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화꽃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개복숭아꽃과 매화꽃 추출물의 생물활성 (Bioactivities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flower extracts and Prunus mume flower extracts)

  • 김미정;박세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2호
    • /
    • pp.133-1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개복숭아꽃과 흰색, 분홍색 매화 꽃의 항균 활성과 항산화, 미백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3종의 꽃추출물들은 4종의 균주 중에 S. aureus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흰매화 클로로포름층은 0.5 mg/mL 농도에서 S. aureus에 대해 84%의 항균 활성을 보였고 개복숭아꽃과 분홍매화 클로로포름층도 0.5 mg/mL 농도에서 각각 49, 30%의 항균 효과를 나타냈다. 3종의 꽃추출물들은 P. aeruginosa에 대해서도 항균 효과를 보였다. 개복숭아꽃 클로로포름층과 분홍매화 클로로포름층은 0.5 mg/mL 농도에서 각각 36, 30%의 항균 활성을 보였다. 이 추출물들은 S. epidermidis와 E. coli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3종의 꽃추출물들은 HaCaT cell의 생존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분홍매화 증류수층은 20, 40 ㎍/mL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분홍매화 에틸아세테이트층도 40 ㎍/mL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글루타치온 보다 우수하였다. 꽃추출물들은 B16F10 cell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꽃추출물들의 미백 효과는 개복숭아꽃 클로로포름층 40 ㎍/mL에서 18%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3종의 꽃추출물들은 항균 활성과 항산화, 미백 효과가 있는 원료로 판단할 수 있었다.

기획시리즈 - 조경수의 병해충 -매실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

  • 최광식
    • 조경수
    • /
    • 통권117호
    • /
    • pp.27-30
    • /
    • 2010
  • 3월에 잎보다 꽃을 먼저 피우는 매실나무는 이른 봄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매화의 연분홍색 아름다움은 예로부터 군자의 기상이요, 선비의 자태다. 수많은 선각자들이 글, 노래, 시, 그림 등 각양각색으로 매화를 칭송하고 아름다움을 묘사했지만 이들에 대한 우리 민족의 사랑은 영원할 것이다. 꽃을 매화, 열매를 매실이라고 식 약용으로 쓰이며 봄의 전령으로 우리를 기쁘게 하지만 이들 해치는 해충의 종류는 매실을 가해하는 과수해충을 포함하여 각종 해충 종은 무수히 많다. 이들 해충 중 중요한 몇몇 해충에 대하여 생리 생태 및 방제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주요 식용꽃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카테킨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enol and Catechin Levels on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Edible Flower Extracts)

  • 이미경;박정숙;송희자;천상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8
    • /
    • 2014
  • 주요한 꽃차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백목련, 매화 및 홍화의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카테킨류 함량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각종 시료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페놀 함량을 Folin-Denis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표준물질을 catechin, chlorogenic acid, tannic acid로 각각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 백목련이 72.6 ~ 118.0 mg/kg 범위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매화와 홍화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백목련이 25.1 mg/kg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꽃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250 mg/kg의 추출물 농도에서 백목련과 매화는 각각이 93.0과 92.6%로 높게 나타났으나, 홍화는 23.0%로 낮은 활성을 보였다. 총 catechin 함량에 있어서 백목련이 총 8종의 카테킨류 중 6종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고 9,425.5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매화와 홍화는 각각 5종과 2종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각각 3,407.8과 190.6 mg/kg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카페인 함량은 매화에서 비타민 C함량은 매화와 홍화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백목련 꽃은 다른 꽃에 비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성이 높아 유망한 기능성 꽃차로서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꽃차의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카테킨류 함량은 그들의 항산화성과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임으로써 연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매화꽃을 모티브로 한 패션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e Goods Designs Motivated by Ume Flowers)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6호
    • /
    • pp.972-980
    • /
    • 2009
  •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ume flower image into a competitive fashion culture product image by reinterpreting the image in modern terms, manufacturing patterns and applying them to various items. In terms of method, ume flower petal was used as a motive and developed into a pattern, using Adobe Illustrator 10, a computer design program. Based on the symbolic image and realist form of ume flower, three new basic motives of new figurative image were set using form omission, simplification, overlapping, repetition and graphic elements. Each motive developed transformed patterns through the change, transformation, combination of colors. The repetitive unit of each motive set expressed geometrical patterns and combination of flower patterns using pattern repetition and $45^{\circ}$ repetition technique in combination with the check arrangement using quadrangle, and set the direction of design that would fit for each item of fashion culture products. Also, consistency and practicality were sought in the goods planning composition of each item by applying motive pattern results to the fashion culture goods, such as neckties, scarves, T-shirts that can be consumed in everyday life. It seems that more creative culture goods including ume flowers will be developed by seeing our own cultural elements as well as flower patterns like ume flower with modern trends.

