원 분석틀 각 영역에 부합하는 과학사 자료가 과학 교과서에 다양하게 포함되지 못하고 일부 영역에만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양한 수업맥락, 역할, 그리고 유형으로 과학사 자료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Interaction Patterns in Dialogic Inquir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 Jung, Won-Young;Lee, Joo-Youn;Park, Eun-Ji;Kim, Chan-Jong;Lee, S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7
    • /
    • pp.909-927
    • /
    • 2009
  • Inquiry became an essential methodology in science education. Recently, argumentation becomes more important in inquiry, but inquiry-based teaching in school science would not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have voluntary and active interactions during inquiry activities. Informal science learning can be an alternative for authentic inquir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interaction patterns in dialogic inquir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Inquiry elements and interaction patterns are analyzed with 42 dialogues of 13 small groups. As a result, seven interaction patterns are identified. First, five major interaction patterns were drawn as follows; Sharing questions, asking questions and simple response, asking questions and simple explanation, asking questions-simple explanation-(collecting data)-data based explanation, and asking questions-collecting data-data based explanation. Second, pattern 2, 'asking questions and simple response', is sub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assive and/or evasive response, inaccurate response, and repeated patterns of asking questions-simple response.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different patterns of dialogic interactions in a small group inquiry in informal contexts from formal contexts, and provide foundations to understand middle school students' interactive dialogues of inquiry occurred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An Analysis of Written Claim and Evidence Produced by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a Context of Chemistry Inquiry (화학 탐구 맥락에서 중등 과학 교사가 제시한 주장과 증거 분석)

  • Kim, DaEun;Choi, Aera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1 no.6
    • /
    • pp.359-36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vels of claims and evidence produced by 53 secondary science teachers. Levels of claim and evidence produced by the teachers in this study are various depending on themes. For a problem integrated several science concepts,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produced claims and evidence in a level of 1 or 2. The participant teachers presented claims and evidence in a level of 3 or 4 for a problem related to chemistry concepts presented in chemistry textbook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science teachers to help them develop understanding of argument structure and construct high quality of claims and evidence.

초등수학에서의 수학적 패턴 지도

  • 김상미;신인선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3-22
    • /
    • 1997
  • 본 연구는 첫째로는 수학교육에서 패턴이 강조되는 이론적 근거를 찾고자 역사적 맥락에서 수학의 성격변화를 탐색하였다. 수학의 성격 변화를 통하여 수학은 수의 탐구, 기하의 탐구, 운동ㆍ변화ㆍ공간의 탐구, 수학 연구의 도구에 대한 탐구로 그 영역을 점차 확대하여 왔으며, '수학은 패턴의 과학이다'라는 정의는 수학이 폭넓어짐에 따라 수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수학의 본성에 접근하는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은 수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고, 특히 수학교실의 변화에 따른 패턴의 강조를 살펴보았다. 둘째로는 수학적 패턴을 밝힘과 동시에 수학 교육에서 수학적 패턴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자 수학적 패턴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패턴의 속성에 따른 유형화와 패턴의 생성 방식에 따른 유형화를 통하여 수학적 패턴의 유형을 마련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다루어지는 패턴은 어떠한 것인가를 현행 4학년 수학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한하여 유형화한 틀로서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로는 수학적 패턴에 관한 지도 방안의 모색으로서, 지도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수학적 패턴에 관한 교수 전략을 마련하였다. 교수전략은 크게 패턴에서의 규칙 찾기, 패턴을 변형ㆍ확장하기, 자신의 새로운 패턴 만들기, 패턴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기로 나누고, 각각에 3-4개의 세부 전략과 세부 전략에 따른 예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