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말더듬 성인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어 평마찰음 /s/ 연장음에 대한 비유창성 양상 연구 (Korean listeners' mode of perceiving the durational variations of /s/ as prolongations)

  • 박진;고복순;박소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67-76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어 화자의 말소리 연장에 대한 비유창성 양상(즉, 단속적 vs. 연속적)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총 35명의 성인(남자 17명, 여자 18명)이 한국어 평마찰음 /s/를 원래 길이에서 20 ms씩 980 ms까지 연장 변조한 총 50개의 자극이 들어 있는 문장을 듣고, 비유창성 정도에 대해 1에서 100점(100에 가까울수록 매우 비유창함) 척도로 평가하였다. 연장음 길이에 따른 비유창함 정도의 지각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곡선추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정된 R 제곱값(adjusted R2)이 가장 높은 수치의 모형을 선정하였다. 각 연장음에서의 비유창함 정도에 대해 남녀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변량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혼합분산분석(mixed ANOVA)을 통해 전체 연장음 구간을 10분위(decile)로 나누어 각 분위와 남녀 간의 효과, 그리고 두 변수 간 상호작용 유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연장음의 길이와 비유창함 정도 점수 간의 관계는 S자형 모형의 연속적인 지각 특성을 보였다. 비유창함 정도 지각에 있어 각 연장음에서 유의한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위 분석결과, 연장음 길이가 짧아 상대적으로 유창하게 들리는 구간(1분위)에서는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연장음 길이가 길어 상대적으로 비유창하게 들리는 구간(10분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비유창하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전 연구들과 비교를 통한 논의와 함께 말더듬 평가와 관련해 임상적 제언도 기술하였다.

장.노년기 성인의 유창성 특성 연구 (Speech Fluency Characteristics of Adults in Their Manhood and Senescence)

  • 전희숙;김효정;신명선;장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18-326
    • /
    • 2011
  •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신경학적 결함을 가진 장 노년기 성인들이 증가하면서 신경 말 언어장애 성인들 의 재활을 위하여 구어 유창성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언어장애가 없는 50대에서 70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언어표본을 수집하여 연령 및 성별로 구어 유창성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50대, 60대, 70대 각 연령대별 30명(남15명, 여15명)씩 총 90명의 언어 표본을 수집하여 구어 속도, 비유창성 빈도 등을 비교한 결과, 첫째, 70대 성인의 구어 속도가 50대 및 60대 성인의 구어 속도보다 느렸다. 그리고 50대, 60대 및 70대 모두 성별 간 구어 속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둘째, 50대, 60대 및 70대 성인들 간 정상적 비유창성 및 전체 비유창성의 빈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각 연령대별 성별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셋째, 모든 연령대 성인들의 구어 속도와 비유창성 빈도와 상관이 없었다.

말더듬 아동과 성인에게서 나타난 비유창성의 음운특성 (The Phonemic Characteristics of Disfluencies in Children and Adults Who Stutter)

  • 한진순;이은주;심현섭
    • 음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59-77
    • /
    • 2005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honemic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the disfluencies of children and adults who stutter.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9 boys and 1 girl) and 10 male adults. After having the participants to read out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Sim, Shin & Lee, 2004) passages, each of the productions were divided into syllables and words, and then the frequencies and the ratios of their disfluencei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phonemic feature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disfluency, the participants stuttered more in the words which start with consonant than vowel. But they showed more disfluencies in the words initiated with vowel than consonant when the ratio of each phoneme's presences were considered. There found different tendencies among the phonemic features related with their disfluencies occuring with ralatively high frequency or ratio.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exact relationships among the order of the sound acquisition, phonemic complexity, and the disfluencies. To study the exact influence of the phonemic features upon the disfluencies, it comes important to consider the frequency of the stuttering itself together with the ratio of the disfluencies in which the opportunity of the specific sound's presence was considered.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studies which has similar purposes, it seems important to consider the tasks and the methodologies in depth.

  • PDF

말더듬 성인에 대한 직업 추천 양상과 관련 요인 분석 (Occupational advice for adults who d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 박홍주;박선영;장혜경;박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91-109
    • /
    • 2016
  • This study was mainly aimed to investigate on the perceptions of occupational suitability for speakers wh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90 college students who do not stut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sked to hear one of three audio recordings(i.e., fluent version, mildly-stuttered version, and severely-stuttered version) of a male speaker who stuttered. The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speaker's communicative functioning, personal attributes, and suitability for 31 occupations, along with perceptions of the occupations' speaking demands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Results show that speakers who stuttered (i.e., mildly-stuttered and severely-stuttered version) received lower suitability ratings for high speaking demand occupations than for low speaking demand occupations.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perceived speaking demand strongly affected occupational suitability ratings at both levels of stuttering severity.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occupational suitability ratings were not associated with ratings of the speaker's personal attributes and perceived educational requirements.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argued that adults who stutter may face occupational stereotyping and/or role entrapment in work settings.

