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말지각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Influence of perceptual load on target identification and negative repetition effect in post-cueing forced choice task (순간 노출되는 표적의 식별과 부적 반복효과에 지각부하가 미치는 영향)

  • Kim, Inik;Park, ChangH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3 no.1
    • /
    • pp.1-22
    • /
    • 2022
  • Lavie's perceptual load theory (Lavie, 1995) proposes that the influence of distractors would be blocked as the load gets higher. Studies of perceptual load have usually adopted the flanker task, developed by Eriksen and Eriksen (1974), which measures reaction time on the target flanked by distractors. In the post-cueing forced task, participants should report the identity of the target cued later, and 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 has often been observed. NRE means the effect that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is worse when the target is flanked by the same nontargets than when flanked by different nontargets. This study has tried to check whether perceptual load has an effect on identification rate and NRE. Experiment 1 manipulated the similarity between targets and a distractor, and observed a tendency of NRE, but not the effect of perceptual load. Experiment 2 used 4, 2 (in two kinds of diagonal arrangement), or none distractors of the same identity to burden more perceptual load. NRE was significant and perceptual load showed significance but not a linear trend. Experiment 3 checked again whether NRE would be varied according to two levels of perceptual load strengthened by positional variability of load stimuli, but did not find the effect of perceptual load. It is concluded that perceptual load might have a limited effect on the early stage of perceptual processing due to divided attentional processing of the targets briefly expose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Effects of gender and emotional expression of anthropomorphic interface agent on users' perception of the agent (의인화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성별과 정서 표현이 에이전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효과)

  • Chung, Duk-Hwa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18-525
    • /
    • 2007
  • 컴퓨터와 사용자와의 효과적인 정서적 상호작용의 도구로서 의인화된 형태의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정서 표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는 의인화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가 어떤 정서를 표현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인간과의 원활한 정서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떤 정서인가의 문제만이 아니다. 인간은 타인의 상황과 정서에 공감하는 방식으로 정서를 표현하는 상대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또한 공감하는 방식의 정서 표현은 사회적으로 적용되는 성별 고정관념에 따라 여성적 속성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공감하는 방식의 정서 표현이라 하더라도 표현의 주체가 남성이냐 여성이냐에 따라 상대방의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간의 사회적 관계에서 일어나는 공감적인 정서 표현과 표현하는 주체의 성별의 효과가 인간-인터페이스 에이전트간의 상호작용에서도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참가자와 인터페이스 에이전트가 함께 게임에 참여하는 과제를 실시하고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성별, 참가자의 성별, 얼굴 표정과 말을 통한 정서 표현의 공감 여부(타인의 상황에 공감하는 정서 표현 - 자신의 상황에 대한 정서 표현), 정서 표현 여부(얼굴 표정과 말로 정서를 표현 - 정서가 배제된 무표정과 말)에 따라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에 대해 참가자가 지각한 배려, 호감, 신뢰, 지능, 지배, 순종이 어떻게 다른지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타인의 상황과 정서에 공감하는 방식으로 정서를 표현하는 에이전트의 배려, 지능, 순종적 성향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를 표현하거나 정서가 배제된 표현을 하는 조건에 관계없이 참가자가 지각하는 배려와 호감의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를 표현하는 조건에서 배려와 호감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대로 참가자가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에 대해 갖는 신뢰에 대해서 여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를 표현하거나 정서가 배제된 표현을 하는 조건에 관계없이 참가자가 느끼는 신뢰의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가 배제된 표현을 하는 에이전트에게 더 높은 신뢰를 보였다. 또한 남성 참가자에 비해 여성 참가자가 에이전트의 배려, 호감, 지능, 순종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에이전트 간의 원활한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어떤 정서를 표현할 것인지 뿐만 아니라 누구에 대한 정서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정서를 표현하는 에이전트가 남성인지 여성인지, 에이전트와 상호작용하는 사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Effects of vowel types and sentence positions in standard passage on auditory and cepstral and spectral measures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모음 유형과 표준문단의 문장 위치가 음성장애 환자의 청지각적 및 켑스트럼 및 스펙트럼 분석에 미치는 효과)

