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Functional Health Status, Satisfaction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and Quality of Life in Vulnerable Elderly)

  • 박영숙;이화연;권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71-5078
    • /
    • 2011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D시 B구 1개 지역보건소 방문보건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65세 이상 노인 399명을 대상으로 보건보직부에서 권고하여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기록지에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능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질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의 관절통증 사례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Program for Arthralgia in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 이무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74-478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 사용되고 있는 관절통증을 중심으로 한 사례관리를 수정 보안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관절통증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제안하며,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사업의 활성화와 완성도를 높이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07년 전국 12주 관절통증 사례관리 결과자료 분석하고, 전국 253개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인력에 대한 자료 분석과 전국 보건소 전문가 자문회의와 토론 결과를 통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2008년도 충청남도 관절통증 12주 사례관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value가 0.05 미만과 0.01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전국자료는 빈도분석, wilcoxon 부호순위 검정과 McNemar's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12주의 관절통증 사례관리의 연구기간동안 수집된 자료를 1주와 8주간, 1주와 12주간, 8주와 12주간을 paired t-test 검정과 McNemar's 검정을 실시하여 유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2주 기간 동안 사전 사례관리 방문간호사의 교육을 통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강도의 조절 및 매주로 서비스의 횟수를 조절하여 사례관리를 실시한 결과 총 109개 항목에서 1주와 8주간에 유의한 항목은 TG(mg/dl)를 비롯한 51개 항목, 1주와 12주간에는 콜레스테롤(mg/dl)을 비롯한 53개 항목, 8주와 12주간에는 지난 48시간동안 관절통증 점수를 비롯한 3개 항목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1주와 8주간은 유의하나 1주와 12주간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는 항목은 TG(mg/dl)를 비롯한 3개 항목, 1주와 8주간은 유의하지 않다가 1주와 12주간은 유의하게 나타나는 항목은 콜레스테롤(mg/dl)를 비롯한 6개 항목, 1주, 8주, 12주간의 모든 기간에서 유의한 항목은 지난 48 시간동안 관절통증 점수를 비롯한 3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사업지침에 대한 보완을 위해 관절통증사례관리 프로그램에 있어 중재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의 기간은 12주간에서 8주간으로 조정 되어야 하며, 추가가 필요한 항목으로는 교육, 자기역량 강화, 운동처방, 물리치료, 약물치료, 대체요법, 식이, 영양, 생활지도 등이며, 어골도 분석을 위한 기본 틀 및 주요 구성요소를 제시 및 기여 요인 및 결정요인을 위한 논리적 모형 제시가 필요하며, 개선목표를 위한 유지증진 및 관리능력, 지기 관리 수행도 개선과 대상자별 맞춤형 사례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행동 체크리스트 제작 보급 및 사례별 운동, 물리치료 지도 방법 계획 수립에 대한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 PDF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상담매뉴얼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Manual for Community-based Visiting Nursing)

  • 최경원;임지영;김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26-233
    • /
    • 2012
  •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인력의 실무적 역량 강화를 위하여 가정 방문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대상자와의 치료적, 공감적 의사소통 및 상담 능력 향상을 위한 상담매뉴얼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담매뉴얼은 1단계 상담준비, 2단계 신뢰형성, 3단계 진단발굴, 4단계 행동, 5단계 마무리 단계로 개발하였으며, 대상자의 상담요구에 따른 상담유형을 지지호소형, 문제해결요구형, 정보 및 조언요구형의 3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적합한 주요 상담 기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상담 기법은 지지호소형에서는 공감하기, 감정반응하기, 자기공개하기, 즉시 반응하기를, 문제해결요구형에서는 개방질문하기, 목표설정하기, 해결방안 모색하기, 요약하기를, 정보 및 조언요구형에서는 정보 제공하기, 제안하기, 해석하기 새로운 기술 가르치기를 중심으로 각각의 상담 예문을 제시하였다. 상담매뉴얼 교육 전, 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담인력의 상담능력 향상 정도를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s: CAS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조력기술 자기효능감과 회기관리 자기효능감 그리고 상담난제 자기효능감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담매뉴얼 교육을 받은 후에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담인력의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병 뉴스 제316호

