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실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1초

진정성(authenticity)과 완전성(integrity)을 적용한 서원의 식재 실태 (The Planting of a Seowon(書院) Made to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Status)

  • 이원호;이소현;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42
    • /
    • 2013
  • 본 논문은 최근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중에 있는 서원의 조경 공간 및 그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도출한 후 새롭게 도입된 수목에 대한 실태와 유형변화를 규명하고, 등재에 있어서 중요가치인 진정성과 완전성 측면으로 조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각종 고문헌에서 나타난 수목으로는 복사나무, 매실나무, 버드나무 등 10종이었다. 공간별 식재현황으로는 수종에 따라 어느 정도의 규칙성을 보였는데, 향나무, 배롱나무, 대나무(오죽) 등 3종류는 주로 서원의 본질적 공간(경내)에 위치하고, 느티나무, 버드나무는 주로 서비스 공간(경외)에 위치했다. 공간 구분 없이 위치하는 수종으로는 향나무, 은행나무 등 5종류로 이 수종은 전국 서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서원의 대표적 수목이라고 할 수 있다. 유한한 생장력을 가진 식물은 서원의 역사를 증명하는 요소이며, 배향인물(配享人物)이 선호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부여되므로 진정성 측면에 부합한다. 수년간에 걸쳐 수행된 정비사업은 원형을 훼손시켰으며, 철저한 고증을 거치지 않고 무분별하게 식재된 수목으로 인하여 본질적 공간의 존재감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본래 가지고 있던 기능이 변화된 현재의 시점을 반영한 사적의 본 모습을 갖추어 나가 다양한 장소의 역사성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보존해야 할 것이다. 이는 식물을 대상으로 한정된 것으로 향후 건축물 등 공간적 차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 총체적인 공간구성에 대하여 본질적 가치를 판단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과일류의 명칭 및 분류: 국내와 코덱스 비교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Fruit Commodities in South Korea and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 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2-167
    • /
    • 2018
  • 본 연구는 과일류의 국내 명칭에 상응하는 코덱스 명칭과 코드번호, 그리고 변경 또는 검토가 요구되는 국내 명칭과 분류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 명칭과 분류에 대해서는 식품공전과 식품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발간물을 그리고 코덱스에 대해서는 'Codex Classification of Foods and Animal Feeds'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구기자, 무화과, 석류, 오미자에 대한 분류가 국내와 코덱스가 다르므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 감귤, 구기자, 금귤, 나무딸기, 대추, 대추야자, 리치, 매실, 머루, 모과, 복분자, 산딸기, 산수유, 앵두, 오미자, 유자, 으름, 자두, 코코넛, 키위, 탱자의 경우 국문 또는 영명을 국내에서 조차 달리 사용하고 있거나 코덱스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들 식품 명칭에 대한 개정이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숭아의 경우 천도복숭아를 포함하는 지가 명확하지 않고 라즈베리와 나무딸기 둘 모두가 국내 영명이 Raspberry 이므로 이들 식품 명칭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홍삼엑기스의 산(pH) 및 온도처리에 의한 기능성 사포닌 함량증대 (Increase of Functional Saponin by Acidic Treatemnt and Temperature of Red Ginseng Extract)

  • 인준교;이범수;김은정;박명한;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9-143
    • /
    • 2006
  • 고기능성 홍삼사포닌성분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홍삼엑스에 열처리, 산(acid)처리하여 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산도를 조정하지 않은 무처리구(control, pH 4.4)에 $120^{\circ}C$ 열처리한 경우 ginsenoside-$Rg_3$의 함량이 약 2배 정도 증가였다. 구연산으로 pH 2.0으로 조정하고 온도처리한 처리구에서는 2.8배나 많은 ginsenoside-$Rg_3$ 성분이 증가하였으나 다른 유효한 사포닌의 파괴가 두드러져 처음 홍삼엑스에 함유되어 있던 총사포닌의 65% 정도가 소실되었다. $80^{\circ}C$에서 12시간 처리를 한 경우에는 pH를 2.5와 2.0로 조정한 처리구에서는 11.20 mg과 12.50 mg으로 홍삼엑스의 3.3 mg보다 3.3배 이상 ginsenoside-$Rg_3$ 성분이 변환되었다. Ginsenoside-$Rb_1,\;Rb_2$, Rc, Re, $Rg_1$의 함량이 산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급격히 소실되었고 홍삼 특이성분(ginsenoside-$Rg_3,\;Rh_2,\;Rh_1$)의 함량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매실엑스로 pH를 2.5로 조정한 처리구에서는 13.34 mg으로 홍삼엑스의 3.3 mg보다 4배 이상 변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록 31%정도의 total saponin의 감소가 있었으나 $120^{\circ}C$의 고온처리에서 처럼 다른 유효한 사포닌의 큰 손실 없이 $60^{\circ}C$에 12시간 처리하는 것만으로도 다량의 ginsenoside-$Rg_3$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ir-center nozzle의 분무살포도(噴霧撒布度)와 분무량(噴霧量)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Spray Deposit Pattern and Flow Rate in the Air-Center Nozzle System)