  • PDF

매화, 장미 및 해당화 꽃차의 향기 성분 비교 (Comparative Profiling of Volatiles in Flower Tea of Prunus mume, Rosa spp. and Rosa rugosa)

  • ;이영상;오승영;박석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0-110
    • /
    • 2020
  • 꽃을 우려내어 차로 마시는 꽃차(flower tea)는 꽃이 가진 색과 향, 맛과 모양을 즐길 수 있어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매화(Prunus mume), 장미(Rosa spp.), 그리고 해당화(Rosa rugosa) 등 3종의 장미과 식물의 꽃차의 향기 성분 특성을 구명코자 꽃차를 headspace vial에 담은 후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 성분은 deconvolution 과정을 수행한 후 NIST masss spectral library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매화꽃차에서는 총 58개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benzaldehye와 nonane, 그리고 phenylmethanol이 주요 구성 성분으로 검출된 전체 휘발성 성분의 각각 64.7%, 16.1% 및 4.7%를 차지하고 있었다. 장미 꽃차의 경우 검출된 35종 중 주요 구성 성분은 nonane과 2-phenylethanol, 그리고 phenylmethanol로서 각각 전체 성분 중 54.0%, 18.0% 및 4.6%를 구성하고 있었다. 해당화 꽃차의 경우는 장미 꽃차와 동일하게 2-phenylethanol(62.2%)과 nonane(20.1%)이 주요 성분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 2 성분의 합이 전체 43개 휘발성 성분의 8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매화, 장미, 해당화 등 장미과 식물 3종의 꽃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휘발성 성분은 앞서 각 꽃차 종류별 주요 성분으로 언급된 4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19종이었으며 매화꽃차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29종으로 장미꽃차(6종)와 해당화 꽃차(8종)보다 향기성분의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모데미풀속과 근연속들의 형태 및 분포 비교 (미나리아재비과) (Comparison of the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genus Megaleranthis Ohwi with those of its relative genera (Ranunculaceae))

  • 손동찬;조경진;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5-323
    • /
    • 2011
  •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monotype)의 외부형태학적 특징과 분포역을 조사하였다. 또한 근연속으로 알려진 금매화속(Trollius L.)과 Calathodes속(Calathodes Hook.f. et Thomson)의 질적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유집분석을 통하여 모데미풀속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데미풀은 금매화속, Calathodes속과 0.385의 낮은 유사도를 나타냈으며, 금매화속은 Calathodes속과 함께 유집되어 모데미풀속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모데미풀은 화피편이 존재하는 특징으로 Calathodes속 식물과 뚜렷이 구분되며, 금매화속 식물과는 꽃 아래에 경생엽 대신 한 매의 총포엽을 가지고 있고, 골돌의 맥은 분지되지 않는 특징에 의해 구분된다. 상기 3속의 분포역에 있어서 금매화속과 Calathodes속 식물은 이들의 분포경계지인 중국의 사천성과 운남성지역에서, 모데미풀과 금매화속 식물은 이들의 분포경계지인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각각 부분적으로 중복되나, 전체적으로 볼 때 이들 각각은 나름대로의 독립적인 분포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데미풀은 근연속들과의 외부형태학적 차이가 분명하고, 분포역을 비교해 볼 때 독립된 속으로의 처리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광양매화축제를 기반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개발 연구 (Development of Design for Cultural Fashion Products based on the Gwangyang Ume Flower Festival)

  • 김선영
    • 복식
    • /
    • 제60권4호
    • /
    • pp.18-29
    • /
    • 2010
  • For the Gwangyang Ume Flower Festival,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competitive fashion culture goods design and to activate regional culture festival by reinterpreting ume flower image in accordance with current trends, manufacturing motive patterns, and applying them to neckties, scarves, and T-shirts. In terms of method, four basic motives were set that showed new figurative images of ume flowers using Adobe Illustrator 10. The repetitive units of each motive we combined with the ume flower motives and the geometrical patterns, such as quadrangle, triangle, and circle. The basic direction of design was set so that color and texture could have colorful, modern, and natural images using pastel tone and gradation. The set patterns were applied to the repetition, the repetition of the transformed patterns of 45 angle, and the strife patterns, making it possible to display various images in the fashion items such as neckties, scarves, handkerchiefs, or T-shirts. The development of such fashion culture goods seems to be more significant, since they can be easily accessed by general festival participants. Accordingly, the Gwangyang Ume Flower Festival seems to develop not into food-led festival, but into a cultural festival that can publicize more various programs and create profits.

매화시제(梅花詩題)를 통해 본 매화 완상(玩賞)의 대상과 경관 특성 (Objects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pricot(Prunus mume) Appreciation through the Poem Titles)

