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말기신장병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특집 : 미세혈관 합병증 - 미세혈관 합병증에 의한 당뇨병성 신증 - 투석, 신장이식 불러오는 만성신장병

  • Song, Jun-Ho
    • The Monthly Diabetes
    • /
    • s.259
    • /
    • pp.17-21
    • /
    • 2011
  •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병의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지속적인 고혈당으로 인하여 신장에 있는 미세혈관이 손상을 받아 오랜 시간에 걸쳐 신장의 기능부전을 초래하는 합병증을 말한다. 현재 국내에서 말기신부전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이 당뇨병이다.

  • PDF

특집 : 올바른 신장합병증 관리를 위해 - 전문의 인터뷰 "신장 나쁘면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 중앙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유석희 교수

  • Kim, Min-G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61
    • /
    • pp.18-21
    • /
    • 2011
  • 만성신부전증 환자 절반가량에서 당뇨병이 원인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당뇨병성 신증에 대한 심각성이 제기되고 있다. 당뇨병에 의한 말기신부전은 생명을 이어가려면 투석과 신장이식이 불가피한 질병으로 일상에 불편을 가져오는 것은 물론 결국 사망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중앙대학교 병원 신장내과 유석희 교수는 "당뇨로 인한 반성신부전은 다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부전보다 생존율이 낮다"며 "당뇨병이 오래된 환자일수록 신장합병증이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당뇨병환자가 늘 혈당관리에만 매달리다보면 신장기능이 나빠지는 신호를 놓칠 수 있다"고 전했다.

  • PDF

당뇨병과 만성신부전증

  • 도문홍
    • The Monthly Diabetes
    • /
    • s.132
    • /
    • pp.26-28
    • /
    • 2000
  • 당이 있으면 신장사용료를 지급해야 한다. 즉, 무언가 대가를 치러야한다는 뜻이다. 미국에서는 말기 신부전증의 원인질환으로 당뇨병성 신장질환이 36$\%$로서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한국에서는 만성 사구제신염 다음으로 가장 많은 원인 질환으로 되어 있지만 그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PDF

특집 : 올바른 신장합병증 관리를 위해 - 신장합병증의 치료 I -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으로 치료

  • Kim, Min-Ok
    • The Monthly Diabetes
    • /
    • s.261
    • /
    • pp.22-23
    • /
    • 2011
  •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심각한 대혈관 및 미세 혈관 합병증들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대다수 선진국에서 당뇨병은 만성 신질환 및 말기 신부전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성 신증은 단백뇨를 특징으로 하며 30% 정도의 환자에서는 혈뇨도 관찰된다. 그래서 당뇨병성 신증의 발병 검진은 미세알부민뇨 검사로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제 1형 당뇨병환자는 일반적으로 당뇨병 발병 5년 이후에 하며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는 더 조기에 한다. 제 2형 당뇨병환자는 당뇨병 진단 시점부터 매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PDF

당뇨병환자의 신장이야기-당뇨병환자의 신장합병증 치료

  • Gang, Jong-M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14
    • /
    • pp.15-18
    • /
    • 2007
  • 당뇨병은 혈액 속에 포도당이 높아져 이에 따른 각종 합병증 때문에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 중에서 신장 합병증은 중요한 당뇨병 합병증 가운데 하나이다. 당뇨병성 신증은 거의 모든 당뇨병환자에게서 나타난다. 당뇨병성 신증의 마지막은 신장 기능이 거의 다 망가져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받는 말기신부전 환자의 가장 흔한 원인이 바로 당뇨병이므로 당뇨병의 신장 합병증을 줄이는 것이 환자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신장합병증은 초기에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항상 주의가 필요하다. 신장이 손상되기 시작하면 단백뇨가 계속 나오고 혈압이 오르며 빈혈이 발생하고 몸이 붓는다. 이런 현상은 포도당의 대사물질이 사구체에 쌓이기 때문이다. '사구체'란 신장 안에서 오줌을 거르는 일을 하는 모세혈관 조직으로 일단 손상되면 회복되지 않고 진행되며 이 상태를 그대로두면 결국 더 이상 신장에서 혈액의 노폐물을 걸러내지 못하는 만성 신부전증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 PDF