  • 이상우;허윤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56-168
    • /
    • 1980
  • 분무기(噴霧機) nozzle의 와실내(渦室內)에서 공기(空氣)를 수류(水流)의 중심부(中心部)로 분무(噴霧)시켜 예비미립화(豫備微粒化) 및 공기충돌식(空氣衝突式)의 미립화방식(微粒化方式)을 복합(復合)하여 고안(考案)된 air-center nozzle의 분무살포량(噴霧撒布量)의 분포도(分布度)와 분출량(噴出量)의 특성(特性)을 찾기위한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공기량(空氣量)은 소구경(小口徑) pipe 직경(直徑) 0.45mm부터 1.42mm이내로 7 수준(水準)으로 조절(調節)하였고 이의 각수준별(各水準別)로 압력(壓力)을 $0.35kg/cm^2$(5 psi)부터 $6.33kg/cm^2$(90 psi)까지 11 수준(水準)으로 조절(調節)하였다. 매실험결과(每實驗結果)는 표준(標準) nozzle 실험치(實驗値)와 비교분석(比較分析)하였고 이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ir-center nozzle은 비교적(比較的) 표준(標準) nozzle보다 안정(安定)된 살포량(撒布量) 분포형(分布型)을 유지(維持)하였다. Air-center nozzle의 분무살포량(噴霧撒布量) 분포도(分布度)는 공기량(空氣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중심부분(中心部分)으로 집중화(集中化)하였고 이 집중화정도(集中化程度)는 표준(標準) nozzle보다도 더 컸다. 이현상(現象)은 표준(標準) nozzle에 비(比)하여 도달성(到達性) nozzle형(型)에 적합(適合)함을 시사하였다. Air-center nozzle의 분출량(噴出量)은 어느 일정(一定)한 수준(水準) 이내(以內)에서 공기량(空氣量)때문에 표준(標準) nozzle의 분출량(噴出量)만큼 크지는 못하였다. 분출량(噴出量)의 감소율(減少率)은 압력(壓力)이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둔화되었고 혼합용제(混合溶劑)속의 공기함유율(空氣含有率)이 2~3%인 저비율(低比率)일때 급속(急速)히 컸다. 이 현상(現象)은 공기(空氣)의 압축성질(壓縮性質)에 기인(基因)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약초중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조사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 황진봉;양미옥;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71-679
    • /
    • 1997
  • 국내에서 재배, 유통되고 있는 약초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건물기준으로 조회분은 오가피, 쇠비름, 사상자가 각각 22.4, 20.6, 15.0%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고, 조단백은 산조인, 택사, 정력자, 결명자가 각각 39.9, 30.6, 28.8, 27.5%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다. 조지방은 산조인, 창이자, 소자, 동과자 순으로 각각 27.9, 24.0, 22.8, 22.4%, 조섬유는 만형자, 영지, 송절, 접골목 순으로 각각 59.5, 53.9, 46.4, 41.2% 그리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복령, 천마, 초용담, 지황이 각각 91.2, 87.9, 86.3, 86.0%로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은 상기생, 동규자, 연자육이 각각 100 g당 1,485.9, 1,149.5, 985.0 mg로 다량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마그네슘은 삼백초, 단삼, 칡이 각각 728.0, 582.0, 464.9 mg로 다량 함유하였다. 칼슘은 승마, 오가피, 건칠이 각각 8,506.6, 7,106.5, 3,010.2 mg로 측정되었으며, 칼륨은 송이, 어성초, 우슬이 각각 5,613.5, 5,353.5, 4,665.7 mg였다. 또한 나트륨의 경우 육종용, 두충, 매실이 각각 2,064.5, 595.3, 291.4 mg, 철은 대계근, 초용담, 속단이 각각 307.4, 233.0, 207.6 mg로 나타났다.