  •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 월간성인병
    • /
    • 316호
    • /
    • pp.1-18
    • /
    • 2007
  • 충남 금산군 보건소 송기철 소장/“건강한 생활, 쾌적한 환경, 건강을 걸읍시다”/선진국형 당뇨병치료 시범사업 실시/‘응급의료 인프라’지속적 개선/국내 당뇨병환자 269만명 추정/암 관리사업 연구협력 활성화/노인 인구집단 성병 감염실태 조사/하루 전 국민 5.4%가 의료기관 이용/대한피부과학회‘피부건강 10계명’/의약품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 도입/‘레보텐션’가처분 결정 취소 판정/LG생명-다케다, 비만치료제 공동연구/“건강도시 건강수도 금산”/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가장 손쉽고 좋은 운동, 건강의 비결은 걷는데 있습니다”/부실한 인적 자본, 미래 위한 건강투자 시급/

  • PDF

강원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 효과 - 고혈압.당뇨 사례관리 중심 - (The Effects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in Gangwon-do - Focused on Hypertension and DM Clients -)

  • 양순옥;안수연;임은실;권명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8-100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ffects of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on hypertension and DM clients. Method: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127 hypertension and 116 DM clients. To evaluate the effects of visiting nursing service, biological indexes and self-care abilities were measured from April to July, 2007. Result: Biological indexes and self-care abilities were improved in the hypertension and DM clients who received visiting nursing service. Especially,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sugar showed a dramatic decrease. Conclusion: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by public health centers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nursing service in Gangwon-do. Therefore, case management is demanded not only for hypertension and DM but also for other chronic diseases.

  • PDF

성인병 뉴스 제314호

  •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 월간성인병
    • /
    • 314호
    • /
    • pp.1-26
    • /
    • 2007
  • 강원도 횡성군 보건소 염경숙 소장/대대적 국가암관리사업 추진/노인장기요양보험 3차 시범 내달 시행/만성질환 예방의식 고취 총력/65세 이상 노인 30%가 당뇨 환자/성인 3명 중 1명 중증 안구건조증 환자/“감 잘못 먹으면‘위석’생긴다”/방문보건.재가복지통합사업 성과 커/자율방역봉사단 구성 맞춤형 모기방제 실시/보건의료투자 전략, 어떻게 추진되나/고령친화 모델지역 기본 구상/생명표 작성, 국민건강실태 분석/

  • PDF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활성화를 위한 직무교육 만족도 (A Study of Job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Activating of Tailor Made Visiting Home Health Care)

  • 임지영;김지윤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3-30
    • /
    • 200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of tailor made visiting home health care. Method: For this study, the subject was recruited in one directorial area among 14 nation-wide areas.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Ninety on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response rare was 88.3%. Result: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Aspect of education operations,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space was revealed high. However,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time, hour, and schedule were low. The overall satisfaction of education contents were revealed high. The most useful curriculums were fou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Infant & toddler health management, and Case management of tailor made visiting home health care. However the most unuseful curriculums were Nutritional management according to subject's health problem, Health promotion for poor family, and Understanding of visiting service in community health center. Conclusion: With these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most needed contents of tailor made visiting home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So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develop the mor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activate tailor made visiting home health care service in community health center.

  • PDF

커뮤니티케어 기반 방문구강관리 중재에 의한 노인의 구취 농도 변화 (Changes in concentration of VSCs after home oral care interventions based on community care in older adults)

  • Myeong-Hwa Park;Min-Sook Jeong;Jong-Hwa Jang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1-103
    • /
    • 2023
  • 연구목적: 초고령 사회 도래로 2019년부터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커뮤니티케어)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케어 사업 기반의 방문 구강건강 관리 중재를 통한 노인의 구취 감소 및 구강 건강 상태가 향상된 증례보고이다. 연구방법: 재가방문에 의해 치과의사가 구강검사를 한 후 치과위생사가 2인 1조로 주 1회 총 12회 맞춤형 노인 구강관리 중재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돌봄 노인 73명 중 3명을 선정하여 구강건강 상태의 변화를 관찰하고 구취 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돌봄 노인 모두 주관적 구강건강 및 구강위생 상태가 호전되었다. 구취농도는 증례 1의 경우 중재 전 44.5 ROV로 나타났으나, 9주 후 15.5 ROV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준와상상태인 증례 2는 중재 전 14.5 ROV에서 중재 후 12 ROV로 구취가 감소하였다. 증례 3의 구취농도는 중재 전 6.5 ROV에서 9주 후 6 ROV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결론: 방문 구강건강관리 중재활동은 전반적으로 구취 예방 및 구강건강 상태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구취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신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방문 구강건강관리의 활성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시된다.