배경소음상황에 따른 성인 말더듬화자의 발화 관련 변수 비교 (Effects of Background Noises on Speech-related Variables of Adults who Stutter)

  • 박진;오선영;전제표;강진석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27-37
    • /
    • 2015
  • This study was mainly aimed at investigating on the effects of background noises (i.e., white noise, multi-speaker conversational babble) on stuttering rate and other speech-related measures (i.e., articulation rate, speech effort). Nine Korean-speaking adults who stutter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of the participants was asked to read a series of passages under each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i.e., typical solo reading (TR), choral reading (CR), reading under white noise presented (WR), reading with multi-speaker conversational babble presented (BR). Stuttering rate was computed based on a percentage of syllables stuttered (%SS) and articulation rate was also assessed as another speech-related measure under each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o examine the amount of physical effort needed to read, the speech effort was measured by using the 9-point Speech Effort Self Rating Scale originally employed by Ingham et al. (2006).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ach of the passage reading conditions in terms of stuttering rate, articulation rate, and speech effort. In conclus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two different types of background noises (i.e., white noise and multi-speaker conversational babble) are not different in the extent to which each of them enhances fluency of adults who stutter. Self ratings of speech effort may be also useful in measuring speech-related variables associated with vocal changes induced under each of the fluency enhancing conditions.

초고속 성대촬영기(High-Speed Digital Imaging)를 이용한 말더듬인과 근 긴장성 발성장애인의 /이/모음 발성 시 성대 진동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Vocal Fold Vibratory Behaviors Shown in the Phonation of the /i/ Vowel between Persons who Stutter and Persons with Muscle Tension Dysphonia Using High-Speed Digital Imaging)

  • 정훈;안종복;박진향;최병흔;권도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권4호
    • /
    • pp.195-20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high-speed digital imaging (HSDI) to compare vocal vibratory behaviors of persons who stutter (PWS) and persons with muscle tension dysphonia (PMTD) for uttering the /i/ vowel in a bi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fold vibratory behaviors of PWS. This study surveyed seven developmental PWSs and seven PMTD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two groups' vocal fold vibratory behaviors, of seven PWSs, three were found to be close vocal tract (VC) and four were found to be combination vocal tract (VCB). Of the seven PMTDs, one was found to be VC, and the other six were found to be VC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voicepri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pen vocal tract (VO) found in normal groups in research conducted by Jung, et al. (2008b) appeared in both groups of this study. Even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oiceprint before vocalization. Second, a VKG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wo groups' vocal cord contact quotient. As a result, the PWS group's vocal cord contact quotient changed gradually from an irregular one at the initial vocalization stage to a regular one. The PMTD group continued the tension at the initial vocalization. Putting together all of these results, there is a difference in vocal fold vibratory behaviors between PWSs and PMTDs when they speak. Thus, there was a difference in muscular tension between the two groups.

  • PDF

연장음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정도 평가: 등간척도와 직접크기평정 비교 연구 (The perceptual judgment of sound prolongation: Equal-appearing interval and direct magnitude estimation)

  • 박진;차화정;배세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59-67
    • /
    • 2023
  • 본 연구는 연장음의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지각 정도에 대해 각각 등간척도와 직접크기평정을 통한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한 후, 두 평가의 결과치가 선형적인 또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연장음의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지각 정도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4명(남: 9명, 여: 25명, 평균연령: 32.9세)이 평가자로 참여였다. 실험참여자는 먼저 한국어 평마찰음 /s/를 원래 길이에서 80 ms씩 연장하여 2,000 ms(i.e., 285 ms, 365 ms., ..., 2,125 ms, 2,205 ms)까지 연장 변조한 총 25개의 자극이 들어 있는 문장을 듣고, 등간척도(1-7점, 1은 '정상', 7은 '심도')로 평가하였다. 이후에 등간척도 평가 결과, '경중도'(4점)에 해당하는 음성샘플을 선정해 이를 기준 평가치(modulus)로 하여 직접크기평정을 실시하였다. 두 평가 결과치에 대한 산포도를 작성한 후, 모형 분석을 통해 두 측정치 간의 관계가 선형적(linear)인지 비선형적(curvilinear)인지 R2값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두 평가 결과치의 관계가 비선형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장음의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정도 평가에 있어 등간척도보다는 직접크기평정이 적절한 평가 방법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뚜렛 및 만성 틱 아동의 출생순위에 따른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TOURETTE AND CHRONIC TIC DISORDER ACCORDING TO THEIR BIRTH ORDERS)

