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맞춤형 학술 콘텐츠 서비스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POI Model of individualization user central Intelligence Form based of WMS (WMS 기반의 개별 사용자 중심 지능형 POI 서비스 모델)

  • Nam, Haeng-Woo;Kang, Min-Sung;Kim, Bu-Rim;Kim, Eun-Young;Kim, Do-Hyeun;Lee,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725-728
    • /
    • 2006
  • Recently, It is gradually increasing about need of various information service based of Location that in compliance with rapidly development wireless internet terminal using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t mobile environment. But existing information depends service provision method to information provider. so It is many insufficient tailorable information provision about user individuals each other propensity. For this, It need Service skill to provide easily information about tailorable POI(Point Of Interest) of user preference using information based of Location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use information service based of location in mobile environment. So It analyzes POI information in compliance with propensity of user and It propose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service model. It provides to follow individuals propensity analysis POI information service based of location in proposed model. so It provides actively more value information to user.

  • PDF

An Improvement study in Keyword-centralize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 Based on Recommendation and Classification in NDSL - (키워드 중심 학술정보서비스 개선 연구 - NDSL 추천 및 분류를 중심으로 -)

  • Kim, Sun-Kyum;Kim, Wan-Jong;Lee, Tae-Seok;Bae, Su-Yeo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9 no.4
    • /
    • pp.265-294
    • /
    • 2018
  • Nowadays, due to an explosive increase in information, information filtering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proper information for users. Users hardly obtain scholarly information from a huge amount of information in NDSL of KISTI, except for simple search.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ervice, PIN to solve this problem. Pin provides the word cloud including analyzed users' and others' interesting, co-occurence, and searched keywords, rather than the existing word cloud simply consisting of all keywords and so offers user-customized papers, reports, patents, and trends. In addition, PIN gives the paper classification in NDSL according to keyword matching based classification with the overlapping classification enabled-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for better search and access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Keywords a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rom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in 2016 to design classification model and we verify this model.

Hybrid Content Technology for Web and VR Integrated Services (웹과 가상현실 통합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콘텐츠 개발)

  • Choi, Na-Hyeon;Kim, Hyo-Jin;Oh, So-Yeong;Yu, Bo-Geun;Jin, Eun-Hy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0.11a
    • /
    • pp.575-578
    • /
    • 2020
  • 최근 교육부는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정보통신기술(ICT)와 인공지능(AI)에 관한 소양을 길러주기 위해 AI, VR 등 최첨단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과학실'을 2024년까지 모든 학교에 구축할 방침이라고 한다. 하지만 국내 VR 교육은 학년별, 교과과정에 맞춘 콘텐츠가 부족하고, VR 교육 전용 LMS(학습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현실로 도입하기에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VR 교육 특성에 맞는 LMS 대안과 10분 내외의 VR 체험을 뒷받침할 맞춤 콘텐츠로서 'Web & VR Hybrid Content'를 제안한다.

Analysing Senior and Junior Biometric Abilities for Personalized UX Design (맞춤형 UX 설계를 위한 시니어와 주니어 사용자의 생체능력 비교 분석 연구)

  • So, Aram;Lee, SeolHwa;Hur, YunA;Whang, Taesu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135-138
    • /
    • 2018
  • 스마트 시니어란 기존의 고령자 세대와 달리 문화향유 의욕을 가진 계층으로 컴퓨터, 스마트 기기 등 컴퓨팅 기기를 사용할 수 있고, 취미 문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또한 고령자의 인터넷이용률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자들은 신체적 노화에 따른 한계점에 인터넷이용에 불편을 겪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니어와 주니어의 생체능력 비교실험을 통하여 스마트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인지반응 분석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니어와 주니어의 비교분석으로 주니어에서 시니어로 변화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고 이는 스마트 시니어에게 알맞은 UI/UX제공 및 스마트 시니어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 이라 사료된다.

  • PDF

A Personalized Learning System Using Social Data and Text Classification Techniques (소셜 데이터와 텍스트 분류 기술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학습 시스템)

  • Kim, Sun-Pyo;Kim, Eun-Sang;Jeon, Young-Ho;Lee, Ki-Ho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4.11a
    • /
    • pp.718-720
    • /
    • 2014
  • 정보통신 기기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 러닝으로 교육방법이 진화하고 있다. 스마트 러닝에 있어서 학습자의 관심분야에 맞는 적절한 콘텐츠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분류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SNS 데이터로부터 관심분야를 자동적으로 파악해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텍스트 분류를 위해 카테고리 별로 기 분류되어있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였다. 텍스트 분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카테고리 분류 단위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정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실제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되는 82.5%의 정확도를 얻었다.

AI based Personalized Service System for Dementia Prevention (치매 예방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시스템)

  • Lee, Se-Hoon;Kim, Yeon-hwa;Kim, Ha-Kyoung;Kim, Mi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299-30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 사회로 인한 치매 환자 증가 문제해결을 위해 웹(web) 기반으로 동작하는 치매 예방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전 준비단계로 치매 관련 시스템 및 기술고찰을 통해 개발범위를 규정하였고, 이를 근거로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 PDF

A Study on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Provision of Disaster Response Services based on Multimedia (영상 매체 기반 재난대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재난정보 콘텐츠 연구)