  • PDF

매실의 소비자 구매의식과 구매특성 분석 (Analysis of Purchasing Recognition and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a Plum Purchaser)

  • 김미옥;조성주;조용빈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2호
    • /
    • pp.33-40
    • /
    • 2015
  • Purpose - Given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plums, prices have fluctuated in an unstable manner, making it difficult for farmhouses to sell the product.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ultivation and sale of plums to consumers, thus enabling producers to utilize relevant information to analyze the types of plums that are preferred and consumed by us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plum consumption by a consumer panel established and opera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December 2009. The objective was to identify the purchasing awareness of plums and to analyze panel data from 2010 to 2013 us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a Tobit model, and a panel regression model to derive the purchase characteristics. Results - The outcome of the survey on plums is as follows. Plums are purchased because they are good for the health (90.6%), which means that most customers purchase plums for their health benefits. When plums are in season, the purchase rate is 94.8%, indicating that most plums are purchased when they are in season and that selling plums when they are out of season is difficult. Therefore, we sell most plums in the correct season, and the rest of the plums need to be processed and then sent to markets. The strongest reason for not purchasing plums is that they are difficult to process for consumption (63.1%), followed by the reason that the fruit is unfamiliar (15.5%). Regarding solutions for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plums, the answers were as follows: distribute a recipe for plums (36.9%), advertise its effect through TV or the press (31.1%), and develop various processed products (15.6%). When customers decide to pick out plums, the major considerations were freshness (4.43), safe to eat (4.16), price (3.96), size (3.87), brand (3.28), and discount event (2.62). Freshness is important for decision making and safe to eat was more important than price because plums are washed and processed into plum j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inear regression model, a higher family income results in a higher purchasing amount. However, the amount of plums purchased by a person was reduced if his or her income increased. Compared with individuals who used other purchasing agents on weekdays, those who used the traditional market turned out to purchase a higher amount of plums on the weekdays. Conclusions - Considering that numerous people purchase plums for their health benefits, promoting the consumption of plums is anticipated as being successful if they can be produced safely for consumption and for inclusion in recipes and various processed foods, and to promote eco-friendly agricultural practices.

천연 항균복합제재에 의한 농산물 식품원료의 선도유지효과

  • 정준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89.2-190
    • /
    • 2003
  • 현재까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보존제로는 인공합성품이 많이 알려져 이들이 주로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안정성이 경우에 따라 문제되고 있으며 근래소비자의 건강 지향적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인공합성품의 기피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천연 항균물질의 개발과 이용은 인공 합성보존제의 대처라는 의미와 소비자기피현상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각종 가공식품의 저장성향상 및 저온 유통식품의 안정성확보라는 견지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식품의 미생물 작용에 의한 변질의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성천연항균제품(Botanical antimicrobial agents-Citrus product : 이하 BAAC라 칭함)에 천연보조제(Ginseng extract, Aloe, 매실추출물)를 첨가하여 Paper disk 법에 의한 항균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Ginseng extract를 첨가한 경우 생육저해환이 가장 크고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BAAC에 보조제(Ginseng extract)를 첨가하여 제조 된 천연 항균복합제재(이하 BAAG라 칭함)를 우유에는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4$^{\circ}C$의 냉장상태와 2$0^{\circ}C$의 상온에서 저장하였고, 계란과 콩나물의 경우는 침지 처리한 후 꺼내어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각각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대장균수, 총균수의 변화, 외관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무처리 대조구와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아울러, 계란의 경우는 조단백함량의 변화도 관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촬영사진의 결과 분석을 통하여 BAAG를 처리한 균체 세포는 세포막 및 세포벽 기능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균체외부로 유출되어 균체의 생육이 억제되며 성장을 저해 또는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수는 우유, 달걀 및 콩나물의 모든 처리구에서 BAAG의 첨가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농도가 증가시킬수록 균증식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으며, 총균수도 압도적으로 낮은 간을 보여주었다. 달걀의 조단백함량의 변화는 BAAG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구에 비하여 침지 처리한 경우가 조단백 변화가 크지 않았다. 즉, BAAG의 침지 처리한 경우, 저장기간 14일이 경과 한 후에 10%정도의 수준으로 감소한데 반하여, 무처리구인 대조구의 경우, 23%수준으로 감소 증도가 증가하였다. 외관상의 변화와 상품 가치를 측정한 결과는 달걀의 경우, 14일이 경과후에는 무처리 대조구에서 흰자위의 감소와 노른자위와의 경계가 뚜렷하지 못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크게 떨어진 상태였다. 우유의 경우에는 4$^{\circ}C$와 2$0^{\circ}C$에 저장된 대조구에서는 각각 3일과 12일경과 후 강한 부패취와 아울러, 표피의 갈변정도가 심하되어 관능적으로 부패상태를 인지할 수 있었다. 콩나물의 경우도 저장3일 경과 후에 부패취와 함께 점질성 갈변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G의 처리는 BAAC의 경우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항균력은 우수한 천연 항균복합제재로써 농산물 식품원료에 적용하여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아파트 단지 내 조경수목의 생장특성 분석 -대구광역시 메트로팔레스단지를 대상으로- (Analysi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Trees in Apartment Complex -Focusing on Metropalace Complex, Daegu Metropolitan City-)