  • 김자성;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124-132
    • /
    • 1993
  • 45명의 틱 증상을 보인 아동들의 임상적 양상을 검토하였고 형제순위별로 나눠 비교하였다. 성비는 14:1로 남자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형제순위로는 맏이가 46.7%, 막내가 33.3%. 외동아 15.6%, 쌍생아 4.4%로 맏이가 많았다. 기질성 시사소견은 37.8%에서, 초기발달 이상은 71.1%, 가족관계의 이상이 89.9%에서 보였고 동반 증상들로는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46.7%, 강박장애 17.7%, 격려불안은 24.4%, 범불안, 수면불안은 17.8%, 신체화 증상 및 아뇨가 각각 13.3%, 말더듬 8.9% 외에 분뇨, 우울증 등을 보여 총 84.4%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동반된 문제를 가졌다. 형제별로 나눠 특징을 비교했을 때 발병 시기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는데 막내 유형은 입학과 연관된 시기에 발병율이 의미있게 높았다.(p<0.01) 쌍생아의 경우는 저 출생체중아가 환아였다. 이들 소견을 종합해볼 때 틱 및 뚜렛 장애의 발현에는 선천적 기질적 요인뿐 아니라 상당한 환경적인 요인이 작용한다고 보겠다.

  • PDF

유뇨증 소아의 공존질병 및 정서상태 (THE COMORBIDITY AND EMOTIONAL STATE OF THE ENURETIC CHILDREN)

  • 이규광;신윤오;이태용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34-42
    • /
    • 1997
  • 1993년 10월부터 1996년 9월말까지 충남대학교 병원의 소아 청소년 정신과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은 환자 936명을 대상으로 하여, 미국 정신의학회 진단편람 제4판(DSM-Ⅳ)을 기초로 하여 유뇨증 및 공존 질환에 대한 평가를 하였으며, 유뇨증의 진단을 받았던 환자 46명 중 자가설문조사가 가능했던 14명을 대상으로, 국내외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가 입증된, 한국판 피어스-해리스 소아 자기-개념 척도(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RCMAS(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소아상태-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한국판 소아 우울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를 사용하여, 유뇨증 환자의 정서상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위에서 얻은 자료들을 토대로 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뇨증(enuresis) 환자의 공존질병(comorbidity) :3년간 소아정신과 외래 환자 936명중 46명(4.9%)에서 유뇨증의 진단을 받았다. 46명의 환자중 유뇨증의 진단만을 받았던 환자는 16명이며, 30명(65.2%)의 환자가 공존질병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 중에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가 가장 많았으며, 정신지체가 두번째였고, 유분증이 세번째로 많았다. 다음 반항성장애, 우울증, 불안장애 순이었으며, 그외에 자폐증, 신체화장애, 틱장애, Tourette장애, 강박장애, 수면장애 등이 있었다. 정신과 이외의 질환으로서 사시(strabismus), 경련성질환, 선천성 심장 기형, 말더듬 등도 포함되었다. 또한 공존질병의 수를 보면, 유뇨증의 진단 및 다른 1개의 공존 질병을 진단받은 환자는 16명, 2개의 공존 질병을 지닌 환자는 11명, 3개 이상의 공존질병 환자도 3명에 달하였다. 둘째, 유뇨증 환자의 정서적 측면:자기개념(self-concept), 불안, 우울에 대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에서 유뇨증 환자군은 의미있는 결과를 얻진 못하였다. 이는 적은 수의 설문 대상군(N=14)에 의한 자료 및 공존질병의 영향에 의한 결과라고 여겨지며, 앞으로 더 많은 대상군을 통하여 여러 변수(나이, 성별, 부모의 태도 및 교육정도, 치료 기간, 치료 효과) 등에 대한 비교연구가 요구되었다. 결론적으로, 유뇨증 환자에서 보인 다양한 공존질병의 존재, 특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정신지체, 유분증 등의 다른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결과들은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이로써 유뇨증 환자에서 많은 공존질병이 존재한다는 점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고, 다른 문제들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 중에도 유뇨증을 지니고 있는 환자들이 많았다는 점에서, 임상상황에서 환자와의 면담시 좀더 주의를 기울이고, 더 많은 관심을 갖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하였다. 한편 정서적 측면(자기개념, 불안, 우울)에서는 각각의 자기개념, 불안, 우울에 연관성은 확연하였지만, 연구의 제한점 때문에 주목할 만한 결과를 얻진 못하였다. 앞으로 더 많은 대상군을 통하여 여러 변수(나이, 성별, 부모 태도 등)에 대한 비교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더 나아가 유전적 요인, 기질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등과 정신병리와의 상관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