  • 소현수;임의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4-94
    • /
    • 2013
  •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신위(申緯), 정학연(丁學淵)이 명료한 계절성과 시간성을 지닌 매화를 완상하며 읊은 연작시(連作詩) 두 편의 시제(詩題)와 매화와 잘 어울리는 대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중국 송대(宋代) 문인 장자의 기록물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매화 완상의 대상을 유형화하고 매화 완상에 관련된 경관 특성을 다음과 같이 규명하였다. 첫째, 매화 완상의 대상은 '매화의 형태', '경물(景物)', '식재 장소', '경색(景色)', '행태'로 구분되었다. 둘째, 선비들은 매화의 형태에 있어서 매화 가지의 기괴한 형상이 돋보이는 독립수를 즐겼다. 또한 고고하고 맑은 정서를 제공하는 백색 홑꽃을 가진 매화를 선호하였으며, 도교적 이미지를 가진 홍매를 즐기기도 하였다. 셋째, 선비들은 매화와 어울리는 경물인 절개와 강인함을 상징하는 소나무와 동백나무, 외로운 선비를 연상시키는 학과 함께 매화를 완상하였다. 넷째, 선비들이 물에 반영된 매화의 모습과 시적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창문 앞에 식재된 매화의 정취를 즐겼던 사실에서 선호했던 매화의 식재 장소를 알 수 있다. 다섯째, 담담한 정신의 경지에 조응하는 달과 눈이 매화 완상에서 중요한 기상 현상이었으며, 새벽과 저녁 등 추운 날씨가 매화 완상에 어울리는 경색 조건이었다. 여섯째, 선비들은 매화꽃을 일찍 보기 위해서 병매(甁梅), 분매(盆梅), 감매(龕梅), 심매(尋梅), 묵매(墨梅)라는 방식으로 매화를 완상하였다. 또한 선비들은 적극적으로 매화를 즐기기 위해서 종이 휘장, 주렴, 거울, 얼음등[氷燈]을 이용하였으며, 피리나 거문고 소리를 즐기고, 바둑을 두고, 차를 끓이고, 절개있는 우아한 미인과 함께 하는 등 매화 완상에서 다양한 행태가 이루어졌다. 살펴본 바와 같이 선비들은 매화 자체의 형태미, 식재 장소와 매화와 짝이 되는 동물, 식물을 포함하는 경물은 물론이고, 기상 기후, 시간 계절과 같은 경색, 그리고 인간의 행태 등 변화하는 요소를 매화 완상의 대상에 포함하여 다채로운 경관을 즐겼다.

동해시의 지리적 특성

  • 이영혜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5년도 동북AISIA 지리학술국제토론회
    • /
    • pp.89-89
    • /
    • 1995
  • 1. 한반도의 중부동해안에 면하고 있는 항구도시 2. 시화로는 매화꽃, 시목으로는 은행나무, 시조로는 갈매기를 지정하고 있는 해항도시 3. 어항이었던 묵호항, 산업항인 북평항이 통합되어 이룩된 동해시 4. 한반도 동해안에서는 손꼽을 수 있는 해항도시의 하나 5. 남북으로 통하는 동해연안의 간선도로 따라 발전하고 있는 구릉 사면과 연안평야의 발달 6. 충북 아시아권역의 해항들과 자매결연 추진중 7. 온대습윤기후구에 속하며 연평균기온 섭씨12도, 연강수량 1,220mm 겨울에 따뜻하고 연중 서풍이 많으나 여름에는 남동풍이 많은 기후. 8. 석회암이 산재하는 지역이므로 식생은 하생식물이 적은 잡목림상을 이루고 있음. 9. 주변에 자연 풍치자원과 해수욕장 그밖에 민속 자원이 산재하는 지역. 10. 오래전부터 지하자원의 보고로 각종 광산자원이 이곳에 분포. 11. 쌍용시멘트, 동부산업합금철공업 이외에도 북평 공업단지가 건설 중. 12. 해륙교통 입지는 물론, 산업입지 그리고 관광입지로도 유망한 해항. 13. 접안 시설과 하역 능력을 계속 확장시키고 있는 국제항구도시.

  • PDF

매실나무와 살구나무 유전자원의 꽃 크기 및 꽃잎 특성 (Flower Size and Petal Character of Prunus mume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in Korea)

  • 강희경;송홍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33-33
    • /
    • 2018
  • 본 연구는 대한민국 매실나무 210점과 살구나무 9점의 꽃 구조 특성평가를 위하여 개체별 꽃 크기, 꽃잎의 수 및 크기를 조사하였다. 대한민국 전 지역에서 수집한 매실나무의 꽃 크기는 평균 지름 24.3mm이었고, 꽃 크기별 범위는 21~25mm가 150점(71.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6~30mm(45점, 21.4%), 16~20mm(9점, 4.3%), 30mm 이상(5점, 2.4%), 15mm 이하(1점, 0.5%) 순이었다. 살구나무의 꽃 크기는 평균 지름 22.7mm이었고, 꽃 크기별 범위는 21~25mm가 7점(77.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6~20mm 및 26~30mm가 각각 (1점, 11.1%) 순이었다. 매실나무의 꽃잎 모양은 원형이 112점(53.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난형(51점, 24.3%), 타원형(47점, 22.4%) 순이었다. 살구나무의 꽃잎 모양은 원형이 6점(66.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난형(2점, 22.2%), 타원형(1점, 11.1%) 순이었다. 매실나무의 꽃잎 수는 평균 9.2개이었고, 꽃잎 수별 범위는 5개가 138점(65.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6~20개(31점, 14.8%), 21개 이상(20점, 9.5%), 5~10개(12개, 5.7%), 11~15개(9점, 4.3%) 순이었다. 살구나무의 꽃잎 수는 평균 5.1개이었고, 꽃잎 수별 범위는 5개가 8점(88,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10개(1점, 11.1%)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