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형대구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원료산지 고찰 (Provenance Analysis of Horse-shaped Bronze Buckles Excavated from Site of Songjeol-dong, Cheongju)

  • 배고운;이상옥;정광용;신승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9-216
    • /
    • 2019
  •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 29점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납의 원료산지를 확인하고, 출토지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동북아시아 방연석 분포도(Mabuchi, 1985) 대입결과 대부분 중국 남부영역 내에서 매우 밀집한 분포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한반도 납동위원소 분포도 적용결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및 옥천변성대 지역인 Zone 3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는 출토지와 유사한 지역에 위치한 방연석 광산에서 채취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한반도 마형대구 출토 중심지역에 해당하는 중서부지역의 미호천유역 및 안성천유역 출토 마형대구 38점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해당 문화권 내 마형대구 제작에 사용된 납 원료산지의 연관성 및 지역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시대적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마형대구를 대상으로 한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축적하여 추가적인 원료산지 비교분석 연구를 통해 한반도 출토 마형대구의 납 원료산지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 고대 복식에 미친 백제복식의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aekje costumes on Japanese costumes in ancient times)

  • 김문자
    • 복식
    • /
    • 제62권5호
    • /
    • pp.96-107
    • /
    • 2012
  • In ancient times, immigrants from Baekje wore various kinds of costumes that provided technological and aesthetic guidance for the Japanese costume, which has been modified and changed in Japan. The clothing and ornaments were strongly influenced directly by costumes of the Baekje period; therefore, many of the Japanese costumes at that time were crafted in the Baekje style. Through the antique records, paintings of tombs and bequests, we were able to find similarities between Baekje and Japan costumes in these categories: clothes, headgear, belt hooks and belt plaques, bronze shoes, and ornaments. (1) Clothes : They wore high-shaped hat and jacket and trousers(;袴) tied the bottom. (2) Headgear : There was a gilt bronze Conical Cap attached to the long tube with terminals in the shape of a hemisphere. (3) Belt hooks and belt plaques: There were horse-shaped belt hooks in mane styles and a checkered pattern on the lower part of the haunch and a belt Plaque shaped like the face of an animal. (4) Gilt bronze shoes: They were made with the style that had two side plates fixed in the instep side and heel-side. (5) Ornaments : They were made with flower-shaped plaques and spiral-shaped decorations. One earring was made with a three-winged pendent that were connected in a chain style and the others were in unique forms that were made by connecting narrow rings and a heart-shaped pendent.