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매식체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불완전 결정성 아파타이트 박막의 특성 및 응용

  • Kim, Hyeon-Man
    • Ceramist
    • /
    • v.3 no.3
    • /
    • pp.58-70
    • /
    • 2000
  • 뼈 결정과 같이 결정도가 낮은 탄산 인회석 결정의 화학조성 및 구조는 순수 수산화인회석 과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에 있어서 매우 다르다. 극미세 결정으로 결정도가 매우 낮은 불완전 결정이며, 결정 표면은 매우 반응성이 높은 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기분자나 세포와 활발히 반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뼈 결정의 특성을 고형 기질 표면에 불완전 결정도 인회석 박막을 형성시켜 생체재료에 재현하였다. 이 박막에는 뼈세포들이 잘 부착하였는데 특히 골모세포의 부착, 증식, 분화를 촉진하여 장차 이와 같은 뼈 탄산 인회석의 특성을 갖는 인회석을 생체이식 재료로 이용하므로써 우리 몸의 생리에 좀 더 가까운 인공 매식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지르코니아의 역사 및 이론적 배경

  • No, Gyeong-Ho;Ha, Seung-Ryong;Kim, Seo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2
    • /
    • pp.798-803
    • /
    • 2009
  • 지르코니아는 물리적 성질이 금속과 가장 가까운 세라믹이며, 색상이 치아와 비슷하여 치과분야에서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재료이다. 지르코니아는 zirconium dioxide 결정체로서, 1975년 Garvie가 'ceramic steer' 이라고 명명하였듯이 기존의 세라믹과 비교하여 뛰어난 물성을 지니고 있다. 즉, 높은 내열성과 낮은 열전도도, 산성에서 알카리성까지 이르는 내화학 안정성, 낮은 열팽창성, 높은 강도 및 경도,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전부터 공업용 재료로 넓게 시용되어 왔다. 지르코니아의 상변 이를 이용한 toughening방법이 Garvie에 의해 제시됨으로서 세라믹의 최대 단점인 취성은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금관 및 계속가공 의치, 임플란트 지대주, 인레이, 온레이 등 치과의 여러 분야에 지르코니아를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임플란트 매식체에 있어서도 그 적용을 시도함으로서 심미치과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 지르코니아는 치과용 세라믹 중에서 가장 높은 기계적 물성을 보이기 때문에 구치부 에서의 사용 가능성이 시도되고 있으며, 코어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보철 술식에서 필요한 강도 및 심미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지르코니아의 역사 및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The Affecting Factor to Magnification Ratio from Alveolar Crest To Inferior Mandibular Canal in Diagnosis of Implant Site of Mandibular Molar Region with Panoramic Radiography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하악 구치부의 임플란트 매식부위 평가시 치조정-하악관간 거리의 확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Jung, Jae-Jin;Choi, Sang-Mook;Lee, Yong-Moo;Ku, 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1 no.4
    • /
    • pp.811-822
    • /
    • 2001
  • 최근 임플란트를 원하고, 필요로 하는 환자가 증가하면서 술전의 정확한 진단이 보다 중요해졌고 다양한 진단방법이 소개되고 이용되어져 왔다. 그 중 보편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는 방법이 방사선 촬영법이고 그 중에서도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이다. 하지만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용이함과 간편성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 때문에 CT/MPR(Computer Tomography/Multiplanar Reformatting)이 일부 환자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대다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구치부에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을 알아보고 파노라마방사선사진과 CT/MPR에서 치조정-하악관간 거리가 실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에 환자의 하악골의 경사도와 하악관의 해부학적 위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 치과병원 치주과를 내원하여 하악구치부에 Dental Implant 시술을 받은 15명의 환자, 32개 부위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술전 파노라마방사선사진과 CT/MPR, 술후의 파노라마방사선사진, CT/MPR상을 자료로,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서 치조정에서 하악관의 길이, 하악골의 협설폭경,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의 수평길이, 임플란트 매식체의 설측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를 계측하였고 이 해부학적 계측치들이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과 어떤 상관관계에 있는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est를 이용해 살펴보았다. 1.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CT/MPR상에서 하악골 단면의 협설폭경(Pearson test에서의 상관관계 분석시, 상관계수 r=-0.604), 임플란트 매식체의 설측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r=-0.515),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r=-0.640)와 뚜렷한 음적 선형관계가 있었다. 2.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CT/MPR상에서 하악골의 장축의 각도와는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Pearson test에서의 상관관계 분석시, 상관계수 r=-0.446)가 있었다. 3. 여러 요소중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과 가장 유의성있는 연관성을 보이는 것은 CT/MPR상에서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였다(r=-0.640) 4.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일반적으로 생각되어지는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 125%보다 큰, 약 135%로 나왔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가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추정되며 확대율은 12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trospective study on survival rate of 2158 osseointegrated implants placed in 770 patients in Sanb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원광대학교 산본치과병원에서 770명의 환자에 식립한 2158개의 골유착성 임플란트의 보철 전 초기 생존율에 관한 후향적 연구)