  • Mi-Hyeon Choi;Seong Hee Choi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5 no.4
    • /
    • pp.81-90
    • /
    • 2023
  • Auditory perceptual assessment and acoustic analysis are commonly used in clinical practice for voice evalu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speech task context on auditory perceptual assessment and acoustic measures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Sustained vowel phonations (/a/, /e/, /i/, /o/, /u/, /ɯ/, /ʌ/) and connected speech (a standardized paragraph 'kaeul' and nine sub-sentences) were obtained from a total of 22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GRBAS ('G', 'R', 'B', 'A', 'S') and CAPE-V ('OS', 'R', 'B', 'S', 'P', 'L')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were evaluated by two certified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pecializing in voice disorders using blind and random voice samples. Additionally, spectral and cepstral measures were analyzed using the analysis of dysphonia in speech and voice model (ADSV).When assessing voice quality with the GRBAS scale, i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vowel type except for 'B', while the 'OS', 'R' and 'B' in CAPE-V were affected by the vowel type (p<.05). In addition, measurements of CPP and L/H ratio were influenced by vowel types and sentence positions. CPP values in the standard paragraph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vowels,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observed for /e/ vowel (r=-.739). The CPP of the second sentence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all vowels. Depending on the speech stimulus, CAPE-V may have a greater impact on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than GRBAS, vowel types and sentence position with consonants influenced the 'B' scale, CPP, and L/H ratio. When using vowels in the voice assessment of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it would be beneficial to use not only /a/, but also the vowel /i/, which is acoustically highly correlated with 'breathy'. In addition, the /e/ vowel was highly correlated acoustically with the standardized passage and sub-sentences. Furthermore, given that most dysphonic signals are aperiodic, 2nd sentence of the 'kaeul' passage, which is the most acoustically correlated with all vowels, can be used with CPP. These results provide clinical evidence of the impact of speech tasks on auditory perceptual and acoustic measures, which may help to provide guidelines for voice evaluation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Die sinnliche Vorstellung und der Geist in der Berkeleyschen Erkenntnistheorie (버클리 인식론에서 감성적 관념과 정신)

  • Mun, Seong-Hwa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05
    • /
    • pp.215-242
    • /
    • 2008
  • Die Erkenntnistheorie von Berkeley entwickelt sich in der Auseinandersetzung mit den Lehren von Descartes und Locke, und sie ist als die idealistische Linie durch Hume mit dem deutschen Idealismus verbunden. Berkelez nimmt die Erfahrung als Ausgangspunkt der $M{\ddot{o}}glichkeit$ des Denkens an, und bei ihm kann die Erkenntnis durch die radikale Untersuchung des Objekts zur Sicherheit gelangen. Durch diese Untersuchung will er den Skeptizismus und die Spekulation, die sich auf das innere, unerfahrbare Wesen der Dinge bezieht, vernichten. Wir $k{\ddot{o}}nnen$ also bei ihm die Sinnesideen(ideas imprinted on the sense) als die Objekte der Erkenntnis, den Geist (mind) als das Subjekt der Erkenntnis und das $Ged{\ddot{a}}chtnis$ und die Einbildungkraft (memory and imagination) als die Vermittlung der Erkenntnis auffassen. Berkeley nennt solche Objekte die sinnlich von uns wahrgenommenen Dinge. Solche Dinge sind zwar wirkliche Dinge, aber sie bestehen als die durch die Sinne wahrgenommenen Ideen nicht $selst{\ddot{a}}ndig$ $au{\ss}erhalb$ der Geister, der sie wahrnimmt oder erkennt, existieren. Daher ist nach Berkeley 'esse'(das Sein solcher Dinge) 'percipi'(Wahrgenommenwerden): "esse est percipi".

The Plays of Kang Yang Won and The Theatre Troupe Dong (강량원과 극단 동의 연극)

  • Shim, Jae-Mi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3
    • /
    • pp.139-155
    • /
    • 2019
  • The Plays of Kang Yang Won and the Theatre Troupe Dong don't aim to use the body as a system of sign in order to express the mind. They want to show the physical presence of an actor which induces sensuous perception of audience, so the possibility of the aesthetics of performativity can be open. Therefore, the properties of body sound and space have important meaning. At the same moment the body of audience has to be open to the perception. It means that the audience has to be ready to perceive the energy breathing density and tension etc. which the body of actor causes. As a result, the audience experiences a simultaneous opening of consciousness and perception: simultaneous opening of consciousness and perception gives the chance of receiving the emergent meaning.

