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맞춤형 가구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스마트 화재 및 방범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ustomized Smart Fire and Security System for one person household)

  • 한훈영;김균호;주민수;고동범;김정준;박정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95-304
    • /
    • 2019
  • 본 논문은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스마트 화재 및 방범 시스템을 소개한다. 최근 독신 인구의 증가 및 고령화로 인한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1인 가구를 위한 사설 보안 업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및 센서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보안 시스템 또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점차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인구 구조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기존 시스템은 다인가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1인 가구에서 활용하기에 규모가 너무 크고 화재 감시, 방범 시스템이 별개의 구조로 작동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방범 시스템과 화재 감시 시스템이 통합된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안전대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통해 기존 사설 업체이용보다 적은 비용으로 경찰의 치안이 닿지 못하는 곳의 범죄 활동을 예방하고 실시간으로 주택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유자녀가구 유형별 빈곤의 사회경제적 특성연구: 남성한부모가구, 여성한부모가구, 양부모가구 비교분석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Poverty by Types of Household with Children: Comparing Male-headed, Female-headed, and Dual-parents Household)

  • 김학주
    • 한국인구학
    • /
    • 제29권3호
    • /
    • pp.73-87
    • /
    • 2006
  • 본 연구는 유자녀가구를 가구주의 성별에 따라 남성한부모가구, 여성한부모가구, 양부모가구로 분류한 다음 가구유형별 경제적 빈곤실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부모가구라 할지라도 가구주 성에 따라 이질적인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발견되었다. 또한 여성한부모가구주들은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우에도 상대적 빈곤층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는 단순히 인적자본의 확충만으로는 이들 가구를 상대적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많은 제약이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론 경제적으로 취약한 한부모가구들에서 이전소득보다는 가구주 근로소득의 절대적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한부모가구의 빈곤탈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저생계비 기준의 단순한 상향조정보다는 어린 자녀를 가진 한부모가족을 위한 직접적인 양육 및 주거비절감 대책이 요구된다. 둘째, 남성한부모가구의 경우에도 공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가 매우 적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최저생계비 결정 및 집행과정에 있어서도 현재는 가구원 총수만이 고려되고 있으나, 사적이전소득의 격차와 기타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가구주의 성별, 자녀수, 자녀의 연령 등에 따라 차등화된 세부 기준에 따라 시행되는 편이 보다 합리적이다. 셋째, 저소득층 한부모가구주들을 대상으로 보다 나은 근로조건과 경제적 인센티브를 주는 근로연계형 복지제도와 대상자의 특성별 맞춤형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한다.

Study on Customized Education through Job Analysis for the Department of Furniture Design -Focusing on the Computer Application-Oriented Education for Furniture Design Coordinator-

  • Lee, Young-Choon;Shin, Rang-Ho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05-51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2년제 대학 가구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의 개선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2단계의 단계별 과정을 수행하였다. 첫째는 직무분석 전문가와 실무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선정된 직종의 직무분석을 하고 학생이 졸업 후 해당 직종에 취업할 경우 취업 적응력 및 업무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대상 직종은 가구디자인 코디네이터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1단계 직무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맞춤형 교과과정을 새로이 개설하고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디자인 결과물을 유도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실무작업에 대한 이해도와 작품 완성도가 높아졌으며 전공 수업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분석 결과와 이에 따른 맞춤형 교과과정의 시행 내용, 그리고 최종 결과물을 통해 연구의 효율성 검토 그리고 향후 개선 방향의 제언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대학 교육의 내실을 기하고, 학생들의 경쟁력 제고 및 취업 후 업무 적응능력 향상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구디자인 코디네이터라는 직종뿐 아니라 다양한 가구디자인 관련 직종의 직무분석 및 그에 따른 맞춤형 교육과정 시행의 초석이 다져지길 바라며 더 나아가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대학 교육의 실현을 기대한다.

  • PDF

고령소비자의 맞춤형 식품개발을 위한 조리과학적 접근

  • 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47
    • /
    • 2003
  • 노인 인구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양적인 수명연장 뿐만 아니라 노후생활의 질적향상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삶의 질을 결정하는 데는 건강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식생활은 노인건강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노인의 건강 생활에는 적절한 영양섭취가 필수적이며 이에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핵가족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인 부부가구 및 독신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중략)

  • PDF

사용자혜택 이론에 따른 신혼·육아가구 맞춤형 주택계획가이드 라인의 특성 연구 (User Benefit Characteristics of Customized Housing Design Guideline for Childcare Families)

  • 이연숙;안소미;박재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63-70
    • /
    • 2016
  • Modern society is suffering from the phenomena of low-fertile, ultra-aging, and low-growth. On this social flow, most social classes undergo vulnerable situation and their overall housing and living condition have difficulties. So far many housing guidelines for diverse population were developed, recently, inclusive 'Customized Housing Design Guideline for Childcare Families' in terms of maintaining family and society has been comple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 Benefit Characteristics of 'Customized Housing Design Guideline for Childcare Families'. The research subjects are essential 140 guidelines appropriate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parents' care. The research method is contents analysis and the analysis criterion are 4 concepts of the User Benefit Criteria- 'Behavioral Facilitation (BF)', 'Physiological Maintenance (PhM)', 'Perceptual Maintenance (PM)', 'Social Facilitation (SF)'. 3 people inter-raters reliability was established. Altogether, the guidelines were rated in the order of PhM>PM>BF>SF,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similar as comm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This showed the supportability of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guidelines related to user's special behaviors. Also, th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outdoor space planning for safe social interactions. The supportable characteristics of 'Customized Housing Design Guideline for Childcare Families' could be expected to efficiently apply for new housing development in the future.