특집 : 올바른 신장합병증 관리를 위해 - 예방과 조기발견이 최선 - 당뇨병성 신증 어떻게 진단하나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261
    • /
    • pp.16-17
    • /
    • 2011
  •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병의 제 3대 합병증 중 하나로 당뇨병환자가 사망하게 되는 주요 원인중 하나이다. 신장합병증의 경우 당뇨병환자의 약 30%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 후 말기신부전증까지 진행이 되면 투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두려워하는 합병증 중 하나이며, 삶의 질적인 면에서도 손상이 커 혈당조절이 안정적으로 관리해서 신장합병증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PDF

특집 - 당뇨의 대표적 합병증, 신증

  • O, Dong-Jin
    • The Monthly Diabetes
    • /
    • s.216
    • /
    • pp.19-23
    • /
    • 2007
  • 신장내과를 전문 과목으로 선택하여 대학병원에서 10여년 가까이 환자를 진료하면서 아침에 회진을 할 때면 저는 전공의 들에게 "어제 입원한 환자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인가"라고 먼저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당뇨병으로 합병된 신장병, 혹은 당뇨병환자에서 혈관질환과 감염 질환이 동반될 경우 치료도 어렵고 임상 경과가 악성 경과를 밟으며 예후가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뇨병으로 인한 말기 신부전증이 최근 무섭게 증가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당뇨병성 신증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습니다. 저는 여기서 최근 가장 가슴이 아팠던 사례를 간단히 소개하고 당뇨병성 신증의 원인, 예방과 치료를 서술하고자 합니다.

  • PDF

Factors Influencing on Chronic Renal Disease Patients' Use of Alternative Therapies (만성콩팥병 환자의 대체요법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Lee, Seong-R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980-983
    • /
    • 2010
  • 본 연구는 말기콩팥질환자의 대체요법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10년 4월 13일부터 5월 13일까지 서울의 한 종합병원 신장내과에 내원한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용기간과 연령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159, p<0.05). 둘째, 만성콩팥병의 대체요법 이용에 영향요인은 연령이 많을수록(${\beta}$=1.64), 대체이용기간이 길수록(${\beta}$=0.059), 월비용이 높을수록(${\beta}$=0.003), 질병이환기간(${\beta}$=2.147)이 길수록 대체요법 이용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초기에는 말기 콩팥질환자들에게 대체요법의 효과와 한계를 지도해야 하며 환자들에게 영향을 주는 가족들에게도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PDF

A Case of Diabetic Nephropathy Progressed to End-Stage Renal Disease in an Adolescent with Type 1 Diabetes (사춘기에 말기 신질환으로 조기 진행한 소아 제1형 당뇨병성 신병증 1례)

  • Yoon, Ji-Eun;Kwon, Soon-Kil;Ha, Tae-S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13 no.2
    • /
    • pp.242-247
    • /
    • 2009
  •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commonly occu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diabetic nephropathy is a serious metabolic complication of T1DM that leads to serious morbidity. With poor glycemic control prepubertal diabetes duration contributes to the risk of long-term microvascular complications, however, the younger age at onset or longer prepubertal diabetes duration seems to prolong the time to development of microalbuminuria or later end-stage renal disease (ESRD). Therefore, there have been a few cases of diabetic nephropathy in prepubertal patients and therefore the ESRD cases developed during adolescence in T1DM children were very rare. Here we report an adolescent with T1DM who had poor glycemic control and was diagnosed as diabetic nephropathy in a prepubertal period and leading to end-stage renal disease during adolescence.

Diabetic Nephropath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 : Clinical Features (소아청소년기 당뇨병성 신병증(I); 임상 소견을 중심으로)

  • Ha, Tae-S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13 no.1
    • /
    • pp.1-13
    • /
    • 2009
  • Type 1 diabetes mellitus commonly occu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lthough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these age groups is now being increased in the western world and Korea. Diabetic nephropathy developing in 15-25% of subjec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and in similar or higher percentag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is the leading cause of end-stage renal disease worldwide. Although prepubertal diabetic duration may contribute less to the development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than pubertal and postpubertal duration, diabetic nephropathy in susceptible patients almost certainly begins soon after disease onset and may accelerate during adolescence, leading to microalbuminuria or incipient DN. Type 1 diabetes is commonly associated with a period of hyperfiltration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persistent microalbuminuria after as little as 7-10 years of type 1 diabetes. Microalbuminuria is associated with pathologic lesions that are so advanced as to overlap with those seen in patients with overt proteinuria and declining kidney function, therefore, microalbuminuria currently considered the best clinical indicator of overt diabetic nephropathy risk. This review covers the natural history and renal manifestations of diabetic nephropathy in children and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