Research commuter terminal system using finger vein (지정맥을 이용한 출퇴근 단말기 시스템 연구)

  • Jeong, Dong-Jin;Cho, Jae-Hyun;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672-673
    • /
    • 2016
  • 최근 위변조에 의한 본인 인증 관련 사고가 급증하였으며 지문인식 밑 기타 다양한 인증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람의 지정맥을 활용한 인증 시스템의 개발에 차세대 인증 시스템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정맥 인증 기술은 손가락 두 번째 마디 내 정맥을 말한다. 지정맥의 특성은 겉으로 보이지 않고 사람마다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위 변조가 불가능하다. 뿐만아니라 지정맥 인증은 인증 절차가 간단하고, 보안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지문을 이용한 출/퇴근 정보는 각종 관련 사고를 유발 시킬 수 있음을 방지하고자 지정맥을 이용한 본인 인증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고, 각종 부당 취득 사고(추가근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지정맥을 이용해 출입/퇴근 시간을 기록하며 기록된 데이터로 지각/추가 근무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물을 통해서 지정맥을 이용한 출/퇴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엑셀/텍스트에 저장하고, 기록된 정보를 이용해 지각/추가근무 시간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각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of th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in Daniel Libeskind Architectural Space (다니엘 리베스킨트 건축 공간의 경관적 해석에 관한 연구)

  • Song, Dae-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2
    • /
    • pp.7372-7379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Daniel Libeskind's architecture by analyzing the perceived form characteristics visually and the sense of space recogniz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in Daniel Libeskind architecture. The results showed that Libeskind is to deconstruct not only the 'temporal boundaries' but also the 'morphological contradiction' through sketch and public architecture by de-constructive language. These series of work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space perceived time and space in the past by the 'Blurredness of temporal and spatial borderline'.

Consonant Inventories of the Better Cochlear Implant Children in Korea (말지각 능력이 우수한 인공와우 착용 아동들의 조음 특성 : 정밀전사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Chang, Son-A;Kim, Soo-Jin;Shin, Ji-Young
    • MALSORI
    • /
    • no.62
    • /
    • pp.33-4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phoneme inventories and phonological processes of cochlear implant(CI) children and 2) to describe their utterances using narrow phonetic transcription method. All ten subjects had more than 2 year-experience with CI and showed more than 85 % open-set sentence perception abilities. Average consonant accuracy was 81.36 % and it was improved up to 87.41% when distortion errors were not counted. They showed similar phonological processing patterns to HA or normal hearing children in some way as well as different phonological processing patterns from HA or normal hearing children. The prominent distortion error pattern was weakening of consonants. Every subject had his/her idiosyncratic error pattern that demanded his/her own individualized therapy program.

  • PDF

Consonant Inventories of the Better Cochlear Implant Children in Korea (말지각 능력이 우수한 인공와우 착용 아동들의 조음 능력;음소의 정밀 전사)

  • Chang, Son-A;Kim, Su-Jin;Sin, Ji-Yeong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2007.05a
    • /
    • pp.274-27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scribe the phoneme inventories of cochlear implant(CI) children and 2) to describe their utterances using narrow phonetic transcription method. All the subjects had more than 2 year-experience with CI and showed more than 87% open-set sentence perception abilities. Average consonant accuracy was 81.36% and it was improved up to 87.41% when distortion errors were not counted. They showed different error patterns from hearing aid users. The prominent error pattern was weakening of consonants.

  • PDF

청각장애 아동과 건청아동의 이중모음 산출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특징 비교

  • 배남주;고도흥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244-244
    • /
    • 2003
  • 말소리의 생성 및 전달에서 화자의 청각적 피드백은 말소리 발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도흥 외, 2000). 그러나 청각장애 아동의 경우, 청각적인 피드백이 부족하여 말소리 발달과 언어발달에서 지체를 보이게 된다. 특히 이러한 말소리 발달은 아동의 말명료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국내외 여러 학자들은 청각장애 아동의 말 산출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연구 중 이중모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의 청각장애 성인이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부분 연구자의 지각적이고 주관적인 입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좀더 객관적인 연구 자료는 임상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말소리 발달의 연구에서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각장애 아동의 이중모음의 특징을 음향음성학적인 방법으로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그 자료를 제시하고, 건청 아동과의 비교를 통해 임상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