  • Cho, Beom-Jun;Kim, Hyun Chul;Kim,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210-211
    • /
    • 2020
  • COVID-19으로 인해 국민들에게 전달되는 재난정보의 양상이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이는 정보통신의 발전 양상과도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전까지의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재난정보에 대한 형태는 문자와 음성으로만 제공하므로써 고령자와 외국인과 같은 재난 약자에게 명확한 상황인지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보다 정확하고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는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통신 매체(UHD 및 5G, 오픈스크린 등)를 기반으로 국민들로 하여금 신속.정확한 재난상황인지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로 인한 재난경보 관련 최근 이슈는 '내 위치 맞춤형 정보'와 '다매체 정보'가 아닐까 싶다. 정보통신 매체가 발달함에 따라 제공되는 재난경보의 범위가 내 위치를 기준으로 좁아지며, 시각적으로 직관적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각 매체의 고유 정보를 통해 위치가 확인 가능하면서 해당 지역에 맞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취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TTA에서 표준으로 제정된 CAP (Common Alerting Protocol)을 활용하였으며, 'Area' 항목에 지역코드(전국~읍면동)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가능해졌다. 또한 CAP을 활용함에 따라 텍스트부터 음성, 이미지, 웹 콘텐츠까지 최신의 영상 매체에 적용 가능한 재난정보 콘텐츠를 제공 가능해졌으며, 특히 UHD 및 5G, 오픈스크린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기반 영상 매체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콘텐츠에는 각종 관련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링크를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보다 자세한 재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재난경보에 대한 다변화를 통해 나에게 꼭 필요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발령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

  • PDF

Developement of Customized Restaurant Recommendation Application by Category Using Kotlin (코틀린을 이용한 카테고리별 맞춤형 식당 추천 애플리케이션 개발)

  • Lee, Hyung Mook;Kim, Min Sun;Yun, Sung Jin;Lee, Hyun Sik;Jo, Min Ho;Choi, Nak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285-288
    • /
    • 2022
  • 최근 코로나 확진자가 감소함에 따라 집합금지 명령이 해제되고 단계적 일상 회복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맞춰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던 학교들이 대면 수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오게 되었다. 하지만 학교에 처음 온 학생들은 학교 주변 상권에 대해 잘 모르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학생들의 고민을 줄여주기 위하여 카테고리별로 맞춤 식당을 추천해주는 서비스 개발하였다. Kotlin을 활용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개발하였으며, 네이버 지도를 활용하여 식당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였다. 또한 Firebase를 활용한 게시판을 통해 소통의 창구를 마련하고 간단한 게임 등을 통해 학우들 간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 PDF

A Study of DRMs in IPTV and Contents Sharing between different DRMs (IPTV기반 DRM 구현 및 이종 DRM간 상호 연동 방안에 관한 연구)

  • Jung, Jong-Jin;Lim, Tae-Beom;Lee, Seok-Pil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1.04a
    • /
    • pp.692-695
    • /
    • 2011
  • 미디어 서비스 및 디스커버리 관련 기술 개발은 주로 DTV, 인터넷, 개인 모바일 멀티 미디어 기기 중심의 미디어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이러한 미디어 서비스들은 홈 네트워크 환경과 융합하여 홈 미디어 서비스의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다. 개인들은 이미 많은 이동형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소유하기 시작했고, 각 기기마다 플레이 가능한 컨텐츠 포맷, 라이선스 구조, 상세정보를 기술하는 정보들이 서로 상이하게 제공되기도 한다. 이런 멀티디미어 환경의 발달과 함께, 개인간 또는 개인이 소유한 기기간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요구가 생겨나고, 개인 맞춤을 위한 서비스를 받고자 소유한 개인 컨텐츠 포맷 및 라이선스 파일들 개인정보와 콘텐츠를 기술하는 메타 데이터들은 DRM 정보, 개인의 습성 및 취향 등에 대한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보안 및 보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IPTV 환경에서 이종 DRM이 설치된 기기사이에 컨텐츠 상호 연동 방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for Water Hazard Information Services Platform (수재해 정보 플랫폼을 위한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방안 연구)

  • LEE, Jeong-Ju;CHAE, Hyo-Sok;HWANG, Eui-Ho;KIM, Do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9-639
    • /
    • 2015
  • 최근 지식정보 사회는 IT가 핵심 구성요소인 스마트 사회로 변모하고 있으며, 인간과 사물 간 의사소통에서 사물과 사물 간 의사소통까지 확장하고, IT간 융합에서 나아가 타 산업과 융합하는 지능형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공간'에 대한 정보는 '시간'과 함께 인간이 생활하는데 있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가장 근본적인 정보로써, 공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사람들과 소통을 하고 목적을 충족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현대 사회에서 공간정보는 중요한 인프라 가치를 증대시키므로 새로운 사회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재해 정보 플랫폼 구현에 앞서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고 효용가치 증대가 가능하도록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방안 연구를 하고자 한다. 공간정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형태 및 생산?활용방법이 달라졌으나 항상 중요한 정보로 인식되어 왔으며, 미래 공간정보는 단순 콘텐츠 영역을 뛰어넘어 상황(Context)정보까지 범위를 확장하였다. (1)미국의 공간정보는 시설, 기록관리 및 지도와 같은 공공분야에서 현재는 업무통합관리, 의사결정지원 등에서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로서의 역할 담당한다. (2)일본은 아시아 최고의 원천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GIS, RS(위성항측), ITS(지능형 교통 시스템)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3)영국은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공서비스를 접목하여 시민의 요구에 부응하는 고객맞춤형서비스 제공을 국가정보화의 우선과제로 선정하고 있다. (4)우리나라는 초고속통신망과 모바일 기술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어, 이러한 인프라 기반융 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안정적인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공간정보서비스의 패러다임 변화 및 추진 동향 등을 제시하였으며, 수재해정보 플랫폼 활용에 능동적 적극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공간정보서비스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강화, 수재해 정보 서비스의 효율성 증진, 재해부문 선진화 측면에서 발전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현안에 대한 미래 예측 및 대응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