맞춤형 IPTV 광고 서비스를 위한 에이전트 설계 (A Design of Agent for Personal IPTV Advertising)

  • 최준명;최한석;김동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9-952
    • /
    • 2009
  • 2007년 IPTV 가입 가구가 100가구를 넘어섬에 따라 앞으로 IPTV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PTV 시장의 거대화로 인해 IPTV 광고 시장도 2015년 8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광고 중심 매체도 TV광고에서 IPTV광고 또는 웹상의 온라인 광고가 중심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현재 TV광고와 IPTV 광고를 비교하고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 IPTV 광고를 서비스하기 위한 에이전트를 설계한다.

  • PDF

1인가구를 위한 조합형 커스텀 가구디자인 연구 (아트퍼니처 테이블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bined custom furniture Design for Single Person Households (Focused on the art furniture table))

  • 황선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393-400
    • /
    • 2018
  • 현대사회 속에서 주류로 부상한 1인가구를 위한 맞춤형 가구에 관해 디자인하고자 한다. 특히 삶의 질을 높이려는 세대의 경향에 주목하여 아트퍼니처에 가까운 심미적인 가구들을 디자인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현재 발표되고 있는 국내외의 아트퍼니처를 살피고 그 경향들을 토대로 조합형 커스텀디자인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합형 커스텀 디자인은 기존의 것과는 달리 파츠별로 구분하여 독립된 디자인을 만들고 이를 융합함으로서 보다 다양하면서도 적극적인 조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삶의 질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 1인가구들의 능동적인 성향과 궤적을 같이 하며 특히나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기에 기존의 공예공방 체계 속에서 생산이 가능할 것이며 실제 조합형 커스텀 디자인을 통한 두 개의 테이블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붙박이장의 형태, 구조 변화와 소비자 특성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Furniture Design Preference according to Consumers Characteristics)

  • 이승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46-155
    • /
    • 2008
  • 오늘날 우리나라의 주거문화가 일반주택에서 아파트 주거환경으로 확산되면서 안방가구 장롱에 변화도 일반장에서 붙박이장과 같은 맞춤형가구로 변화해 가고 있다. 소비자의 생활이 풍족하고 여유로워 짐으로써 안방가구도 개개인의 소비자 욕구에 맞는 형식과 기능, 디자인 특성으로 바뀌어져 가고 있다. 따라서 붙박이장의 특성으로 구조, 기능, 소재를 고찰하여 기본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일반장과 붙박이장을 비교 분석하여 환경에서의 변화요소와 편리성에서의 변화요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자가지 특성과 개성에 맞는 형태와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비자 욕구 형태를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변화에서 어울리는 디자인적인 요소와, 다른 공간에서의 변화에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내부공간 활용이 가능한 효율적인 형태 구조를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제공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금준규;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35-368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외 1인 가구 대상 공공서비스 및 도서관서비스 운영 현황과 도서관 이용자 및 전문가 대상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방향 및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 제시된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방향은 1인 가구의 삶과 밀착된 정보자원을 확보하여 제공하고, 서비스를 담당할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자치구 도서관과 함께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자료 중심 도서관에서 벗어나 1인 가구를 포함한 이용자 중심의 시설 인프라를 조성하고, 1인 가구의 특성과 분포에 따른 권역별 특화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인 가구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으로는 취약한 1인 가구를 위한 사회적 활동지원, 사회적 유대, 돌봄, 봉사활동, 여가 및 문화활동 분야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보고, 청년, 중장년, 여성 1인 가구 대상의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고연령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 가구주의 활동제약을 중심으로 (Housing Tenure Choice Decisions of Older Households - With Focus on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Householders -)

  • 정보선;조용경;이상엽
    • 부동산연구
    • /
    • 제28권1호
    • /
    • pp.39-5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연령가구의 주택점유에 있어서 신체기능적 건강상태의 측면에서 가구주의 활동제약이 점유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18차연도의 가구 및 개인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주의 연령이 55세 이상인 고연령가구를 대상으로 프로빗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가 활동제약 혹은 사회활동 제약이 있는 경우 자가선택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활동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의료비용이 증가하고 경제활동 참여의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조기은퇴의 가능성이 높아 소득이 감소하게 되므로 자가 거주의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고령자 중에서도 자립자에 비해 활동제약자가, 일상생활 활동제약자에 비해서는 사회활동 제약자가 더욱 열악한 주거취약계층일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가구주의 활동제약을 중심으로 고연령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는 신체적 취약성을 고려하는 주택개량사업, 고령자 맞춤형 임대주택 등 주거복지정책의 대상인 취약계층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