현장관리중심 교육훈련프로그램의 방문건강관리 이해도 및 업무수행능력 인식에 대한 효과 (Effects of the Field Management Training Program for Home Care Services : Understanding and Professional Competence)

  • 김재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2호
    • /
    • pp.111-123
    • /
    • 2010
  • 본 연구는, 2007년 맞춤형으로 강화된 방문건강관리를 시작하면서, 기존 방문보건사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인력활용에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사업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실시한 현장중심교육훈련에 대해 부분적으로나마 평가를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결과가 교육훈련 전반에 대해 해석되기에는 무리가 있겠으나, 가장 중요한 이해도 및 업무수행능력 측면에서 평가를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 이해도 및 업무수행능력 모두 교육훈련 전 후에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대상자의 업무관련 경력 및 간호직으로서의 전문성 여부와는 상관없이 교육훈련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교육훈련을 실시한 권역별로는 효과의 차이가 있었다. 한편 사업에 대한 이해도는 업무수행능력에 원인적 연관관계가 있었다. 이런 자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장관리중심으로 이루어진 방문건강관리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무현장관리에 초점을 둔 본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되, 교육훈련 2차, 3차에 대한 평가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강화방안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새롭게 구성된 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이루어진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로, 지속적인 교육훈련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확대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사업이 정착되면서 교육훈련은 신규 관리자와 기존관리자를 구분하여 이원체계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이들 각각에 적용될 별도의 평가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모든 권역에서 동일한 수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 전에 모든 권역을 분석대상에 포함시키고 다른 측면에서도 교육효과의 차이를 평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의 효과가 권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상자 수등의 한계로 전체 권역을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교육훈련도 맞춤형 서비스에 걸맞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의 환경 및 주민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서비스가 교육훈련 내용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국 규모의 일률적인 교육훈련 외에, 지방 단위의 교육훈련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현재 3~4개의 FMTP가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모두 공공보건의료기관의 보건의료인력이라는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교육훈련내용의 큰 틀은 지역보건의료이다. 따라서 교육내용의 상당 부분은 겹치기 마련이며, 동일한 대상자들이 여러 FMTP에 중복 참가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불필요한 예산이 소요될 수 있으며, 거의 의무적으로 참가자를 보내야 하는 보건의료기관은 업무수행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다.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한 후 이에 근거하여 교육대상자를 선정하고, 전체 교육훈련과정에 일괄적으로 참여하는 식이 아니라 각자 필요한 부분에 선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FMTP 경험여부만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가 위의 제언에 대한 근거자료가 되지는 못하는데, 이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FMTP 횟수가 교육훈련의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업무수행능력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지 못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보건의료인력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한 연구 및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 사업의 효율성뿐 아니라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 제고에 더 큰 기여할 수 있기를바란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노인대상자의 고혈압군, 당뇨군, 고혈압.당뇨군별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among Hypertension Group, DM Group, and Hypertension DM Group for the Aged Provided with Customized Home Care Service by Visiting Nurses)

  • 형희경;장효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2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among the hypertension group, the DM group, and the hypertension-DM group for aged clients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cross-sectional resear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5 aged people over 65 living in J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measure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t-test and ANOVA were used for the analyses. Results: BP and glucose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ypertension-DM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Stroke, arthriti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Depression was high,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Smoking and drink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Physical activity was very low, especially in the hypertension group. Medication was high, especially in the hypertension-DM group.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are plans for the hypertension-DM group, and educate the group for care management. Also,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s are needed for the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