  • 정문화;정성관;최철현;신재윤;유주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35-42
    • /
    • 2015
  •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 식재된 조경수목의 생존율, 형태별 및 지반별 생장률을 객관적으로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아파트 단지의 조경식재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수목생존율에 있어 상록교목의 경우 소나무가 가장 생존율이 높았으며, 구상나무가 가장 낮았다. 낙엽교목의 경우 감나무, 느티나무, 매실나무, 배롱나무, 은행나무가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생존율이 낮은 수종은 마가목, 모과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형태별 수목생장의 경우 상록교목 중 스트로브잣나무가 가장 높았으며, 둥근소나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낙엽교목의 경우 느티나무의 생장률이 가장 높았으며, 생장률이 낮은 수목은 배롱나무, 백목련, 산수유 등으로 나타났다. 자연지반에서 스트로브잣나무, 산딸나무, 은행나무, 이팝나무 및 단풍나무가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느티나무, 살구나무는 인공지반에서 생육이 좋았다. 향후, 다양한 지역의 조경수목의 생장특성과 본 연구에서 제외된 관목에 대해 연구한다면 객관적인 자료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도산 벚나무속 잎 형질의 분류학적 검토 (Evaluation of leaf morphology for distinguishing Prunus (Rosaceae) from Jeju, Korea)

  • 김찬수;문명옥;정은주;변광옥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1-98
    • /
    • 2005
  • 본 연구는 제주도산 벚나무속 식물을 대상으로 잎 형질의 분류학적 중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양적 형질은 엽신의 길이, 엽병의 길이, 엽폭, 엽맥 수, 분지각과 엽저각 등을 조사하였다. 질적 형질은 모용분포와 밀선의 위치 잎의 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총 25개의 OTU에 대해 UPGMA에 의한 표현형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ubgenus Prununophora에 속하는 매실나무가 subgenus Padus에 속하는 귀릉나무와 섬개벚나무와 같은 유집군을 형성한 점과 subgenus Cerasus에 속하는 벚나무, P. speciosa, 산벚나무, 사옥와 올벚나무, 왕벚나무가 별개의 유집군을 형성한 점 등 일부 분류체계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subgenus Padus에 속하는 귀릉나무와 섬개벚나무, subgenus Microcerasus에 속하는 이스라지, subgenus Amygdalus에 속하는 복사나무가 각각의 유집군을 형성하는 등 분류체계와 유사한 양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국, 잎 형질, 그 중에서도 엽신의 길이와 폭의 비, 엽신의 길이와 엽병 길이의 비, 엽맥 수, 잎 기부에서 밀선과의 거리, 주맥과 잎 기부의 좌 우각 등과 모용의 분포 등이 제주도산 벚나무속의 식별형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채류로부터 혈소판응집 억제물질의 검색 (Screening of Inhibitors of Platelet Aggregation from Edible Plants)

  • 윤민호;임치환;오진환;이종철;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67-274
    • /
    • 1997
  • 산채류를 비롯한 식물자원으로부터 항혈전 성분을 탐색하기 위하여 전국일원의 농산시장 및 농촌지도소, 평창산채시험장과 한국인삼연초연구원의 실험포장으로부터 약 160점의 시료를 수집하였으며, modified smear method를 적용하여 그 methanol 추출물의 혈소판응집 저해활성을 비교하였다. Platelet rich plasma 즉 혈소판 혈장을 이용하는 modified smear method는 응집유도물질로서 ADP와 collagen을 사용하였을때 electrical impedence method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재현성도 비교적 우수하여 정제하지 않은 식물체의 조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었다. 참취, 개미취, 곤달비, 산마늘, 산도라지, 영양부추, 산뽕, 쇠비름, 생열귀등이 ADP와 collagen 모두 혈소판응집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곰취, 사철쑥, 씀바귀, 민들레, 산지치, 갯완두, 참대등은 collagen을 사용한 경우에는 저해활성이 다소 낮게 검출되었다. 반면에 참나물, 옥잠, 냉이, 메밀, 매실, 복분자, 해란초등은 오히려 혈소판응집 촉진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DPPH법으로 활성산소 억제율을 비교한 결과 산채류중에는 고사리, 참취, 곰취, 구절초, 사철쑥, 고려엉겅퀴, 달개비, 냉이 그리고 생약재중에서는 적작약, 음양곽, 복분자등이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