  • Seon, Hwa-Gyeong;Chee, Young-Deok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0 no.4
    • /
    • pp.278-288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preprosthetic initial survival rat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al of osseointegrated implants placed in edentulous area of maxilla and mandible and to suspect the possible causes leading to failur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58 endosseous implants that had been inserted between 2004 through 2013 were placed in 770 patients. The clinical compariso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implant loss in relation to age and gender of patients, position, system, length and diameter of implant, and bone graft technique. Results: According to position, the survival rates were 98.23% in maxillary anterior site, 96.98% in maxillary posterior site, 97.85% in mandibular anterior site and 98.76% in mandibular posterior site (P < 0.05). According to diameter of implant, the survival rates were 100% under 3.0 mm, 97.09% between 3.0 to 3.5 mm, 98.19% between 3.5 to 4.0 mm and 98.29% between 4.0 to 4.5 mm but relatively lower survival rate was 75% in 5.0 mm-over (P < 0.05). The survival rates of implants were 89.51%, 98.28%, 98.34% and 99.27% in the group with isolated sinus graft, with isolated GBR, with sinus graft and GBR simultaneously and without bone graft, especially (P < 0.05). Conclusion: This study establishes a relationship between survival rate of implant and position, diameter of implant system and bone graft technique. In conclusion, there were low survival rates in maxillary posterior site, in dental implants with wide diameter of 5 mm-over, and in the group with isolated sinus graft.

The incidence of the abutment screw loosening and its affecting factors in posterior implant restorations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물에서의 지대주 나사 풀림 현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ong, Su-Jung;Bae, Jung-Yoon;Kim, Hyun-He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6 no.3
    • /
    • pp.212-21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assess clinically the incidence of abutment screw loosening of posterio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and its affecting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391 implant-supported crowns restored from January 2013 to January 2016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restorations were fabricated with either a single crowns or a splinted crown, and cemented with temporary cement. The incidence of abutment screw loosening is investigated and gender, restoration position, opposing teeth, restoration type, abutment connection type were assessed as possible factors affecting abutment screw loosening. Result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2 - 5 years), abutment screw loosening was found in 29 restorations (7.4%). It took 3 to 48 months (means 19.5 months) to loose the screw, and three of these implants were fractured. Among the factors consider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abutment screw loosening rate between molar group (9.4%) and premolar group (2.6%) (P<.019). According to the type of opposing tee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ature teeth (74.7%) and implant (25.0%), removable denture (3%) (P<.019). The other possible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osening of the abutment.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butment screw loosening in posterior restoration was 7.4%. Abutment screw loosening were more likely to occur in molars group than premolar group, and according to the opposing teeth, there were the greatest frequency in nature teeth than implant and removal dentu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istological analysis of explanted implant-bone interface: a case report (임플란트 매식체 파절로 제거된 임플란트 골계면의 조직학적 분석 증례)

  • Kim, Dae-Dong;Kang, Dae-Young;Cho, In-Woo;Song, Young-Gyun;Shin, Hyun-Seung;Park, Jung-Chul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5 no.4
    • /
    • pp.235-243
    • /
    • 2019
  • Osseointegration has been reported to be a dynamic process in which the alveolar bone com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implant. Various methods were tried to evaluate degree of osseointegration and the measurement of bone-implant contact (BIC) have been commonly used among them. To properly assess the BIC, only histologic analysis is available. However, few studies evaluated BIC of successfully osseointegrated implants in humans. Thus, this is a unique opportunity when implants should be explanted due to inappropriate positioning of implant, presence of pain or sensory disturbance, or broken screw or fixture.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the implant underwent 3-year functional load and a histologic analysis after the fixture fracture.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revealed 53.1% of BIC measured along the whole implant and 70.9% measured only in subcrestal area,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although the implant was fractured, a high degree of BIC was observed.

EXPERIMENTAL STUDIES ON THE TISSUE RESPONSE OF HA COATED, TPS AND $Al_2O_3$ ARTIFICIAL ROOT IMPLANTS (HA, TPS 및 $Al_2O_3$ 인공치근 매식체의 조직반응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Sun-Young;Kim, Yung-So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29 no.2
    • /
    • pp.267-284
    • /
    • 1991
  • Since the concept of a direct contact between bone and implants, without interposed soft- tissue layers, was reported by Dr. $Br{\aa}nemark$, there has been increasing necessity for correct under-standing of bone-implant interface and surrounding tissue response. Beside quality of bone, surgical technique, load applied to implants, one must consider implant materials, design and surface characteristics to obtain osseointegration. In this study HA plasma-sprayed implants, TPS implants and $Al_2O_3$ implants wer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of dog and tissue response was observed with radiograph, stereoscope, light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rapid and active bone formation in the region adjacent to HA plasma-sprayed implants but in the deep supporting bone only slight bone formation was seen. 2. There was considerable lamella bone formation in the region adjacent to TPS implants and the deep supporting bone became more compact. 3. There was some gap and sclerosing bone formation in the adjacent region of $Al_2O_3$ implants, but there was irregular new bone formation in the deep supporting bone. Therefore, it seems that $Al_2O_3$ is not adequate for osseointegrated impl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